목포부

덤프버전 :



'''일제강점기>
{{{#fff {{{+1
행정구역 '''
[ 펼치기 · 접기 ]
*1914년 기준으로 작성된 것임.
<colbgcolor#2e2e2e>경기도경성부 인천부
고양군 부천군 시흥군 수원군 진위군 안성군 용인군 이천군 김포군 강화군 파주군 개성군 포천군 연천군 광주군 양평군 양주군 가평군 여주군 장단군
강원도이천군 간성군 금화군 철원군 울진군 춘천군 홍천군 횡성군 원주군 평창군 영월군 정선군 삼척군 강릉군 양양군 통천군 회양군 평강군 화천군 양구군 인제군
황해도연백군 금천군 신계군 해주군 평산군 곡산군 옹진군 장연군 송화군 재령군 서흥군 봉산군 수안군 신천군 안악군 황주군 은률군
충청북도영동군 옥천군 보은군 청주군 괴산군 제천군 단양군 음성군 진천군 충주군
충청남도공주군 연기군 대전군 논산군 부여군 서천군 보령군 홍성군 청양군 서산군 당진군 예산군 아산군 천안군
전라북도군산부
옥구군 익산군 전주군 김제군 고창군 정읍군 금산군 진안군 남원군 부안군 임실군 순창군 무주군 장수군
전라남도목포부
무안군 나주군 화순군 곡성군 담양군 여수군 제주군 함평군 영광군 광주군 광양군 고흥군 보성군 강진군 해남군 장선군 구례군 장흥군 완도군 진도군 순천군 영암군
경상북도대구부
달성군 경산군 영천군 경주군 영일군 영덕군 영양군 청송군 안동군 의성군 군위군 칠곡군 김천군 상주군 예천군 영주군 봉화군 문경군 성주군 고령군 청도군 선산군 울도군
경상남도부산부 마산부
울산군 동래군 창녕군 사천군 하동군 거창군 고성군 통영군 함양군 합천군 의령군 함안군 산청군 창원군 진주군 김해군 밀양군 양산군 남해군
평안남도평양부 진남포부
대동군 용강군 중화군 강동군 성천군 순천군 평원군 강서군 안주군 개천군 덕천군 영원군 맹산군 양덕군
평안북도신의주부
박천군 정주군 선천군 의주군 영변군 희천군 운산군 태천군 구성군 철산군 용천군 삭주군 창성군 벽동군 초산군 위원군 강계군 자성군 후창군
함경남도원산부
덕원군 함흥군 고원군 홍원군 북청군 신흥군 풍산군 안변군 문천군 문천군 영흥군 정평군 이원군 단천군 갑산군 삼수군 장진군
함경북도청진부
부령군 경흥군 명천군 회령군 종성군 경성군 성진군 길주군 경원군 온성군 무산군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전라남도

파일:목포부 마크(1926~?).png목포부>
木浦府
Moppo City
부청 소재지목포부 대화정2정목(大和町) 1번지
(현재 전라남도 목포시 대의동2가 1-5)
상위 행정구역전라남도
하위 행정구역56정(1945년)
면적약 8.3km² (1932년)
인구72,981명(1943년)
존속기간1910년 10월 1일 ~ 1949년 8월 14일
전신무안군 부내면, 이로면 일부
후신목포시
1. 개요
2. 행정구역


파일:구 목포 일본영사관.jpg
목포부청
해방 이후에도 해당 건물은 1974년까지 목포시청으로 쓰였으며
현재는 목포근대역사관으로 쓰이고 있다.


1. 개요[편집]


지금의 전라남도 목포시의 전신으로, 일제강점기에 현재의 목포시 일부에 위치했던 부이다. 1897년 설치당시에는 무안부였으나, 1910년에 목포부로 개칭되었고 현재까지 목포시로 유지되고 있다.




2. 행정구역[편집]


>
[ 펼치기 · 접기 ]
정 · 동 · 리 (우체국 기준)
〶 목포남교동
대성동양동남교동 (1~73번지)북교동
죽교리 (1~278번지)산정리용당리
〶 목포창평정
호남정명치정대정정창평정
남교동 (이외 번지)죽동죽교리 (279~399번지)
〶 목포
항정
부청
대화정1·2·3정목
본정1·2·3정목경정1·2정목
중정1·2정목금정1·2정목하정유정
무안통해안통1·2·3·4정목상반정1·2정목앵정
욱정온금동산수정죽교리 (이외 번지)
복산정목포대
〶 목포영정
송도정서정1·2·3정목축정1·2·3정목보정1·2·3정목
행정1·2정목영정1·2정목수정1·2정목
[[목포시청|

부청 소재지 : 대화정2정목
]]
행정구역은 일본식인 정((ちょう)과 통((とおり), 그리고 일부 동((どう)과 목포대로 이루어져 있다. 현재도 법정동에서 이러한 일제 당시의 구획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광복 후 일본색이 짙은 지명만 바꾸고 정을 동으로, 정목(丁目(ちょうめ)을 가(街)로 치환해서 그대로 사용했기 때문이다. 이는 밑의 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당시 지명현재 지명
한국어일본어
축정祝町(イハヒチヤウ
(이와이초)
축복동
금정錦町(ニシキチヤウ
(니시키초)
금동
본정本町(ホンチヤウ
(혼초)
중앙동
북교동北橋洞(ホクケウドウ
(호쿠쿄도)
북교동
상반정常盤町(トキハチヤウ
(도키와초)
상락동
죽동竹洞(チクドウ
(지쿠도)
죽동
온금동溫錦洞(ヲンキンドウ
(온킨도)
온금동
하정霞町(カスミチヤウ
(가스미초)
측후동
해안통海岸通(カイガンドホリ
(가이간도오리)
해안동
양동陽洞(ヤウドウ
(요도)
양동
보정寶町(タカラチヤウ
(다카라초)
보광동
대정정大正町(タイシヤウチヤウ
(다이쇼초)
대안동
대성동大成洞(タイセイドウ
(다이세이도)
대성동
중정仲町(ナカチヤウ
(나카초)
중동
남교동南橋洞(ナンケウドウ
(난쿄도)
남교동
무안통務安通(ムアンドホリ
(무안도오리)
무안동
산수정山手町(ヤマテチヤウ
(야마테초)
유달동
유정柳町(ヤナギチヤウ
(야나기초)
유동
대화정大和町(ヤマトチヤウ
(야마토초)
대의동
송도정松島町(マツシマチヤウ
(마츠시마초)
동명동
복산정福山町(フクヤマチヤウ
(후쿠야마초)
복만동
수정壽町(コトブキチヤウ
(고토부키초)
수강동
호남정湖南町(コナンチヤウ
(코난초)
호남동
서정曙町(アケボノチヤウ
(아케보노초)
광동
욱정旭町(アサヒチヤウ
(아사히초)
서산동
영정榮町(サカエチヤウ
(사카에초)
영해동
행정幸町(サイハヒチヤウ
(사이와이초)
행복동
앵정櫻町(サクラチヤウ
(사쿠라초)
금화동
경정京町(キヤウチヤウ
(교초)
경동
명치정明治町(メイヂチヤウ
(메이지초)
명륜동
항정港町(ミナトチヤウ
(미나토초)
항동
창평정昌平町(シヤウヘイチヤウ
(쇼헤이초)
창평동
목포대木浦臺(モクホダイ
(모쿠호다이)
만호동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8 06:54:12에 나무위키 목포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