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평창 동계올림픽/컬링

(♥ 0)

||
[ 펼치기 · 접기 ]

주요 정보유치 과정 · 경기 종목 · 대회 진행 · 대한민국 대표팀
대회 관련 기타 문서
마스코트
반다비 ·
주경기장
평창 올림픽 스타디움 ·
올림픽
2018 평창 동계올림픽 ·
개회 선언자
문재인 ·
성화 점화자
서순석 · 김은정
파일: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 로고_White.svg하나된 열정
Passion. Connected.
||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컬링
파일:2018 평창 동계올림픽 컬링 픽토그램.svg
날짜2018년 2월 8일 ~ 2월 25일
경기장강릉 컬링 센터
종목남자, 여자, 믹스더블
챔피언남자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여자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믹스더블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20142022
1. 개요
2. 출전권
3. 참가 선수 명단
3.1. 남자
3.1.1. 각 팀 스킵 간략 정보
3.2. 여자
3.2.1. 각 팀 스킵 간략 정보
3.3. 믹스더블
3.3.1. 각 팀 간략 정보
4. 경기 결과
4.1. 남자
4.1.1. 예선
4.1.2. 결선
4.2. 여자
4.2.1. 예선
4.2.2. 결선
4.3. 믹스더블
4.3.1. 예선
4.3.2. 결선
5. 최종 메달리스트
6. 기타
7.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2018년 2월 8일부터 2월 25일까지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개최된 컬링 종목 일정 및 결과를 정리한 문서.

믹스더블 종목이 추가되면서 컬링은 개막식 이전 사전경기로 시작해 폐막식 당일까지 매일 경기가 열렸다.

믹스더블 종목에서 OAR의 남자선수 알렉산드르 크루셸니츠키가 도핑에서 적발되면서 OAR의 동메달은 박탈됐다.

2. 출전권[편집]


개최국을 제외한 올림픽이 있기 직전 2년간 세계선수권 성적에 따른 포인트로 개최국 제외 상위 7개국이 올림픽에 직행하고 최종예선을 통해 2개국에게 올림픽 출전권이 주어졌다.[1] 신설된 믹스더블은 별도의 최종예선 없이 개최국 제외 세계선수권에 성적에 따른 상위 7개국이 올림픽에 출전했다.

국가2016 세계선수권
(포인트)
2017 세계선수권
(포인트)
합계최종예선 순위출전 여부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141428-O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71219-O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10919-O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9615-O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4614-O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스코틀랜드)6713-O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8513-O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120122O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0885X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5056X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0441O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1347X
파일:오륜기.svg OAR3144X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0228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202-O
(개최국 자격)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0003X

국가2016 세계선수권
(포인트)
2017 세계선수권
(포인트)
합계최종예선 순위출전 여부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91423-O
파일:오륜기.svg OAR101222-O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14519-O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스코틀랜드)81018-O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7815-O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4913-O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6713-O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12012-O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3476X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0664X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5162O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1343X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0221O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2027X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0005X

국가2016 세계선수권
(포인트)
2017 세계선수권
(포인트)
합계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121022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81220
파일:오륜기.svg OAR14418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01414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10313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4812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6612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스코틀랜드)9211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09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077
(개최국 자격)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707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055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303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20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011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101

3. 참가 선수 명단[편집]



3.1. 남자[편집]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2]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파일:미국 국기.svg 미국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스킵] 토마스 울스루
[서드] 토르게르 네르고르
[세컨드] 크리스토페르 스바에
[리드] 호바르 바드 페테르손
[핍스] 마르쿠스 외이베르그
[스킵] 김창민
[서드] 성세현
[세컨드] 오은수
[리드] 이기복
[핍스] 김민찬
[스킵] 라스무스 스티에르네
[서드] 조니 프레데릭센
[세컨드] 미켈 폴센
[리드] 올리베르 두폰트[3]
[핍스] 모르텐 베르그 톰센
[스킵] 존 슈스터
[서드] 타일러 조지
[세컨드] 맷 해밀턴[4][MD]
[리드] 존 랜즈타이너
[핍스] 조 폴로
[스킵] 니클라스 에딘
[서드] 오스카르 에릭손
[세컨드] 라스무스 브라노
[리드] 크리스토페르 순드그렌
[핍스] 헨릭 릭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파일:영국 국기.svg 영국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파일:일본 국기.svg 일본[5]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포스] 브누아 슈바르츠
[서드] 클라우디오 패츠
[스킵/세컨드] 피터 드 크루즈
[리드] 발렌틴 타너
[핍스] 도미닉 마르키
[스킵] 카일 스미스[6]
[서드] 토머스 뮤어헤드[7]
[세컨드] 카일 워델
[리드] 캐머런 스미스[8]
[핍스] 글렌 뮤어헤드[9]
[포스] 아모스 모사네르
[스킵/서드] 조엘 레토르나
[세컨드] 시몬 고닌
[리드] 다니엘레 페라차
[핍스] 안드레아 필체르
[스킵] 모로즈미 유스케[10]
[서드] 시미즈 테츠로
[세컨드] 야마구치 츠요시
[리드] 모로즈미 코스케[11]
[핍스] 히라타 코스케
[스킵] 케빈 쿠이
[서드] 마크 케네디
[세컨드] 브렌트 랭[12]
[리드] 벤 허버트
[핍스] 스콧 파이퍼

3.1.1. 각 팀 스킵 간략 정보[편집]


2014 소치 올림픽(5위)에도 출전했다.


