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평창 동계올림픽/컬링
(♥ 0)
||1. 개요[편집]
2018년 2월 8일부터 2월 25일까지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개최된 컬링 종목 일정 및 결과를 정리한 문서.
믹스더블 종목이 추가되면서 컬링은 개막식 이전 사전경기로 시작해 폐막식 당일까지 매일 경기가 열렸다.
믹스더블 종목에서 OAR의 남자선수 알렉산드르 크루셸니츠키가 도핑에서 적발되면서 OAR의 동메달은 박탈됐다.
2. 출전권[편집]
개최국을 제외한 올림픽이 있기 직전 2년간 세계선수권 성적에 따른 포인트로 개최국 제외 상위 7개국이 올림픽에 직행하고 최종예선을 통해 2개국에게 올림픽 출전권이 주어졌다.[1] 신설된 믹스더블은 별도의 최종예선 없이 개최국 제외 세계선수권에 성적에 따른 상위 7개국이 올림픽에 출전했다.
- 남자
- 여자
- 믹스더블
3. 참가 선수 명단[편집]
3.1. 남자[편집]
3.1.1. 각 팀 스킵 간략 정보[편집]
- 토마스 울스루(노르웨이, WCT 랭킹 14위): 2010 밴쿠버 올림픽 은메달, 2006·2008·2009 세계선수권 동메달, 유럽선수권 2회 우승(2010·2011), 1988 세계주니어선수권 동메달
2014 소치 올림픽(5위)에도 출전했다.
- 라스무스 스티에르네(덴마크, WCT 랭킹 34위): 2016 세계선수권 은메달, 2009 세계주니어선수권 금메달
2014 소치 올림픽(6위)에도 출전했다.
- 존 슈스터(미국, WCT 랭킹 23위): 2006 토리노 올림픽 동메달(당시 리드), 2016 세계선수권 동메달, 2007 유니버시아드 금메달
2010 밴쿠버 올림픽(10위)과 2014 소치 올림픽(9위)에도 출전했다.
- 니클라스 에딘(스웨덴, WCT 랭킹 1위): 2014 소치 올림픽 동메달, 2013·2015 세계선수권 금메달, 2017 세계선수권 은메달, 2011·2012 세계선수권 동메달, 유럽선수권 6회 우승(2009·2012·2014·2015·2016·2017), 2004 세계주니어선수권 금메달, 2005·2006·2007 세계주니어선수권 은메달, 2009 유니버시아드 금메달
- 카일 스미스(영국, WCT 랭킹 16위): 2013 세계주니어선수권 금메달, 2014 세계주니어선수권 은메달, 2012 세계주니어선수권 동메달, 2013 유니버시아드 은메달, 2015 유니버시아드 동메달
- 조엘 레토르나(이탈리아, WCT 랭킹 53위): 주요 대회 수상 경력 없음
2006 토리노 올림픽(7위)에도 출전했다.
- 모로즈미 유스케(일본, WCT 랭킹 35위): 아시아태평양선수권 1회 우승(2016), 2017 아시안게임 은메달
3.2. 여자[편집]
3.2.1. 각 팀 스킵 간략 정보[편집]
2010 밴쿠버 올림픽(5위, 포스)에도 출전했다.
- 빅토리아 모이세바(OAR, WCT 랭킹 17위): 유럽선수권 1회 우승(2016), 2011·2012 세계주니어선수권 동메달, 2013·2015 유니버시아드 금메달, 2017 유니버시아드 은메달
- 니나 로스(미국, WCT 랭킹 9위): 주요 대회 수상 경력 없음
- 이브 뮤어헤드(영국, WCT 랭킹 4위): 2014 소치 올림픽 동메달, 2013 세계선수권 금메달, 2010 세계선수권 은메달, 2017 세계선수권 동메달, 유럽선수권 2회 우승(2011·2017), 2007·2008·2009·2011 세계주니어선수권 금메달
- 왕빙위(중국, WCT 랭킹 12위): 2010 토리노 올림픽 동메달, 2009 세계선수권 금메달, 2008 세계선수권 은메달, 2011 세계선수권 동메달, 아시아태평양선수권 6회 우승(2006·2007·2008·2009·2011·2012), 2017 아시안게임 금메달, 2003·2007 아시안게임 동메달, 2009 유니버시아드 금메달
2014 소치 올림픽(7위)에도 출전했다.
