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버스(인천)

덤프버전 :


파일:인천광역시 휘장.svg 인천광역시 시내버스
광역좌석급행간선지선마을

[ 폐선, 관련문서 - 펼치기 · 접기 ]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인천광역시
광역버스 노선

{{{#fff,#1f2023 [[틀:인천광역시 광역버스|
광역
]]ㆍ[[틀:인천광역시 좌석버스|
좌석
]]ㆍ[[틀:인천광역시 급행간선버스|
급행간선
]]ㆍ[[틀:인천광역시 간선버스|
간선
]]ㆍ[[틀:인천광역시 지선버스|
지선
]]ㆍ[[틀:인천광역시 마을버스|
마을
]]
[ 펼치기 · 접기 ]
서울역

[[광역급행버스 M6724|

M6724
]]


인천공항

강남역

[[광역급행버스 M6405|

M6405
]]

[[광역급행버스 M6439|

M6439
]]
(역삼역)

[[광역급행버스 M6450|

M6450
]]
(삼성역)

기타

[[광역급행버스 M6628|

M6628
]]
(신촌역)

[[광역급행버스 M6751|

M6751
]]
(공덕역)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34%"
7700
(화곡역)
{{{#!wiki style="margin: -6px 0"
인천공항행 노선 : 수도권 통합요금 미적용 및 한정면허 노선
강남역행 노선 : 종점 뿐만 아닌 중간 정류장으로 경유하는 경우 포함
7700 : 별도의 등급과 운임 체계를 사용하는 간선급행버스 노선
검정 바탕에 하늘색 번호 : 국토교통부광역급행버스




파일:in1400-uvfcs.png

1400번 광역버스의 운행 모습[1].

1. 개요
2. 번호 체계
3. 운임
4. 2018년 8월 운행중단 사태
5. 목록
5.1. 운행 노선


1. 개요[편집]


인천광역시에서 운행하는 버스 등급.[2] 인천광역시와 경기도, 서울특별시를 빠르게 이어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다른 인천광역시 시내버스와는 다르게 준공영제가 적용되지 않으며, 민영제로 운영되고 있다.

인천지역 광역버스 운행은 2003년 삼화고속에서 운행하던 서울역행 시외버스, 용일여객에서 운행하던 강남행 시외버스를 시내버스로 전환하면서 시작됐다. 그 뒤로 인천 각지에서 서울역, 강남역으로 가는 시외버스가 전환되거나 새로운 광역버스 노선이 추가적으로 신설되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삼화고속은 2017년 광역버스 사업에서 철수했으나, 인천에 광역버스 시대를 열었고 오랫동안 광역버스 사업을 독점했기 때문에 2021년 기준 아직까지도 인천에서 광역버스를 지칭하는 보통명사 취급을 받는다.

현재 광역급행버스를 제외한 인천-서울 간 광역버스는 5개 업체(더월드교통, 마니교통, 선진여객, 신강교통, 인강여객)에서 운영하고 있다. 이 외에 신흥교통에서 인천광역시로부터 광역버스 한정면허를 받아 인천국제공항행 공항버스를 운영하고 있으나 수도권 통합요금 미적용 대상이라 별도 요금을 받는다.

인천 광역버스는 모든 차량이 전문형이다. 노선의 연혁이 삼화고속의 시외버스에서 전환된 노선인데다가, 승하차 지점의 구분이 대부분 명확하고 운행거리가 긴 편이라 한 명이라도 더 태워야 수지타산이 맞을 것이라는 데에서 기인한 판단으로 보인다.

1300번, 1301번, 1302번, 1601번, 9300번부천시를 경유하며 9501번김포시를 경유한다. 광역버스의 수요는 대부분 인천 - 서울 수요지만 의외로 인천시내 수요나 인천 - 경기도 수요도 많다. 인천 시내버스 대부분의 노선이 굴곡이 있고, 배차간격이 길어서 목적지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다보니, 비싼 광역버스 요금을 내더라도 더 빠르게 가고자 하는 승객들이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이 점은 심야에서 크게 부각되는데, 인천이나 경기도나 00시가 지나면 거의 유일한 심야 대체 노선이 되기 때문이다.[3] 거의 대부분의 광역버스가 회차지인 서울에서 00시 30분 이후에 회차를 하는지라 종점 근처에서는 2시까지도 운행하는 모습을 볼수 있다. 덕분에 제대로 된 심야버스가 없는 인천에서는 심야 구간수요가 꽤 있다.[4] 광역버스가 비싸다고는 해도 택시보다는 훨씬 싸기도 하고.