2014 소치 올림픽(6위)에도 출전했다.

2010 밴쿠버 올림픽(10위)과 2014 소치 올림픽(9위)에도 출전했다.




2006 토리노 올림픽(7위)에도 출전했다.



3.2. 여자[편집]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13]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파일:오륜기.svg OAR파일:미국 국기.svg 미국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스킵] 김은정
[서드] 김경애
[세컨드] 김선영
[리드] 김영미
[핍스] 김초희
[스킵] 마델레이네 두폰트[14]
[서드] 데니세 두폰트[15]
[세컨드] 줄리 호그
[리드] 마틸데 할세
[핍스] 리나 크누드센
[스킵] 빅토리아 모이세바[16]
[서드] 율리아나 바실리예바
[세컨드] 갈리나 아르센키나
[리드] 율리야 구지예바
[핍스] 율리야 포르투노바
[스킵] 니나 로스
[서드] 태비사 피터슨
[세컨드] 에일린 게빙
[리드] 베카 해밀턴[17][MD]
[핍스] 코리 크리스텐슨
[스킵] 안나 하셀보리
[서드] 사라 맥매너스
[세컨드] 앙네스 크노셴하우에르
[리드] 소피아 마베리스
[핍스] 옌니에 볼린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파일:영국 국기.svg 영국파일:일본 국기.svg 일본[18]파일:중국 국기.svg 중국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스킵] 실바나 티린초니
[서드] 에스터 뉴엔슈반더
[세컨드] 마누엘라 지그리스트
[리드] 마를렌 알브레트
[핍스] 제니 페렛[MD]
[스킵] 이브 뮤어헤드
[서드] 애나 슬로안
[세컨드] 비키 애덤스
[리드] 로런 그레이
[핍스] 켈리 샤퍼
[스킵] 후지사와 사츠키
[서드] 요시다 치나미
[세컨드] 스즈키 유미
[리드] 요시다 유리카
[핍스] 모토하시 마리
[스킵] 왕빙위
[서드] 저우옌
[세컨드] 류진리
[리드] 마징이
[핍스] 장신디[19]
[스킵] 레이첼 호먼
[서드] 에마 미스큐
[세컨드] 조앤 코트니
[리드] 리사 위글
[핍스] 셰릴 버나드

3.2.1. 각 팀 스킵 간략 정보[편집]



2010 밴쿠버 올림픽(5위, 포스)에도 출전했다.







2014 소치 올림픽(7위)에도 출전했다.


3.3. 믹스더블[편집]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21]파일:오륜기.svg OAR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여자] 크리스틴 스카슬린
[남자] 망누스 네드레고텐
[여자] 장혜지
[남자] 이기정
[여자] 아나스타시야 브리즈갈로바
[남자] 알렉산드르 크루셸니츠키
(부부)
[여자] 베카 해밀턴
[남자] 맷 해밀턴
(남매)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파일:중국 국기.svg 중국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여자] 제니 페레
[남자] 마르틴 리오스
[여자] 왕루이
[남자] 바더신
[여자] 케이틀린 로스
[남자] 존 모리스
[여자] 오나 카우스테
[남자] 토미 란타마키

3.3.1. 각 팀 간략 정보[편집]








케이틀린 로스는 2014 소치 올림픽 때 금메달을 땄었고, 존 모리스는 2010 밴쿠버 올림픽 때 금메달을 땄었다. 원래 모리스의 파트너는 레이첼 호먼이었지만 4인제 대표로 출전하면서 대신 케이틀린 로스로 파트너를 바꿨다.


4. 경기 결과[편집]



4.1. 남자[편집]



4.1.1. 예선[편집]


예선 순위국가스킵
1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니클라스 에딘72
2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케빈 쿠이63
3파일:미국 국기.svg 미국존 슈스터54
4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피터 드 크루즈54
5파일:영국 국기.svg 영국카일 스미스54
6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토마스 울스루45
7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김창민45
8파일:일본 국기.svg 일본모로즈미 유스케45
9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조엘 레토르나36
10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라스무스 스티에르네27

예선 결과 스위스와 영국이 5승 4패로 예선 전적이 동일해 타이브레이크에서 승리한 스위스가 예선 4위로 결선에 진출했다.

