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규진

덤프버전 :

파일:동양방송 로고_White.svg 공채 탤런트
[ 펼치기 · 접기 ]
동양방송 탤런트
1기(1964)김호정 · 윤소정
2기(1965)김세윤 · 김희준 · 서우림 · 신귀식 · 전양자
3기(1966)윤여정 · 지윤성
4기(1967)김종결 · 박용식 · 서승현
5기(1967)김창숙 · 노주현 · 안병경
6기(1968)강태기 · 김시원 · 김하림 · 정영숙
7기(1968)남성훈 · 봉혜선 · 하용수
8기(1969)김인문 · 연규진 · 임동진 · 정재순 · 최정민
9기(1969)유승봉 · 임병기 · 한진희
10기(1970)김성환 · 김형자 · 박혜숙 · 엄유신 · 이효춘
11기(1971)박영목 · 장용 · 최윤석
12기(1972)문숙 · 박칠용
13기(1972)곽정희 · 남윤정 · 백찬기 · 이덕화
14기(1973)연운경 · 유지인 · 이계영 · 정운용
15기(1974)김주영 · 유병준 · 조양자
16기(1975)장미희
17기(1976)김보미 · 김영란 · 백준기
18기(1977)임성민 · 조은덕
19기(1978)김영철
20기(1978)경인선 · 원미경 · 이미숙 · 차화연
21기(1979)최란 · 최화정
22기(1979)김영기 · 오혜림 · 이기선 · 정한용
23기(1980)유동근 · 이경표 · 한정국
†: 사망한 탤런트
※ 특채 탤런트는 제외
※ 나무위키 등재 인물 기입


연규진
延圭眞 | Youn Kyoo Jin
파일:external/www.golftimes.co.kr/20140326_6120504.jpg
출생1945년 12월 8일 (78세)
미군정 조선 강원도 평창군
(現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본관곡산 연씨 (谷山 延氏)
신체170cm, 70kg
가족아내 전명순
장녀 연정아
장남 연정훈
며느리 한가인
손녀 연제이(2016년 4월 13일생)
손자 연재우(2019년 5월 13일생)
학력평창초등학교
원주중학교
원주고등학교
동국대학교 (경제학 / 학사)
데뷔1969년 TBC 공채 8기 탤런트
경력1996.07 서울문화예술원 원장
종교불교(법명 : 법흥)[1]

1. 개요
2. 상세
3. 주요 출연작
3.1. 드라마/시트콤
3.2. 영화
3.3. 광고



1. 개요[편집]


대한민국배우.


2. 상세[편집]


TBC 전속 시절 서민적 이미지로 대단한 인기 몰이를 하였으며, 대추나무 사랑걸렸네로 중장년기까지 그 이미지는 계속 되었다. 특히 달동네에서 춘배 역할을 맡아 4살 연상인 강부자와 모자로 출연하여 연기한 것은 레전드로 꼽힌다. 이때 맡은 '춘배'라는 배역명이 촌스러운 이름으로 서민적으로 다가갔던 것 이상으로, 그 그림자를 벗는데 고생을 했다. 1980년대에서 1990년대에 걸쳐 김영애 등과 함께 식품회사 오뚜기 전속 모델이었다.

완전히 며느리 바보로, 며느리 한가인에게는 아예 꼼짝을 못한다. 한가인이 채식주의자인 탓에 그렇게 좋아하는 쇠고기도 못 먹게 되어 쩔쩔맨 적이 있다.

현재는 원로 배우이며 TBC 전속 시절부터 인기가 좋았고, 평범한 얼굴에 연기력이 좋아 다양한 역할을 맡을 수 있었다. 어리숙한 역이나, 성실한 장남, 때론 야비한 역할 등등. 그래서 활동 기간이 긴 만큼 출연작이 엄청 많다. 아쉽게도 70년대, 80년대 전성기 작품들 영상이 많이 남아있지 않아 그의 활약상이 잊혀진 감이 있다. 그러나 그 시절 부를 잘 축적해 안정적 노년기를 보내는 배우다.[2]


3. 주요 출연작[편집]



3.1. 드라마/시트콤[편집]