2. 번호 체계[편집]


파일:인천광역시 휘장.svg 인천광역시 광역버스의 권역 번호
9
강남역, 매헌시민의숲.양재꽃시장

번호 체계는 도착지 번호 + 일련번호 3자리다.

인천 면허 광역버스의 노선번호는 첫째 자리가 해당 노선의 목적지를 의미한다. 1000번대 노선은 서울역행, 6000번대 노선은 인천공항행, 9000번대 노선은 강남(양재)행 노선이다. 과거에는 종로행 2000번대 노선들도 있었으나 현재는 모두 폐선. 본래 6000번대는 광명역행 노선들이었으나, 6780번, 6790번, 6800번 등이 모두 폐선되었다. 인천공항행 노선의 본래 번호는 8000번대였다. 다만 6770번은 인천국제공항발 KTX광명역행으로 남아 있고, 6777번[5]은 인천항신국제여객터미널발 인천국제공항행으로 남아 있다.

BRT7700번으로 노선이 화곡역행이 있다. 기존 7000번을 그대로 이어받았다.


3. 운임[편집]


인천광역시 면허 광역버스는 성인 기준 현금 및 교통카드 사용시 기본요금 3000원[6]에 거리비례형 요금제를 도입하여 30km 초과 승차할 경우 5km마다 100원씩 요금을 추가로 징수한다.

2004년부터 2500원이라는 고액 운임으로 악명이 높았는데, 이렇게 인천 광역버스 요금이 비쌌던 이유는 서울, 경기도가 1300원 할 때 당시 인천 광역버스 4개 노선을 제외하고 모두 독점했던 삼화고속 때문이다. 삼화고속이 시외버스를 광역버스로 전환하면서 인천 광역버스를 4개노선 제외하고 모두 독점하게 되었고, 수지타산이 맞지 않는다는 이유를 들어 서울특별시 광역버스경기도 직행좌석버스보다 비싸게 운임을 받아야 한다는 주장으로 인천시에 압력을 행사했고 결국 이 요구가 받아들여져 요금이 높았던 것.[7] 이 때문에 요금을 비싸게 징수하면서도 인천 - 서울도심행 광역버스를 전부 독점했으며, 강남행 노선 일부도 소유했으니, 인천 지역 광역버스를 사실상 독점한 힘으로 배짱 장사를 펼친 셈.
이 결과 일어난 것이 경기도 부천시에서 관내 업체가 서울역.종로.강남 등 도심.부도심행 직행좌석버스 노선을 신설하지 못하게 강력하게 막은 것은 물론이고, 경원여객 소속 M6410번의 경기도 운임 징수에 대한 반발과[8] 서울시로부터 이미 연장 승인을 받았던 소신여객 소속 부천 700번부천버스 소속 부천 905번(현 83번) 두 노선의 도심 연장 반대 사건이 일어났었다.[9]

구분
교통
카드
현금
해당
노선
광역버스
(직행좌석)
일반
(조조할인)
3000
(2400)
-
[(서울역(1))]
[(강남역(1))]
청소년
(조조할인)
1650
(1320)
-
어린이
(조조할인)
1200
(960)
-
광역간선
급행버스

(BRT)
일반
2600
-
[(청라-강서)]
청소년
1800
-
어린이
1200
-
광역급행버스
일반
(조조할인)
2800
(2300)
2900
[(서울역(2))]
[(신촌역)]
[(공덕역)]
[(강남역(2))]
[(역삼역)]
[(삼성역)]
청소년
2000
2100
어린이
1600
1600

4. 2018년 8월 운행중단 사태[편집]


2018년 8월 9일 광역버스 6개 업체에서 8월 21일 첫차부터 19개 노선 버스 259대의 운행을 중단하겠다는 폐선 신고서를 인천시에 제출했다. 광역버스 업체에서는 적자 운행, 운행사원의 열악한 처우로 인해 인천시에 지속적인 재정지원을 요구했으나, 인천시는 이를 반영하지 않아 폐선을 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관련 기사 관련 게시물

2018년 8월 11일연합뉴스에 따르면, 인천광역시청에서는 뚜렷한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기사 최저임금 인상과 주 52시간 근로제 때문에, 인천시 광역버스 회사들은 2018년 8월 현재 불법 운행을 하는 상태라는 것이다.

