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주군 제1선거구

덤프버전 :




파일:울산광역시 휘장_White.svg 울산광역시의회선거구
파일:지방의회 휘장.svg
울주군 제1선거구>
온산읍, 온양읍, 청량읍, 서생면, 웅촌면
蔚州郡 第一選擧區
Ulju District 1
파일:울주군_제1선거구8.png
선거인 수72,952명 (2022년)
상위 행정구역울산광역시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울주군 일부
온산읍, 온양읍, 청량읍, 서생면, 웅촌면
시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공진혁 (초선)

1. 개요
2. 역대 선거 결과[1]



1. 개요[편집]


울산광역시의회의 선거구로 울산광역시 울주군의 남부 지역을 관할한다.

원래 군 지역 답게 보수세가 아주 극강인 지역이였으나, 읍이 세 곳이 되는 것에서도 보이다시피 공단이 지어지고 기차역과 택지지구가 지어짐에 따라 보수세가 이전보단 많이 약해진 편이다. 하지만 아직 미개발지인 곳도 많고, 여전히 읍 지역들도 국민의힘의 지지율이 월등히 높은 편이라 7회 지선 때를 제외하면 모두 주류 보수정당 후보가 승리했다.

2. 역대 선거 결과[2][편집]


대수당선자당적임기비고
울주군 제1선거구
제2대차현철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3]
울주군 제1,2선거구
제3대노진달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4][5]
서진기[6]
제4대홍종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3]
천명수[5]
제5대한동영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3]
윤시철[5]
제6대한동영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14년 7월 1일 ~ 2018년 4월 9일[7][3]
윤시철2014년 7월 1일 ~ 2018년 4월 16일[8][5]
제7대서휘웅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9]
윤덕권[10][11]
울주군 제1선거구
제8대공진혁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2022년 7월 1일 ~ 현재[12]

2.1.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울주군 제1선거구
온산읍, 서생면, 온양면, 청량면, 웅촌면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차현철(車鉉澈)9,562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32.29%당선
2구용교(具龍敎)2,4386위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8.23%낙선
3최종언(崔鍾彦)3,5574위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12.01%낙선
4박영구(朴寧九)6,5782위

[[무소속|
무소속
]]
22.21%낙선
5이동석(李東碩)3,3905위

[[무소속|
무소속
]]
11.45%낙선
6한재동(韓在東)4,0813위

[[무소속|
무소속
]]
13.78%낙선
선거인 수49,292투표율
53.20%
투표 수30,570
무효표 수964

2.2.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울주군 제1선거구
온산읍, 온양읍, 서생면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노진달(盧鎭撻)-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무투표 당선
선거인 수-투표율
-
투표 수-
무효표 수-

울주군 제2선거구
범서읍, 청량면, 웅촌면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서진기(徐鎭淇)14,827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69.10%당선
3하홍권(河洪權)6,6292위

[[민주노동당|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
30.89%낙선
선거인 수41,685투표율
53.16%
투표 수22,161
무효표 수705

2.3.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울주군 제1선거구
온산읍, 온양읍, 서생면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한효동(韓孝東)4,2252위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20.70%낙선
2홍종필(洪鍾弼)7,909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38.76%당선
6김명호(金明鎬)2,0004위

[[무소속|
무소속
]]
9.80%낙선
7신영한(申榮翰)1,2945위
6.34%낙선
8이종직(李鍾直)8676위
4.24%낙선
9한재동(韓在東)4,1103위
20.14%낙선
선거인 수37,380투표율
55.67%
투표 수20,812
무효표 수407

울주군 제2선거구
범서읍, 청량면, 웅촌면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석암(金石岩)4,0503위
15.79%낙선
2천명수(千明秀)9,6791위
37.75%당선
4조정호(曺正鎬)4,0064위
15.62%낙선
6서진기(徐鎭淇)6,0612위
23.62%낙선
7이태우(李泰佑)1,8435위
7.18%낙선
선거인 수45,777투표율
56.84%
투표 수26,021
무효표 수382

2.4.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울주군 제1선거구
온산읍, 온양읍, 서생면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한동영(韓同英)7,7161위
36.16%당선
2김명호(金明鎬)5,1793위
24.27%낙선
7이동철(李東哲)2,5784위
12.08%낙선
8홍종필(洪鍾弼)5,8642위
27.48%낙선
선거인 수39,980투표율
54.84%
투표 수21,928
무효표 수591

울주군 제2선거구
범서읍, 청량면, 웅촌면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윤시철(尹侍喆)17,7931위
53.05%당선
7고성준(高成駿)15,7462위
46.94%낙선
선거인 수60,588투표율
56.89%
투표 수34,470
무효표 수931

2.5.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울주군 제1선거구
온산읍, 온양읍, 서생면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한동영(韓同英)14,3461위
64.99%당선
4김명호(金明鎬)7,7272위
35.00%낙선
선거인 수46,377투표율
49.68%
투표 수23,042
무효표 수969

