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야마현 제2구

덤프버전 :


호쿠리쿠신에쓰 지방의 국회의원
니가타현, 도야마현, 이시카와현, 후쿠이현, 나가노현
[ 중의원 의원 ]
{{{-1 {{{#000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선거구
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
도야마현 제2구>
富山県第2区
파일:shuinsen_Toyama2.svg
선거인 수247,492명 (2021)
상위 도도부현도야마현
하위 행정구역도야마시(남부), 우오즈시, 쿠로베시,
나메리카와시, 나카니카와군,
시모니카와군
국회의원
우에다 에이슌




1. 개요[편집]


도야마현의 동부 지역인 도야마시 일부, 우오즈시, 나메리카와시, 쿠로베시, 나카니카와군, 시모니카와군을 관할하는 일본중의원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자유민주당 소속 우에다 에이슌.


2. 상세[편집]


자민당 초강세 지역으로, 소선거구 출범 이후 자민당이 전승했다. 자민당 이외의 정당 및 무소속 후보는 지역구 당선은 물론 석패율제를 통한 비례대표 당선조차 한 번도 하지 못했다.

중대선거구 시절에는 스미 에이사쿠 전 법무대신 - 스미 히로시 부자의 지역 기반이었고, 소선거구제 도입 이후 첫 선거에서는 스미 히로시 의원이 당선되었다. 하지만 스미 의원이 급사하고 형인 스미 이치로가 보궐선거에서 자민당 공천을 받지 못했다. 스미 이치로 후보는 무소속으로 출마했으나 낙선했고, 더이상 지역구 세습이 이뤄지지 않았다.


3. 역대 국회의원[편집]


파일:Japan_gov_logo.png 도야마현 제2구 역대 국회의원
선거연도의원명소속정당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1996년스미 히로시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보궐선거1998년미야코시 미쓰히로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0년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3년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5년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9년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2년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4년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7년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21년우에다 에이슌


4. 역대 선거 결과[편집]



4.1.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야마현 제2구
나메리카와시, 쿠로베시, 가미니카와군, 나카니카와군,
시모니카와군, 네이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스미 히로시126,734표1위

84.78%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오리타 마코토22,745표2위

15.22%낙선
유효표 수149,479표투표율
선거인 수


4.2.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보궐선거[편집]


도야마현 제2구
나메리카와시, 쿠로베시, 가미니카와군, 나카니카와군,
시모니카와군, 네이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미야코시 미쓰히로66,819표1위

42.39%당선
니시노 마사에이52,151표2위

[[무소속|
무소속
]]
33.09%낙선
스미 이치로30,631표3위

[[무소속|
무소속
]]
19.43%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오리타 마코토8,015표4위

5.09%낙선
유효표 수157,616표투표율
선거인 수


4.3.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야마현 제2구
나메리카와시, 쿠로베시, 가미니카와군, 나카니카와군,
시모니카와군, 네이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미야코시 미쓰히로105,449표1위

66.65%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타카기시 요시히데37,567표2위

23.74%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오리타 마코토15,208표3위

9.61%낙선
유효표 수158,224표투표율
선거인 수


4.4.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야마현 제2구
나메리카와시, 쿠로베시, 가미니카와군, 나카니카와군,
시모니카와군, 네이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미야코시 미쓰히로93,849표1위

59.44%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니시노 마사에이42,244표2위

26.75%낙선
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타츠오 테츠오13,792표3위

8.73%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후루사와 도시유키8,015표4위

5.08%낙선
유효표 수157,900표투표율
선거인 수


4.5.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야마현 제2구
나메리카와시, 쿠로베시, 가미니카와군, 나카니카와군,
시모니카와군, 네이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미야코시 미쓰히로101,830표1위

57.49%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니시노 마사에이54,701표2위

30.88%낙선
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아키하라 노부유키13,272표3위

7.49%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히라사키 이사오7,320표4위

4.13%낙선
유효표 수177,123표투표율
선거인 수


4.6.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야마현 제2구
나메리카와시, 쿠로베시, 가미니카와군, 나카니카와군,
시모니카와군, 네이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미야코시 미쓰히로105,828표1위
57.83%당선
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후지이 소이치73,597표2위
40.22%낙선
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오노 히코지3,579표3위
1.96%낙선
유효표 수183,004표투표율
선거인 수


4.7.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야마현 제2구
나메리카와시, 쿠로베시, 가미니카와군, 나카니카와군,
시모니카와군, 네이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미야코시 미쓰히로102,251표1위
[1]75.02%당선
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아즈마 아츠시25,396표2위
18.63%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타카하시 와타루8,646표3위
6.34%낙선
유효표 수136,293표투표율
56.22%
선거인 수


4.8.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야마현 제2구
도야마시 일부, 우오즈시, 나메리카와시, 쿠로베시,
나카니카와군, 시모니카와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미야코시 미쓰히로82,898표1위
[2]70.61%당선
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아즈마 아츠시23,350표2위
19.89%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히라사키 이사오11,158표3위
9.50%낙선
유효표 수117,406표투표율
48.14%
선거인 수252,747인


4.9.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야마현 제2구
도야마시 일부, 우오즈시, 나메리카와시, 쿠로베시,
나카니카와군, 시모니카와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미야코시 미쓰히로94,086표1위
[3]74.42%당선
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야마자키 아키라32,348표2위
[4]25.58%낙선
유효표 수126,434표투표율
51.76%
선거인 수254,572인


4.10.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야마현 제2구
도야마시 일부, 우오즈시, 나메리카와시, 쿠로베시,
나카니카와군, 시모니카와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우에다 에이슌89,341표1위
[5]68.41%당선
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고시카와 야스하루41,252표2위
31.59%낙선
유효표 수130,593표투표율
54.22%
선거인 수247,492인

현역 자민당 미야코시 미쓰히로 의원은 불출마를 선언했다. 이에 자민당은 우에다 에이슌 도야마현의회 의원을 공천했다.

입헌민주당은 고바야시 야스하루 후보를 공천했다. 정계입문 이전에는 삿포로 맥주 회사에서 근무했다. 다른 정당이나 무소속 후보가 출마하지 않아 자민당 우에나 후보와 입헌민주당 고바야시 후보가 1대1 대결을 벌인다. 2005년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를 마지막으로 민주당이 아닌 사회민주당 후보가 줄곧 출마했는데, 16년만에 제1야당 후보가 출마하게 되었다.

투표결과 자민당 우에다 에이슌 후보가 승리했다. 득표율은 미야코시 미쓰히로 전 의원에 비해 약간 감소했지만 (74.4% → 68.4%), 판세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4.11.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자민당에서는 우에다 에이슌 의원의 재출마가 유력하며, 입헌민주당에서도 고시카와 야스히루 후보가 지부장직을 유지하며 재출마할 것으로 보인다.

공산당에서는 이즈미노 가즈유키 후보가 출마한다.

[1] 추천[2] 추천[3] 추천[4] 추천[5]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