2018년 8월 13일 세계일보 보도에 따르면, 인천광역시 시내버스 업체나 버스 기사, 인천광역시청 모두 다 제대로 상황 진척 파악 자체가 안 되는 것으로 보인다. 2018년 8월 16일까지 협상이 완료되어야 하나 8월 13일8월 14일 모두 제대로 된 협상이나 사태 진척 파악 자체가 되지 않는 모습이다. 기사 결국 완전공영화(=교통공사 이관 등)를 제시하자 폐선을 철회했다. 기사


5. 목록[편집]



5.1. 운행 노선[편집]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인천광역시
광역버스 노선

{{{#fff,#1f2023 [[틀:인천광역시 광역버스|
광역
]]ㆍ[[틀:인천광역시 좌석버스|
좌석
]]ㆍ[[틀:인천광역시 급행간선버스|
급행간선
]]ㆍ[[틀:인천광역시 간선버스|
간선
]]ㆍ[[틀:인천광역시 지선버스|
지선
]]ㆍ[[틀:인천광역시 마을버스|
마을
]]
[ 펼치기 · 접기 ]
서울역

[[광역급행버스 M6724|

M6724
]]


인천공항

강남역

[[광역급행버스 M6405|

M6405
]]

[[광역급행버스 M6439|

M6439
]]
(역삼역)

[[광역급행버스 M6450|

M6450
]]
(삼성역)

기타

[[광역급행버스 M6628|

M6628
]]
(신촌역)

[[광역급행버스 M6751|

M6751
]]
(공덕역)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34%"
7700
(화곡역)
{{{#!wiki style="margin: -6px 0"
인천공항행 노선 : 수도권 통합요금 미적용 및 한정면허 노선
강남역행 노선 : 종점 뿐만 아닌 중간 정류장으로 경유하는 경우 포함
7700 : 별도의 등급과 운임 체계를 사용하는 간선급행버스 노선
검정 바탕에 하늘색 번호 : 국토교통부광역급행버스





5.2. 폐선된 노선[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인천광역시 시내버스/폐선/광역버스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3 22:18:10에 나무위키 광역버스(인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해당 노선은 전국 최초 유니버스 FCEV 노선이다[2] 법령상 인가는 직행좌석버스로 되어 있다. 광역버스는 지자체에서 사용하는 명칭일 뿐 정식 버스 등급의 명칭이 아니다.[3] 특히 부천의 경우 1601번이 서울 기준 새벽 12시 50분에 서울역을 출발하다보니 인천 광역버스의 혜택을 크게 누리고있다.[4] 대표적으로 1400번의 경우 자정이 넘어가면 부평역에서 구월동 간 구간수요가 제법 나오는 편이다.[5]6707B번[6] 단 첫차부터 6시 30분까지의 경우 조조할인 요금이 적용되어 기본요금의 20% 할인. 단, 교통카드만 적용된다.[7] 당시 2004년을 기준으로 서울, 경기도는 1300원이였는데 인천은 2500원으로 2배에 가까운 1200원이나 더 비쌌다. 참고로 2004년 당시 최저임금2,510원, 무궁화호 기본 운임이 2,400원이었다. 심지어 당대 전국 어지간한 패스트푸드점 햄버거 단품 값은 3천원을 넘지 않던 시절이었다.[8] 결국 경원여객에서 강제로 삼화고속에 의해 국토부에 승인을 받지 않고 경기도 안산시 면허인 채로 경기도 운임이 아닌 700원이나 비싼 인천광역시 운임을 받았다. 후에 국토부가 이를 불법으로 규정한 상황임에도 인천 요금을 받다가 일어난 논란 및 분쟁이 바로 월곶 정차 사건. 결국 이후 이러한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광역급행버스의 운임을 면허지 상관 없이 경기도 직행좌석버스와 비슷하게 조정했다.[9] 이 때 당시는 경기도 좌석버스 운임이 현금 1800원 카드 1700원이였는데, 인천 광역버스 운임이 2500원으로 700원이나 더 비쌌다. 위 조정안이 시행될 경우 부천을 경유해서 서울 도심으로 가는 광역버스들의 타격은 물보듯 뻔했기 때문에 반대한 것으로 보인다.[(서울역(1))] 1000, 1100, 1101, 1200, 1300, 1301, 1302, 1400, 1500, 1601[(강남역(1))] 9100, 9200, 9201, 9300, 9500, 9501, 9802[(청라-강서)] 7700[(서울역(2))] M6724[(신촌역)] M6628[(공덕역)] M6751[(강남역(2))] M6405[(역삼역)] M6439[(삼성역)] M64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