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아계 멕시코인

덤프버전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CF0921 10%,#fff 10%,#fff 90%,#000 90%)"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text-align: left"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margin-right:10px; border:1px solid #aaa"
[[시리아|[[파일:시리아 국기.svg|height=35&align=left]]]]
{{{#!wiki style="display: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text-align: left"시리아
관련 문서
}}}}}}
<^|1><height=34><color=#fff><bgcolor=#000,#1f2023>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6847 33%,#FFF 33%,#FFF 66%,#CE1125 33%)"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text-align: left"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margin-right:10px; border:1px solid #000"
[[멕시코|[[파일:멕시코 국기.svg|height=35&align=left]]]]
{{{#!wiki style="display: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text-align: left"멕시코
관련 문서
}}}}}}
<^|1><height=34><bgcolor=#ffffff,#1f2023>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펼치기 · 접기 ]

상징국가 · 국장
역사역사 전반 · 올멕 · 아즈텍 · 마야 문명 · 테노치티틀란 · 누에바에스파냐 · 멕시코 제국(제1제국 · 제2제국) · 임시정부 · 제1연방공화국 · 중앙집권공화국 · 제2연방공화국 · 멕시코 혁명
정치정치 전반 · 멕시코 대통령
외교외교 전반 · 멕시코 여권 · 이베로-아메리카 공동체 · G20 · APEC
교통CAPUFE · 시외버스 · 멕시코시티 국제공항 · 펠리페 앙헬레스 국제공항 · 몬테레이 국제공항 · 칸쿤 국제공항 · 톨루카 아돌포 로페스 마테오스 국제공항 · 아에로멕시코 · 아에로멕시코 커넥트 · 볼라리스 항공 · 비바 아에로부스 항공 · 마스 에어 · 멕시카나 데 에비에이션 · 멕시카나 항공 · 철도 환경
사회마약 카르텔/멕시코
경제경제 전반 · 페소 · USMCA · MIKTA · 넥스트 일레븐
국방멕시코군(육군 · 해군 · 공군)
치안·사법멕시코 치안 · 멕시코 연방경찰청
문화요리 · 영화 · 멕시코 축구 국가대표팀 · 멕시코 야구 국가대표팀 · 망자의 날
언어스페인어 · 나와틀어 · 마야어 · CELA
인물판초 비야 · 기예르모 델 토로 · 카를로스 슬림 · 프리다 칼로 · 디에고 리베라
지리멕시코 시티 · 치와와 · 소노라 · 바하 칼리포르니아
민족멕시코인 · 스페인계 멕시코인 · 독일계 멕시코인 · 한국계 멕시코인 · 아랍계 멕시코인 · 미국계 멕시코인 · 마야인 · 일본계 멕시코인 · 러시아계 멕시코인 · 폴란드계 멕시코인 · 그리스계 멕시코인 · 아르메니아계 멕시코인 · 프랑스계 멕시코인 · 이탈리아계 멕시코인 · 포르투갈계 멕시코인 · 네덜란드계 멕시코인 · 아일랜드계 멕시코인 · 영국계 멕시코인 · 헝가리계 멕시코인 · 핀란드계 멕시코인 · 크로아티아계 멕시코인

}}}

1. 개요
2. 이민사
3. 현황
4. 목록
5. 관련 문서


아랍어: سوري مكسيكي
스페인어: sirio mexicanos

1. 개요[편집]


시리아계 멕시코인멕시코인 중에서도 시리아에 기원을 둔 멕시코인을 총칭 한다.


2. 이민사[편집]


오늘날 시리아의 대도시에 해당하는 다마스쿠스알레포는 19세기 후반부로 경제 불황에 시달렸다. 특히 당시 시리아 유대인들 상당수는 직물 유통업에 종사하고 있었는데, 오스만 제국에서 지중해 건너 유럽으로 수출하던 견직물, 면직물, 모직물이 국제 시장에서 도태되자, 심각한 경제적 곤경을 겪었다. 이들은 미국 남북전쟁 당시 미국의 목화 수출이 막힌 틈을 타서 이집트에서 면화 수출을 늘리자, 이집트에서 장사를 했으나, 남북전쟁이 끝나자마자 이집트의 면화 산업이 몰락하면서 다시 또 곤경을 겪게 되었고, 이들 상당수는 영국 맨체스터로 이주하게 되었다. 여기서도 또 일부 시리아 유대인들이 현지 사회 적응에 실패하고, 결국 멕시코로 이주하게 되었다.

1930년대 당시 멕시코 시티의 유대인 사회는 시리아 출신 유대인들이 중심이 되었는데 이들은 자신들의 선조가 다마스쿠스 출신인가 아니면 알레포 출신인가를 가지고 서로 나뉘어져 반목하곤 했다.# 그러나 이들 시리아 출신 미즈라힘 유대인들은 인구도 2천여 명 정도로 소규모였던데다 가난한 행상인들이 많았고 특출나게 부유한 것도 아니었다. 시리아계 이민 2세대와 3세대들이 스페인어 이외에 다른 언어를 구사하지 못하고, 유대인이 아닌 다른 사람들과 통혼이 증가하면서 멕시코 내 시리아 유대인 사회는 서서히 해체되었다.


3. 현황[편집]


오늘날 멕시코 내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 교회 교구에서는 시리아 출신 주교가 파견되어 있다.

4. 목록[편집]


  • 로드리고 아베드
  • 이크람 안타키
  • 셰이르 모하메드
  • 이삭 사바 라풀
  • 모리스 술라이만


5.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1-12 06:32:50에 나무위키 시리아계 멕시코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