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6638 (r8판)

편집일시 :

>
서울특별시
[[틀:서울특별시의 공항버스|
]] [[틀:서울특별시의 광역버스|>
광역
]] [[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
간선
]] [[틀: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

지선
]] [[틀:서울특별시의 맞춤버스|

맞춤
]] [[틀:서울특별시의 순환버스|

순환
]] [[틀:서울특별시의 심야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color: #ffc600"
심야
]] [[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

마을
]] [[틀:서울시티투어버스|

투어
]]
[ 펼치기 · 접기 ]
62116411651165126514
65156516661366146615
66166617662066236624
66256627662866296630
66316632663366376638
66406642664566476648
66576712671367146715
6716
{{{#fff,#1f2023
[[틀:서울 0권역 지선버스|

{{{#fff 0권역
ㆍ[[틀:서울 1권역 지선버스|
1권역
]]ㆍ[[틀:서울 2권역 지선버스|

2권역
]]ㆍ[[틀:서울 3권역 지선버스|

3권역
]]ㆍ[[틀:서울 4권역 지선버스|

4권역
]]ㆍ[[틀:서울 5권역 지선버스|

5권역
]]ㆍ[[틀:서울 7권역 지선버스|

7권역
]]


파일:6638 2870.jp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4.2. 노선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6638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6638 노선도.png
기점경기도 광명시 철산동(세풍운수종점)종점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오목교역)
철산동 방향첫차04:30오목교 방향첫차05:08
막차23:00막차23:37
평일배차9~15분주말배차12~18분
운수사명세풍운수인가대수11대[1]
노선세풍운수종점 - 철산2동주민센터 - 철산우체국 - 광성초교 - 철산역 - 광명시청 - 광명사거리역 - 현대아파트.개봉중앙시장 - 개봉역 - 고척시장 - 봉영여중.목동고 - 갈산초등학교 - 등촌지하차도 - 서울남부지방법원.서울남부지방검찰청 - 진명여고 - 목동7단지 → 목운초등학교.목운중학교 → 오목교역 → 목동대학학원 → 목동7단지 → 이후 역순


2. 개요[편집]


세풍운수에서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25.8km다.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개편 때 6513번(구 121번)이 구 30번(성북역 - 철산동)을 대체하기 위해 광명시 구간을 변경함에 따라, 개편 전 121번의 광명시 구간을 따와 '광명시 ~ 영등포' 구간을 운행하는 6638번으로 분할 신설되었다.

  • 6657번(신정동 - 영등포)이 폐선되면서 2005년 8월 29일에 구로역, 신도림역 대신 고척시장, 갈산초등학교, 서울남부지방법원. 검찰청, 목동역, 오목교역, 양남동로터리 경유로 변경되었다.[2]

  • 2013년 9월 26일에 오목교역으로 단축되었고 6대 감차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 2018년 11월 19일에 6615번이 신설되면서 예비차 1대가 넘어갔고, 그 대신 6513번의 예비차를 공동 사용하게 되었다.

  • 2019년 6월 1일을 기해 6513번에서 감차된 차량 1대가 이 노선에 투입되어 평일 운행차량이 1대 증가되고 평일의 1일 운행횟수도 8회 증회되었다. 다만, 평일 배차간격 감소 폭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관련 공문


4. 특징[편집]


  • 광명에서 목동 방면으로 유일하게 5630번처럼 독산동으로 우회하거나 6637번처럼 영등포로 우회하지 않고 직행하는 노선이다. 참고로 목일중 삼거리 ~ 고척스카이돔(동양미래대) 사거리 구간의 유일한 노선이다. 목동과 통하는 것은 아니지만 고가도로와 고척스카이돔 사거리를 통해서 광명과 영등포 방향의 경인로를 잇는 버스는 광명 버스 11-1, 광명 버스 11-2가 있다.

  • 구로구 개봉동을 통해 서울로 진입하기 때문에 6권역 노선이며 6616번, 6637번, 6713번도 마찬가지다.[3]

  • 12~18분 간격에 노선거리도 길지 않은데 6권역 지선버스 중에 대당승차량(800명대)이 제일 높다. 이는 언급한 광명, 개봉, 고척동과 목동을 잇는 수요가 매우 많기 때문이다.


4.1.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6638번
연도일평균 승차량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6,628명-
2014년6,324명▽ 304
2015년6,621명△ 297
2016년6,647명△ 26
2017년6,730명△ 83
2018년6,828명△ 98
2019년7,201명△ 373
2020년6,235명▽ 966
2021년6,043명▽ 192
2022년6,562명△ 519
2023년6,786명△ 224
하차 인원 미포함


4.2. 노선[편집]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6638번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오목교역
15157
목동대학학원
15167
목운초등학교.목운중학교
15164
이상 회차 구간
목동7단지.종로학원
15166
목동7단지
15265
목동역
15254
-
진명여고
15270
진명여고
15258
서울남부지방법원.서울남부지방검찰청
15259
서울남부지방법원.서울남부지방검찰청
15260
갈산초등학교정문
15197
갈산초등학교정문
15169
갈산초등학교후문
15199
갈산초등학교후문
15198
은정초등학교
15200
은정초등학교
15201
양천아파트
15204
목동우성아파트입구
15203
봉영여중.목동고
15206
봉영여중.목동고
15205
고척시장
17226
고척시장
17225
고척중학교
17228
고척중학교
17227
개봉역.영화아파트
17009
개봉역.한마을아파트
17010
경인중학교
17166
개봉사거리
17164
현대아파트.개봉중앙시장
17210
현대아파트.개봉중앙시장
17209
대원주유소
17208
대원주유소
17207
광명21세기병원
38005
광명21세기병원
38007
광명초등학교
38006
광명초등학교
38011
광명사거리역
38609
광명사거리역
38016
광명시장
38023
광명시장
38018
경기항공고등학교
38131
경기항공고등학교
38010
광명시청.광명시민회관
38129
광명시청
38019
-광명시민회관
38108
철산역
38107
철산역
38125
철산주공12단지
38119
광명사회체육센터
38118
광성초.철산도서관.철산3동주민센터
38106
광성초교
38126
-철산동13단지후문앞
38128
철산우체국
38095
철산9단지우체국앞
38127
철산주공8단지
38102
주공7단지
38104
모세로삼거리
38085
모세로삼거리
38105
현충탑입구.철산종합사회복지관
38094
현충탑입구.철산종합사회복지관
38093
철산2동주민센터
38098
철산2동주민센터
38099
광명북중고등학교
38065
광명북중고등학교
38080
철산우성아파트
38075
-
철산1동주민센터
38066
철산1동주민센터
38062
세풍운수종점
38073


5. 연계 철도역[편집]




[1] 토요일 / 공휴일 9대 운행[2] 이 변경으로 광명사거리에서 고척시장 구간은 1997년에 폐선 된 구. 개봉여객 100번을 대체하게 된다.[3] 6635번도 있었지만 금천구 독산동을 통해 서울로 진입하기 때문에 6권역 노선이라기에는 오류가 있었다. 만약 금천구도 6권역이였다면 권역에 맞는 번호였을 것이다. 물론 지금은 5535번과 통폐합되어 폐선되었다.[4] 철산동 방향은 진명여고 하차 오목교역 방향은 목동역 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