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마모토현 제4구

덤프버전 :


규슈-오키나와 지방의 국회의원
[ 중의원 의원 ]
후쿠오카 1구후쿠오카 2구후쿠오카 3구후쿠오카 4구후쿠오카 5구
이노우에 다카히로오니키 마코토고가 아쓰시미야우치 히데키쓰쓰미 가나메
후쿠오카 6구후쿠오카 7구후쿠오카 8구후쿠오카 9구후쿠오카 10구
하토야마 지로후지마루 사토시아소 다로오가타 린타로기이 다카시
후쿠오카 11구사가 1구사가 2구나가사키 1구나가사키 2구
다케다 료타하라구치 가즈히로오구시 히로시니시오카 히데코가토 간지
나가사키 3구나가사키 4구구마모토 1구구마모토 2구구마모토 3구
다니가와 야이치가네코 요조기하라 미노루사카모토 데쓰시
구마모토 4구오이타 1구오이타 2구오이타 3구미야자키 1구
가네코 야스시기라 슈지에토 세이시로이와야 다케시와타나베 소
미야자키 2구미야자키 3구가고시마 1구가고시마 2구가고시마 3구
에토 다쿠후루카와 요시히사미야지 다쿠마미타조노 사토시노마 다케시
가고시마 4구오키나와 1구오키나와 2구오키나와 3구오키나와 4구
모리야마 히로시아카미네 세이켄아라가키 구니오시마지리 아이코니시메 고사부로
비례 1비례 2비례 3비례 4비례 5
이마무라 마사히로야라 도모히로야스오카 타케히로하마치 마사카즈이와타 가즈치카
비례 6비례 7비례 8비례 9비례 10
요시카와 하지메다케이 슌스케아베 히로키요시다 노부히로후루카와 야스시
비례 11비례 12비례 13비례 14비례 15
야마다 가쓰히코고쿠바 고노스케다무라 다카아키긴조 야스쿠니미야자키 마사히사
비례 16비례 17비례 18비례 19비례 20
이나토미 슈지오자토 야스히로신지 나가토모야마모토 고세이요시다 구미코
일본 공산당의 당색은 #db001c이나, 자민당과의 구별을 위해 #9f001c로 표기함
{{{-1 {{{#fff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





1. 개요[편집]


구마모토현야츠시로시, 히토요시시, 미나마타시, 아마쿠사시, 우토시, 카미아마쿠사시, 우키시, 시모마시키군, 야츠시로군, 아시키타군, 쿠마군, 아마쿠사군을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이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자유민주당가네코 야스시(金子恭之)이다.


2. 상세[편집]


중선거구 시절부터 소노다 스나오 전 외무대신의 아들인 소노다 히로유키 의원이 강력한 기반을 유지하고 있던 지역구였다. 소노다 의원은 2010년 3월 자민당 간사장 대리직을 사직하고 요사노 가오루 의원, 이시하라 신타로 도쿄도지사, 히라누마 다케오 의원 등과 함께 일어나라 일본이라는 극우정당 창당에 합류하게 된다. 이후 일본유신회, 차세대당에 소속하였고,[1] 최종적으로 자민당에 복당한 뒤 탈당 전 속해있던 유린회에 복귀하였다. 소노다는 규슈 비례구 중의원 재직 중이던 2018년 폐렴으로 76세의 나이에 사망하였다.

소노다 의원의 지역구 은퇴 및 사망 이후의 지역기반은 2017년 폐지된 구마모토 5구의 중의원 가네코 야스시 총무대신이 그 기반을 이어받아 현재에 이르고 있다.

