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버스 104

덤프버전 :

>
대전광역시
{{{#fff,#1f2023
[[틀:대전광역시의 급행·광역버스|

{{{#fff 급행·광역
ㆍ[[틀:대전광역시의 간선버스|
간선
]]ㆍ[[틀:대전광역시의 지선버스|
>
지선
]]ㆍ[[틀:대전광역시의 외곽버스|

외곽
]]ㆍ[[틀:유성구 마을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ba5f4; font-size: 14px;"
마을
]]
대전광역시 시내버스/목록


파일:KakaoTalk_Moim_4zYL3BfkepYWUOLB3lFcgUbPST6T3Y.jp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노선
4.2. 시간표
4.3. 일평균 승차인원
4.4. 기타 사건사고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대전광역시 휘장_White.svg 대전광역시 간선버스 104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대전 104 노선도.png
기점대전광역시 유성구 덕명동(수통골)종점대전광역시 서구 탄방동(탄방역)
종점행첫차05:45기점행첫차05:40
막차22:30막차22:30
배차간격20분운행횟수1일 50회
운수사명한일버스인가대수8대
노선수통골 - 한밭대학교 - 현충원역 - 유성시장 - 장대초/장대중 - 충남대학교 - 유성구청 - 한국과학기술원 - 국립중앙과학관 - 정부대전청사서문 - 성룡초교 - 갈마역 - 둔산여자고등학교 - 대전시청 - 샤크존 - 녹원아파트 - 탄방역


2. 개요[편집]


한일버스에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2008년 개편 때 구 103번 좌석버스가 106번과 이 노선으로 분리되었다. 운수사는 103번과 마찬가지로 충진교통에서 운행했다.

  • 2013년 2월 15일에 운수회사가 103번과 함께 충진교통에서 대전교통으로 바뀌었다.


  • 2015년 7월 24일에 1대가 감차되었다.

  • 2018년 10월 22일부터 오후 1대 휴차로 배차간격이 17분으로 늘어났다



4. 특징[편집]


  • 유성을 거치는 많은 노선들이 시외버스정류장이나 유성온천역을 경유하는데 반해[1], 104번은 유성시장 ~ 장대초등학교/중학교를 지나 충남대학교를 경유하며, 이 구간을 독점하고 있다. 문화원로를 지나는 유일한 노선.

  • 사실 원래 이 구간을 지나는 노선은 없었다. 그러나 지하철 공사로 인해 유성지역이 혼잡하자 2003년경에 103번(당시 동학사~판암동)과 115번(당시 한밭대~대전역)이 우회운행을 하면서 시내버스가 경유하기 시작했고, 이후 몇몇 노선들이 더 추가되어 103(대전대~수통골), 111-1(안산동~충무체육관), 115번(수통골~한밭도서관), 133번(수통골~철도정비창), 509번(자운동~마전)이 이 구간을 운행하였다. 그러나 2008년 개편 때 이들 노선이 대부분이 단축, 변경되어 사라지고 현재의 104번만이 홀로 지키게 되었다.

  • 주로 장대동, 궁동, 어은동, 카이스트, 만년동에서 유성이나 둔산지역으로 연계하는 것이 목적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충남대학교, 카이스트, 한밭대학교 등의 젊은 대학생들이 주요 승객.

  • 주요 수요처는 장대동~충남대~어은동~카이스트에서 갤러리아 타임월드까지다.

  • 소요시간은 수통골 → 탄방역이 53~61분, 탄방역 → 수통골이 54~64분이다. 러시아워 때에는 갤러리아 타임월드 앞, 충남대학교~유성구청 구간에서 시간을 많이 잡아먹는다.

  • 탄방역 정류장을 두 번 경유한다. 안내방송에 탄방역이 두 번 나오니 주의.[2]

  • 공차회송의 본좌 노선이다. 운수회사가 동인여객(당시 선진교통)으로 바뀌고 나서부터 공차회송 거리가 크게 늘어[3], 낭월공영차고지까지 무려 31km라는 상당한 거리를 공차회송했으며[4], 이 마저도 고속도로를 타야 한다. 한일버스가 운행하는 현재도 신대공영차고지까지 20km의 긴 거리를 공차회송한다.[5] 그나마 119번, 802번, 916번보다는 덜하다.


4.1. 노선[편집]