울주군 제2선거구
범서읍, 청량면, 웅촌면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윤시철(尹侍喆)22,5781위
58.18%당선
2이구섭(李球燮)16,2242위
41.81%낙선
선거인 수67,834투표율
58.74%
투표 수39,851
무효표 수1,049

2.6.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울주군 제1선거구
온산읍, 온양읍, 서생면, 웅촌면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서휘웅(徐輝雄)11,6001위
36.99%당선
2한성율(韓成律)10,8972위
34.75%낙선
3이상용(李相龍)3,5974위
11.47%낙선
6정병만(鄭柄萬)5,2603위
16.77%낙선
선거인 수55,646투표율
59.36%
투표 수32,659
무효표 수1,305

울주군 제2선거구
범서읍, 청량읍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윤덕권(尹德權)25,0931위
54.16%당선
2김헌득(金憲得)15,1132위
32.62%낙선
6최한석(崔瀚碩)3,8023위
8.20%낙선
7김봉재(金奉才)2,3184위
5.00%낙선
선거인 수70,110투표율
68.48%
투표 수48,016
무효표 수1,689

2.7.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울주군 제1선거구
온산읍, 온양읍, 청량읍, 서생면, 웅촌면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서휘웅(徐輝雄)13,2112위
38.09%낙선
2공진혁(孔振赫)21,4651위
61.90%당선
선거인 수72,952투표율
49.00%
투표 수35,570
무효표 수894
범서읍의 인구가 7만명에 근접해지면서 기존 울주군 제2선거구의 청량읍을 이 곳으로 넘겼다. 민선 2기 당시 울주군 제1선거구와 관할 구역이 다시 일치하게 됐다. 개발이 진행된 읍 지역이긴 하나 온산읍이나 온양읍에 비해 약간 보수적인 지역이라 그닥 국민의힘에게 불리해졌다 보기는 힘들다.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서휘웅 시의원이 그대로 단수공천을 받으며 재선에 도전한다.

국민의힘에서는 1차 공천때 후보를 정하지 못하고 공진혁 울주군족구협회장과 김민재 울주군 당협위원회 미래세대위원장이 경선을 치러 공진혁 후보가 승리하였다.

다른 정당이나 무소속 후보는 출마하지 않아 양당 1:1구도가 형성되었다.

개표 결과 국민의힘 공진혁 후보가 23%.8%p차 낙승으로 여유롭게 탈환하였다. 세부적으로 보면 두 후보의 고향인 온양읍에서 57.3% : 43.7%로 가장 격차가 좁으면서도 서휘웅 후보가 유일하게 40% 이상 득표율을 올렸고, 온산읍에서는 60.4% : 39.6%로 6대4정도 나왔다. 새로 합류한 청량읍에서 63.4% : 36.6%로 공진혁 후보 손을 크게 들어줬으며, 절대불변의 보수텃밭인 면 지역 두 곳은 공진혁 후보에게 웅촌면 69.8%, 서생면 70.9%로 더블 스코어차를 만들어주며 적은 인구지만 격차를 더 벌리게 해줬다. 관외사전투표에서는 57.6% : 43.4%로 비록 두 자릿 수 차지만 평상시 양상처럼 더불어민주당 후보인 서휘웅 후보가 선전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1] 울산광역시가 출범한 것은 1997년 7월 15일로, 1대 시의회의 경우 임기가 1년도 채 남지 않은 관계로 경상남도의원 중 울산 지역구 의원들과 경상남도 울산시의원들이 그대로 계승하여 울산광역시의원을 역임했으므로 기술하지 않음.[2] 울산광역시가 출범한 것은 1997년 7월 15일로, 1대 시의회의 경우 임기가 1년도 채 남지 않은 관계로 경상남도의원 중 울산 지역구 의원들과 경상남도 울산시의원들이 그대로 계승하여 울산광역시의원을 역임했으므로 기술하지 않음.[3] A B C D 온산읍, 서생면, 온양면, 청량면, 웅촌면[4] 울주군 제1선거구 (온산읍, 온양읍, 서생면)[5] A B C D 2001년 3월 1일에 온양면이 온양읍으로 승격되었다.[6] 울주군 제2선거구 (범서읍, 청량면, 웅촌면)[7] 7회 지선 울주군수 선거 출마를 위해 사직.[8] 7회 지선 울주군수 선거 출마를 위해 사직.[9] 울주군 제1선거구 (온산읍, 온양읍, 서생면, 웅촌면)[10] 울주군 제2선거구 (범서읍, 청량읍)[11] 2018년 4월 1일에 청량면이 청량읍으로 승격되었다.[12] 온산읍, 온양읍, 청량읍, 서생면, 웅촌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