3. 역대 국회의원[편집]



4. 역대 선거 결과[편집]



4.1.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구마모토현 제4구
혼도시, 우시부카시, 우토시, 우토군, 시모마시키군, 카미모마시키군, 아마쿠사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新党さきがけ.png소노다 히로유키117,441표1위

58.96%당선
파일:신진당 로고 white.svg야스다 키미히사73,231표2위

36.77%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츠네다 쇼코8,511표3위

4.17%낙선
유효표 수239,732표투표율
선거인 수


4.2.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구마모토현 제4구
혼도시, 우시부카시, 우토시, 우토군, 시모마시키군, 카미모마시키군, 아마쿠사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소노다 히로유키149,156표1위

79.18%당선
파일:덕주회.png와카기 히로시21,028표2위

자유연합
11.16%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후쿠다 케이이치18,188표3위

9.96%낙선
유효표 수190,274표투표율
선거인 수


4.3.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구마모토현 제4구
혼도시, 우시부카시, 우토시, 우토군, 시모마시키군, 카미모마시키군, 아마쿠사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소노다 히로유키137,428표1위

73.62%당선
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모리카와 이쿠로36,977표2위

19.81%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이세리 시마코12,262표3위

6.57%낙선
유효표 수160,722표투표율
선거인 수


4.4.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구마모토현 제4구
혼도시, 우시부카시, 우토시, 우토군, 시모마시키군, 카미모마시키군, 아마쿠사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소노다 히로유키136,380표1위

68.34%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마츠모토 키리스토63,169표2위

31.66%낙선
유효표 수193,353표투표율
선거인 수


4.5.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구마모토현 제4구
아마쿠사시, 우토시, 우토군, 시모마시키군, 카미모마시키군, 아마쿠사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소노다 히로유키123,900표1위

59.17%당선
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마츠나가 신이치78,811표2위

37.64%낙선[2]
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고노 이치로6,668표3위
3.18%낙선
유효표 수160,722표투표율
선거인 수

4.6.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구마모토현 제4구
아마쿠사시, 우토시, 우토군, 시모마시키군, 카미모마시키군, 아마쿠사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일본유신회(2012년) 심볼.png소노다 히로유키102,975표1위
65.92%당선[3]
야가미 마사요시36,652표2위
23.46%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츠네다 쇼코16,585표3위
10.62%낙선
유효표 수239,732표투표율
선거인 수

4.7.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구마모토현 제4구
아마쿠사시, 우토시, 우토군, 시모마시키군, 카미모마시키군, 아마쿠사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차세대당투명.png소노다 히로유키101,581표1위
75.92%당선[4]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이세리 에이지32,223표2위
24.08%낙선
유효표 수239,732표투표율
선거인 수

4.8.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구마모토현 제4구
야츠시로시, 히토요시시, 미나마타시, 아마쿠사시, 우토시,
카미아마쿠사시, 우키시, 시모마시키군, 야츠시로군,
아시키타군, 쿠마군, 아마쿠사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가네코 야스시150,453표1위
62.76%당선
파일:입헌민주당(2017년) 로고 하얀색.svg야가미 마사요시89,279표2위
37.24%비례당선
유효표 수239,732표투표율
58.01%
선거인 수426,191인

구마모토현의 선거구가 5에서 4로 줄어들면서 4구의 우토, 아마쿠사 지역이 야츠시로, 히토요시를 관할하는 5구에 합쳐졌다.

5구의 현직 의원인 가네코 야스시 의원이 4구로 소노다 의원은 비례 규슈 블록 상위로 이동하였다.

소노다 의원은 2018년 병으로 사망하였다.

4.9.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구마모토현 제4구
야츠시로시, 히토요시시, 미나마타시, 아마쿠사시, 우토시, 카미아마쿠사시, 우키시, 시모마시키군, 야츠시로군, 아시키타군, 쿠마군, 아마쿠사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가네코 야스시155,572표1위
68.1%당선
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야가미 마사요시72,966표2위
31.9%낙선
총 선거인수404,286인투표율
57.50%
유효표228,538표

4.10.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자유민주당에서는 가네코 야스시 의원이 별 일이 없으면 출마할 것으로 보인다.

저번 선거에서 입헌민주당에서 출마했던 야가미 마사요시 전 의원이 일본 유신회로 당적을 옮겨 출마한다. 대신 입헌민주당에서는 사사모토 유키코 시부야구의원이 출마한다.



[1] 당시 히라누마 다케오와 더불어 2명 밖에 없는 차세대당 소속 지역구 당선자였다.[2] 추천[3] , 구마모토 현련 추천[4] , 구마모토 현련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