파일:대전광역시 휘장_White.svg 대전광역시 간선버스 104번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탄방역종점
31080
탄방역1번출구
31060
-
개나리아파트
31050
유승기업사
31020
국민연금서대전지사
31030
녹원아파트
32260
-탄방역.대전고용센터
31090
샤크존
31130
샤크존
31110
시청.교육청
32310
대전광역시청
32350
아이빌딩
32190
SK브로드밴드
32220
갤러리아타임월드
32040
갤러리아타임월드
32050
둔산여자고등학교
31990
둔산여자고등학교
31930
향촌아파트
32000
갈마역
31940
무지개아파트
32900
누리아파트후문
32880
성룡초등학교
32910
성룡초등학교
32890
백합네거리
32950
한아름아파트
32920
정부대전청사서문
32180
무궁화아파트
32140
서구보건소
34720
서구보건소
34710
국립중앙과학관
42930
국립중앙과학관
43190
보건환경연구원
42910
보건환경연구원
42920
대전지방기상청
42890
대전지방기상청
42900
카이스트
42830
카이스트
42840
한빛아파트
42780
-
유성구청
42760
유성구청
42770
충대농대입구
42710
-
궁동
42700
궁동
42690
충남대학교
42600
충남대학교
42610
장대초등학교
42160
장대중학교
42150
유성초네거리
42080
유성초네거리
42090
유성시장
42010
유성시장
42020
천양원
41480
천양원
41490
현충원역3번출구
41450
현충원역1번출구
41460
구암8통
41430
구암8통
41440
덕명네거리
41410
주유소
41420
-덕명네거리
41400
운암네오미아/신협연수원
41750
하우스토리/신협연수원
41740
삼성화재연수원
41710
삼성화재연수원
41730
한밭대학교
41680
한밭대학교
41690
수통골삼거리
41660
수통골삼거리
41670
수통골기점지
41650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탄방역1번출구 ▼
문정로48번길계룡로553번길
개나리아파트 ▼탄방역종점
계룡로
국민연금서대전지사 ▼▲ 유승기업사
문정로
샤크존 ▼▲ 탄방역.대전고용센터
둔산중로
시청.교육청 ▼▲ 샤크존
둔산로
둔산여자고등학교 ▼▲ 갤러리아타임월드
갈마역로
백합네거리 ▼▲ 성룡초등학교
월평북로
정부대전청사서문 ▼▲ 한아름아파트
대덕대로
국립중앙과학관 ▼▲ 서구보건소
대학로
장대초등학교 ▼▲ 충남대학교
문화원로
유성초네거리 ▼▲ 장대중학교
유성대로
천양원 ▼▲ 유성시장
현충원로
운암네오미아/신협연수원 ▼▲ 덕명네거리
동서대로
수통골기점지수통골기점지


4.2. 시간표[편집]


파일:대전광역시 휘장_White.svg 대전광역시 간선버스 104번 시간표
2023년 9월 9일 기준 /
출처
수통골탄방역
첫차 05:45 / 막차 22:30 / 편도 50회첫차 05:40 / 막차 22:30 / 편도 50회
5시455시40 52
6시00 20 406시04 16 38 58
7시00 15 30 457시19 40
8시06 28 508시01 20 37 54
9시12 34 549시13 34 55
10시15 36 5710시17 39 59
11시18 3911시20 41
12시00 21 4212시02 23 44
13시03 24 4513시05 26 47
14시06 27 4814시08 29 50
15시09 30 5115시12 34 56
16시12 33 5416시18 39
17시15 36 57 5717시00 21 43
18시18 3918시05 26 47
19시00 22 4419시08 28 50
20시06 28 5020시12 35 58
21시12 32 5221시21 44
22시11 3022시07 30


4.3.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대전광역시 간선버스 104번
연도일평균 승차량전년대비 변동폭
2012년3,414명-
2013년2,919명▽ 495
2014년4,259명△ 1340
2015년3,976명▽ 283
2016년3,715명▽ 261
2017년2,980명▽ 735
2018년3,038명△ 58
2019년3,613명△ 575
2020년2,251명▽ 1,362
2021년2,223명▽ 28
2022년2,587명△ 364
※ 하차 인원 미포함



4.4. 기타 사건사고[편집]


  • 2018년 7월 20일 새벽 국민연금대전지사 정류장 앞에서 기사가 사이드 브레이크를 잠그지 않고 화장실을 간 사이 버스가 갑자기 혼자 움직여서(?!) 반대편 녹원아파트 정류장 앞 나무와 추돌한 사고가 발생하였다. 영상보기


5. 연계 철도역[편집]



6. 둘러보기[편집]


파일:대전광역시 휘장_White.svg 대전광역시의 여행 시내버스
[ 6대 명산 ]
수제비와 수통골 여행버스11, 103, 104
한방백숙과 계족산 여행버스74, 311
전통냉면과 식장산 여행버스611
보리밥과 보문산 여행버스802
손두부와 장태산 여행버스22
호떡과 만인산 여행버스501
[ 천혜의 가로수길 ]
해물칼국수와 벚꽃 여행버스703, 705
산채비빔밥과 벚꽃 여행버스107
송어회와 벚꽃 여행버스30, 31, 32
산림욕과 물놀이 여행버스501
민물매운탕과 단풍 여행버스72, 73
대청호 카페와 억새 여행버스60, 61
복수한우와 눈꽃 여행버스34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2 05:21:53에 나무위키 대전 버스 104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100번대로 시작하는 버스는 대부분 유성온천역을 꼭 경유하는데 이 노선과 108번만 경유하지 않는다. 108번은 충남대학교에서 월평역을 잇는 충남대 비공식 셔틀버스 역할을 하지만 이 노선은 그런거 없다.[2] 탄방역.대전고용센터(구 홈플러스 탄방점 앞), 탄방종점(유턴회차)[3] 당시 충진교통이었던 대전승합은 이 노선을 운행하던 당시에는 대정동 화물터미널에 차고지를 두고 있었으며, 수통골에서 7km 남짓으로 가까웠다. 대전교통 역시 탄방역에서 본사까지 2.3km 정도로 가깝다.[4] 2013년 12월 선진교통 시절부터 운행했으니 무려 7년 가까이 이 거리를 공차회송을 했었다.[5] 만약 대전승합이 지금까지 이 노선을 계속 전담했다 해도 이미 차고지가 저 북쪽의 신대공영차고지로 옮긴 바람에 공차회송은 한일버스가 운행하는 지금이랑 똑같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