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믹스더블컬링선수권대회

덤프버전 :

주요 종목 세계 선수권 대회 목록
하계 올림픽개인가라데 · 근대5종 (유스) · 기계체조 · 레슬링 · 리듬체조 · 배드민턴 · 복싱 · 브레이킹 · 사격 (샷건) · 사이클 · 서핑 · 수영 (주니어) · 스포츠클라이밍 · 승마 · 양궁· 역도 · 요트 · 유도 · 육상 (실내) · 조정 · 철인3종 · 카누 · 탁구 · 태권도 (품새) · 펜싱
단체라크로스 · 배구 · 비치발리볼 · 소프트볼 · 핸드볼 (남·여)
동계 올림픽개인노르딕 스키 · 루지 · 바이애슬론 · 봅슬레이 & 스켈레톤 · 쇼트트랙 · 스노보드 · 스피드스케이팅 · 알파인 스키 · 프리스타일 스키 · 피겨스케이팅
단체아이스하키 (·) · 컬링 (남·여·믹스더블)
* 대회명에 세계선수권대회(World Championship)가 있는 경우만 기재함


세계 믹스더블 컬링 선수권 대회[1]
World Mixed Doubles Curling Championship[2]
창설2008년
2023년 개최지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강릉시
(강릉 컬링 센터)
2023년 우승팀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2024년 개최 예정지미정
최다 우승국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1. 개요
2. 역대 결과
3. 역대 메달 집계
4. 역대 참가국
5. 여담



1. 개요[편집]


믹스더블 컬링 세계선수권 대회.

지역별 예선이 있는 세계컬링선수권대회와 달리 지역별 예선이 없다. 참가팀이 많은 관계로 조별 리그를 치른 후 상위 팀들간의 토너먼트로 우승자를 정한다. 2015년까지는 각 조별리그 상위 8개 팀으로 플레이오프를 치렀지만, 2016년부터는 16강 플레이오프로 열렸고 2018년까지는 16강 진출팀은 순위결정전도 치렀다.

2009년 대회부터 세계시니어컬링선수권대회[3]와 같이 치른다. 다만 2012년은 예외로, 믹스더블선수권은 터키에서 열렸지만 시니어선수권은 덴마크에서 따로 열렸다.

2020년 대회부터는 출전팀을 20개 팀으로 제한한다. 전년도 상위 16개 팀은 그대로 출전권을 갖고[4] 4개 팀은 별도의 예선 대회[5]를 통해 선발한다.


2. 역대 결과[편집]


연도장소우승준우승3위참가팀
2008핀란드 비에루마키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여자] 이레네 쇼리
[남자] 토니 뮬러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여자] 안네 말미
[남자] 유시 우시파발니에미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여자] 마리에 페르손
[남자] 괴란 칼손
24팀[6]
2009이탈리아 코르티나담페초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여자] 이레네 쇼리
[남자] 토니 뮬러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여자] 세케레스 일디코
[남자] 너지 지외르지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여자] 앨리슨 니믹
[남자] 션 그래시
27팀
2010러시아 첼랴빈스크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여자] 야나 네크라소바
[남자] 페트르 드론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여자] 브리짓 베커
[남자] 숀 베커
(남매)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여자] 쑨웨
[남자] 장지펑
18팀[7]
2011미국 세인트폴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여자] 알리나 패츠
[남자] 스벤 미셸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여자] 알리나 코발레바
[남자] 알렉세이 첼루소프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여자] 폴린 제네레
[남자] 아마우리 페르네
24팀
2012터키 에르주룸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여자] 네이딘 레만
[남자] 마르틴 리오스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여자] 카밀라 요한손
[남자] 페르 노린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여자] 클라우디아 토트
[남자] 크리스티안 로트
27팀
2013캐나다 프레더릭턴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여자] 펄런처 도로처
[남자] 키시 졸트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여자] 엘리사베트 노레달
[남자] 프레드릭 할스트룀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여자] 주자나 하이코바
[남자] 토마시 폴
27팀
2014스코틀랜드 덤프리스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여자] 미셸 그리비
[남자] 레토 그리비
(사촌)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여자] 카밀라 요한손
[남자] 페르 노린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여자] 이란츠 가르시아
[남자] 세르지오 베즈
34팀
2015러시아 소치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여자] 펄런처 도로처
[남자] 키시 졸트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여자] 카밀라 요한손
[남자] 페르 노린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여자] 크리스틴 스카슬린
[남자] 망누스 네드레고텐
30팀
2016스웨덴 칼스타드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여자] 아나스타샤 브리즈갈로바
[남자] 알렉산드르 크루셸니츠키[8]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여자] 왕루이
[남자] 바더신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여자] 태비사 피터슨
[남자] 조 폴로
42팀
2017캐나다 레스브리지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여자] 제니 페레
[남자] 마르틴 리오스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여자] 조앤 코트니
[남자] 리드 카루더스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여자] 왕루이
[남자] 바더신
39팀
2018스웨덴 외스테르순드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여자] 미셸 재기
[남자] 스벤 미셸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여자] 마리아 코마로바
[남자] 다닐 고리아체프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여자] 로라 크로커
[남자] 커크 뮤이레스
40팀
2019노르웨이 스타방게르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여자] 안나 하셀보리
[남자] 오스카르 에릭손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여자] 조슬린 피터먼
[남자] 브렛 갤런트[9]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여자] 코리 크리스텐슨
[남자] 존 슈스터
48팀