3.3. 믹스더블[편집]
3.3.1. 각 팀 간략 정보[편집]
- 노르웨이: 2015 세계믹스더블선수권 동메달
- 대한민국: 주요 대회 수상 경력 없음
- OAR: 2016 세계믹스더블선수권 금메달
- 미국: 주요 대회 수상 경력 없음
- 스위스: 2017 세계믹스더블선수권 금메달
- 캐나다: 주요 대회 수상 경력 없음
케이틀린 로스는 2014 소치 올림픽 때 금메달을 땄었고, 존 모리스는 2010 밴쿠버 올림픽 때 금메달을 땄었다. 원래 모리스의 파트너는 레이첼 호먼이었지만 4인제 대표로 출전하면서 대신 케이틀린 로스로 파트너를 바꿨다.
- 핀란드: 주요 대회 수상 경력 없음
4. 경기 결과[편집]
4.1. 남자[편집]
4.1.1. 예선[편집]
예선 결과 스위스와 영국이 5승 4패로 예선 전적이 동일해 타이브레이크에서 승리한 스위스가 예선 4위로 결선에 진출했다.
4.1.2. 결선[편집]
- 준결승전
- 동메달 결정전
- 결승전
4.2. 여자[편집]
4.2.1. 예선[편집]
4.2.2. 결선[편집]
- 준결승전
- 동메달 결정전
- 결승전
4.3. 믹스더블[편집]
4.3.1. 예선[편집]
예선 결과 노르웨이와 중국이 4승 3패로 예선 전적이 동일해 타이브레이크에서 승리한 노르웨이가 예선 4위로 결선에 진출했다.
4.3.2. 결선[편집]
- 준결승전
- 동메달 결정전
- 결승전
5. 최종 메달리스트[편집]
6. 기타[편집]
7. 관련 문서[편집]
- 2018 평창 동계올림픽/대한민국/컬링
- 경북체육회 컬링팀: 2018 평창 올림픽 대한민국 남녀, 믹스더블 대표팀
- 로코 솔라레: 2018 평창 올림픽 일본 여자 대표팀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8-04 06:57:35에 나무위키 2018 평창 동계올림픽/컬링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16년과 2017년 세계선수권에 출전하지 못한 2014년과 2015년 세계선수권 참가팀에게도 최종예선 출전 기회가 주어져, 체코 남자팀과 라트비아 여자팀이 최종예선에 출전했다.[2] 경북체육회[3] 덴마크 여자 대표팀 데니세 두폰트, 마델레이네 두폰트 자매의 동생. 이후 빅토리아 모이세바와 결혼했다.[4] 여자 대표팀 리드 베카 해밀턴의 오빠[MD] A B C 믹스더블도 출전[5] SC카루이자와클럽[6] 캐머런 스미스의 형[7] 글렌 뮤어헤드, 여자 대표팀 스킵 이브 뮤어헤드의 동생[8] 카일 스미스의 동생[9] 여자 대표팀 스킵 이브 뮤어헤드의 오빠, 토머스 뮤어헤드의 형[10] 모로즈미 코스케의 형[11] 모로즈미 유스케의 동생[12] 2014 소치 동계올림픽 때 캐나다 여자 대표팀 스킵 제니퍼 존스의 남편[13] 경북체육회[14] 데니세 두폰트의 동생, 남자 대표팀 리드 올리베르 두폰트의 누나.[15] 마델레이네 두폰트의 언니, 남자 대표팀 리드 올리베르 두폰트의 누나.[16] 이후 덴마크 남자 대표팀 리드 올리베르 두폰트와 결혼했다.[17] 남자 대표팀 세컨드 맷 해밀턴의 동생[18] LS키타미[19] 2014 소치 동계올림픽 때 중국 여자 대표팀 핍스 장이룬의 조카. 다만 장이룬보다 4살 더 어려 나이차가 크지 않다.[20] 여자 세계선수권 첫 전승 우승이었다.[21] 경북체육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