연도방송사방송명배역비고
1970년파일:동양방송 로고.svg아내의 모습
1973년연화
1975년푸른 날개
1979년만년형사
족보
1976년결혼행진곡
1978년언약
1979년야 곰례야창식이
1980년~1983년파일:KBS 1TV 로고(1980-1984).svg소망[3]
1980년~1981년달동네박춘배[4]
1981년파일:KBS 2TV 로고(1980-1984).svg지금은 사랑할 때
1981년~1986년형사
1983년산유화
1984년파일:KBS 1TV 로고(1980-1984).svg객사2부작
1984년~1985년파일:KBS 2TV 로고(1980-1984).svg가족
1985년~1986년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즐거운 우리집
1986년형사 25시
1987년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TV 문학관 - 눈보라273회, 4월 25일 방영
TV소설 진주탑[5]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함 사세요
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토지조준구
1988년사랑의 기쁨
1989년조명하1부작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무풍지대임화수
절반의 실패
1990년파일:MBC 로고(1986-2005).svg똠방각하김덕수
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왕조의 세월이기현
1990년~1998년대추나무 사랑걸렸네황대성[6]
1990년1990년 12월 24일 눈 쏟아짐
1991년파일:MBC 로고(1986-2005).svg이별의 시작김효준
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내일은 봄
파일:SBS 로고(1991-1994).svg은하수를 아시나요도일
1992년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숲속의 바람장문호
파일:MBC 로고(1986-2005).svg베스트셀러극장 '금연주식회사'정연호[7]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비가비
1993년사랑은 못말려
1994년한쪽 눈을 감아요
1995년파일:SBS 로고(1994-2000).svg서울 야상곡동창호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좋은 남자 좋은 여자김대호
파일:SBS 로고(1994-2000).svg코리아게이트오원철
1996년~1997년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사랑할 때까지백동만
1997년파일:SBS 로고(1994-2000).svg여자성덕도
미아리 일번지구만섭
LA 아리랑
파일:MBC 로고(1986-2005).svg남자 셋 여자 셋
1997년~1998년영웅신화김인우 고모부
1998년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행복을 만들어 드립니다
파일:SBS 로고(1994-2000).svg삼김시대오원철
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살다보면
1998년~1999년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천사의 키스조용우
1999년어사출두
1999년~2000년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누나의 거울
2000년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성난 얼굴로 돌아보라동훈 부
2000년~2001년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좋은걸 어떡해박기준
2000년파일:MBC 로고(1986-2005).svg가시고기민윤식
2001년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매화연가
2001년~2002년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아버지처럼 살기 싫었어
파일:KBS 로고(1984-2023).svg학교4황대영[8]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꿈꾸는 가족가정의 달 특집 드라마[9]
동서는 좋겠네윤학수
2002년파일:MBC 로고(1986-2005).svg가화만사성정태
2002년~2003년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당신 옆이 좋아장중훈
2003년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장미울타리강완수
2003년~2004년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TV소설 찔레꽃조병우
2004년~2005년파일:MBC 로고(1986-2005).svg영웅시대박춘삼[10]
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불멸의 이순신주태문
2005년TV소설 바람꽃최재규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유행가가 되리김종열2부작
2006년구름 계단김 사장
2007년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TV소설 그대의 풍경우광남
2008년~2009년파일:SBS 로고.svg가문의 영광이천갑
2010년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바람불어 좋은 날최원배
2010년~2011년파일:MBC 로고(2005-2011).svg글로리아이준호
2011년~2012년파일:JTBC 로고.svg여자가 두번 화장할 때
2012년~2014년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산 너머 남촌에는 2최한필


3.2. 영화[편집]




3.3. 광고[편집]




4. 가족오락관[편집]


  • 1989년 12월 26일
  • 1996년 11월 13일
  • 1999년 5월 5일
  • 1999년 8월 4일
  • 2000년 9월 7일
  • 2002년 4월 6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9 12:55:06에 나무위키 연규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불자인 본인과 달리 아들은 종교가 없다.[2] 과거 배우들, 특히 남자 배우들은 호기로움을 낭만으로 삼았는데, 그러다 노년기를 힘들게 보내는 경우가 꽤 많다. 연규진은 몇 안 되는 예외적 인물.[3] 종합병원을 배경으로 한 우리나라 최초의 순수 메디컬 드라마[4] TBC에서 방영했으나 동양방송이 1980년 12월 1일 언론통폐합으로 인해 KBS로 이동되면서 KBS 1TV에서 이어서 방영하였다. KBS 1TV의 첫 일일연속극이기도 하다.[5] '몽테크리스토 백작'을 번안한 소설 '진주탑'을 원작으로 한 드라마[6] 1기 출연, 1990년 9월 9일~1998년 9월 9일 방영[7] 다름 아닌 스티븐 킹 원작 단편소설을 드라마화했다. 12월 13일 일요일에 방영했다.[8] 28회까지는 KBS1에서 방영했는데, 가을 개편으로 29회부터는 KBS2에서 방영했다.[9] 5월 2일 방영.[10] 2기, 2003년 정몽헌 회장 자살 당시 (1회~2회 초반), 5.16 군사정변부터~70년대까지 (39회~70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