연도장소우승준우승3위
2020캐나다 켈로나대회 취소 [10]
2021스코틀랜드 애버딘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여자] 제니퍼 도즈
[남자] 브루스 모왓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여자] 크리스틴 스카슬린
[남자] 망누스 네드레고텐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여자] 알미다 데발
[남자] 오스카르 에릭손
2022스위스 제네바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여자] 이브 뮤어헤드
[남자] 바비 래미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여자] 알리나 패츠
[남자] 스벤 미셸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여자] 피아리사 숄
[남자] 클라우디우스 하르슈
2023대한민국 강릉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여자] 코리 티시
[남자] 코리 드롭킨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여자] 마츠무라 치아키
[남자] 타니다 야스마사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여자] 마르티네 뢰닝
[남자] 마티아스 브렌덴


3. 역대 메달 집계[편집]


국가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7회
2008, 2009, 2011, 2012, 2014,
2017, 2018
1회
2022
-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2회
2010, 2016
2회
2011, 2018
-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2회
2013, 2015
1회
2009
-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2회
2021, 2022
--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1회
2019
4회
2012, 2013, 2014, 2015
2회
2008, 2021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1회
2023
-2회
2016, 2019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2회
2017, 2019
2회
2009, 2018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1회
2016
2회
2010, 2017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1회
2021
2회
2015, 2023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1회
2008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1회
2010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1회
2023
-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1회
2011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1회
2012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1회
2013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1회
2014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1회
2022


4. 역대 참가국[편집]


  • 2010년대
국가200820092010201120122013201420152016201720182019
파일:가이아나 국기.svg 가이아나-2437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39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47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1125-37363843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422-182545395119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8132141052120132939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20-2319241511136424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211212591627513302022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20-32-34212920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7111624112317123282527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201012-9651925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2727232735353136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30-35-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24-2832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46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1518108412195310133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41-40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312926222128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26-1734-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343029281726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48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4039-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37-42222251371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11711611328119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149-175791941199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222541118213172313229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192418151719292510253329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26302339203033
파일:아일랜드 4지방기.svg[11] 아일랜드-26-26-12133634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1614819815225632135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2115213882611243223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45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2427-20-3623-30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332637-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1116622121724919121218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131714715141810201955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2319132022253315817269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104367131116231319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대만-31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66913163718214105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28-38382325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42-42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53-126101045232
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44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374041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터키-21-221727817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188-162422333421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1215-32320132127311935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251791418141477139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92111013141131369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1723516242212283118184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2738

  • 2020년대
국가2020202120222023202420252026202720282029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취소-14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243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122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171516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129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10318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11)
[RCF]
-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881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3510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627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115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201813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19145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17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5711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1592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141620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9-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71315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464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1912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1717-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151019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13118


5. 여담[편집]


  • 2008년 대회 조별리그에서 스위스가 웨일스를 상대로 한 경기에서 식스 엔더[12]를 2번이나 기록했다.

  • 2010년 대회 때는 이 해 3월부터 시작된 아이슬란드 에이야퍄들라이외퀴들 화산 폭발의 영향으로 한동안 유럽 항공편 지연이 지연되는 일이 있었다. 노르웨이, 스웨덴, 스코틀랜드, 캐나다, 한국 등 5개 팀이 이 때문에 대회 일정에 맞춰 오지 못하게 되면서 출전을 포기했다. 라트비아, 미국, 핀란드 역시 항공편 지연으로 대회가 시작된 후 러시아에 왔지만 다행히 이 팀들은 경기 일정이 다소 뒤에 있던 편이라 대회 일정 소화에는 문제가 없었다.

  • 2014년 대회 조별리그에서 캐나다, 노르웨이, 잉글랜드가 식스 엔더를 기록했다.

  • 2019년 대회 조별리그에서 잉글랜드, 에스토니아, 웨일스, 카자흐스탄, 이탈리아, 뉴질랜드가 식스 엔더를 기록했다.
[1] 대한컬링경기연맹 시절에는 띄어쓰기 없이 모두 붙여썼다.[2] 약칭은 WMDCC[3] 만 50세 이상 대상[4] 20개 팀을 2개 조로 나누고 조별 예선에 따른 각 조의 꼴찌팀, 예선 이후 각 조 8·9위끼리 강등전을 치러 패배한 팀 등 총 4개 팀이 다음 연도 출전권을 박탈당한다.[5] 세계 믹스더블 퀄리피케이션 이벤트[6] 네덜란드, 독일, 브라질, 아일랜드, 카자흐스탄도 참가 신청을 했지만 최종 불참했다.[7] 불가리아, 폴란드, 프랑스가 참가 신청을 했지만 최종 불참했고, 화산 폭발의 영향으로 항공편 지연으로 5개 팀이 불참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8] 이후 평창 올림픽 때 도핑 적발로 동메달을 박탈당한다.[9] 피터 갤런트의 장남[10] 코로나 19 유행에 따라 대회를 취소했다.[11] 아일랜드 컬링 협회에서는 아일랜드 삼색기 대신 4지방기를 쓴다.[RCF] 러시아 컬링 연맹[12] 한 엔드에서 최고 득점인 6점을 기록하는 것.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11:44:27에 나무위키 세계믹스더블컬링선수권대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