4.1.2. 결선[편집]


12345678910결과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예선 1위)20040210XX9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예선 4위)01001001XX3

12345678910결과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예선 2위)01010000103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예선 3위)00101002015

12345678910결과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000201020X5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011020201X7

12345678910결과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020020102X7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002102050X10

4.2. 여자[편집]



4.2.1. 예선[편집]


예선 순위국가스킵
1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김은정81
2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안나 하셀보리72
3파일:영국 국기.svg 영국이브 뮤어헤드63
4파일:일본 국기.svg 일본후지사와 사츠키54
5파일:중국 국기.svg 중국왕빙위45
6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레이첼 호먼45
7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실바나 티린초니45
8파일:미국 국기.svg 미국니나 로스45
9파일:오륜기.svg OAR빅토리아 모이세바27
10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마델레이네 두폰트18

4.2.2. 결선[편집]


1234567891011결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예선 1위)301020010018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예선 4위)020101002107

12345678910결과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예선 2위)020102302X10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예선 3위)001020020X5

12345678910결과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10101000003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01010001115

12345678910결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100001010X3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002110301X8

4.3. 믹스더블[편집]



4.3.1. 예선[편집]


예선 순위국가
1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61
2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52
3파일:오륜기.svg OAR43
4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43
5파일:중국 국기.svg 중국43
6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25
7파일:미국 국기.svg 미국25
8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16

예선 결과 노르웨이와 중국이 4승 3패로 예선 전적이 동일해 타이브레이크에서 승리한 노르웨이가 예선 4위로 결선에 진출했다.

4.3.2. 결선[편집]


12345678결과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예선 1위)2001203X8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예선 4위)0110020X4

12345678결과
파일:오륜기.svg OAR (예선 3위)020021005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예선 2위)201100217

12345678결과
파일:오륜기.svg OAR210201118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002020004

12345678결과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204022XX10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020100XX3

5. 최종 메달리스트[편집]


최종 메달리스트
종목금메달은메달동메달
믹스더블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케이틀린 로스
존 모리스
제니 페렛
마르틴 리오스
크리스틴 스카슬리엔
망누스 네드레고텐
남자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존 슈스터
타일러 조지
맷 해밀턴
존 랜즈타이너
조 폴로
니클라스 에딘
오스카르 에릭손
라스무스 브라노
크리스토페르 순드그렌
헨릭 릭
피터 드 크루즈
브누와 슈바르츠
클라우디오 패츠
발렌틴 타너
도미닉 마르키
여자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안나 하셀보리
사라 망마누스
앙네스 크노셴하우에르
소피아 마베리스
옌니에 볼린
김은정
김경애
김선영
김영미
김초희
후지사와 사츠키
요시다 치나미
스즈키 유미
요시다 유리카
모토하시 마리

6. 기타[편집]



7.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8-04 06:57:35에 나무위키 2018 평창 동계올림픽/컬링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16년과 2017년 세계선수권에 출전하지 못한 2014년과 2015년 세계선수권 참가팀에게도 최종예선 출전 기회가 주어져, 체코 남자팀과 라트비아 여자팀이 최종예선에 출전했다.[2] 경북체육회[3] 덴마크 여자 대표팀 데니세 두폰트, 마델레이네 두폰트 자매의 동생. 이후 빅토리아 모이세바와 결혼했다.[4] 여자 대표팀 리드 베카 해밀턴의 오빠[MD] A B C 믹스더블도 출전[5] SC카루이자와클럽[6] 캐머런 스미스의 형[7] 글렌 뮤어헤드, 여자 대표팀 스킵 이브 뮤어헤드의 동생[8] 카일 스미스의 동생[9] 여자 대표팀 스킵 이브 뮤어헤드의 오빠, 토머스 뮤어헤드의 형[10] 모로즈미 코스케의 형[11] 모로즈미 유스케의 동생[12] 2014 소치 동계올림픽 때 캐나다 여자 대표팀 스킵 제니퍼 존스의 남편[13] 경북체육회[14] 데니세 두폰트의 동생, 남자 대표팀 리드 올리베르 두폰트의 누나.[15] 마델레이네 두폰트의 언니, 남자 대표팀 리드 올리베르 두폰트의 누나.[16] 이후 덴마크 남자 대표팀 리드 올리베르 두폰트와 결혼했다.[17] 남자 대표팀 세컨드 맷 해밀턴의 동생[18] LS키타미[19] 2014 소치 동계올림픽 때 중국 여자 대표팀 핍스 장이룬의 조카. 다만 장이룬보다 4살 더 어려 나이차가 크지 않다.[20] 여자 세계선수권 첫 전승 우승이었다.[21] 경북체육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