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성환

덤프버전 :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대한민국 국군 >>{{{#!wiki style="margin: -3px 0px;"
합동군사대학교 총장
[ 펼치기 · 접기 ]
해군 출신}}}
파일:Brigadier General_white.png
초대}}}
파일:external/flagspot.net/kr%5Em2.gif
모종화
제2대}}}
파일:external/flagspot.net/kr%5Em2.gif
김영식
제3대}}}
파일:external/flagspot.net/kr%5Em2.gif
윤완선
제4대}}}
파일:external/flagspot.net/kr%5Ea2.gif
유병길
제5대}}}
파일:external/flagspot.net/kr%5Ea2.gif
최근영
제6대}}}
파일:external/flagspot.net/kr%5Em2.gif
조한규
제7대}}}
파일:external/flagspot.net/kr%5Em2.gif
인성환
제8대}}}
파일:external/flagspot.net/kr%5Ea1.gif
이성훈

※ 초대~7대: 소장 · 8대~현재: 준장



대한민국 제9대 국가안보실 제2차장
인성환
印成煥 / YIN Sunghwan
파일:인성환2차장.jpg
출생1963년
학력육군사관학교 (문학 / 학사)
버밍엄 대학교 대학원 (국제학 / 석사)
현직국가안보실 제2차장
대통령직속 국방혁신위원회 간사[당연직]
군사 경력
복무대한민국 육군
1987년 ~ 2020년
임관육군사관학교 (43기)
최종 계급소장 (대한민국 육군)
최종 보직제2군단 부군단장
주요 보직합동군사대학교 총장
합동참모본부 전작권전환추진단장
제56보병사단
한미연합사단 부사단장
한미연합군사령부 정책처장
한미연합군사령부 지상작전과장
제9공수특전여단 참모장
제28보병사단 제82보병연대

1. 개요
2. 생애
2.1. 학력
2.2. 주요 경력
3. 기타
4. 관련 문서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 육군의 전직 군인. 최종 계급은 소장이다.


2. 생애[편집]


한국전쟁과 베트남전쟁에 참전한 아버지(국가유공자, 예비역 상사) 뒤를 이어 육군에 투신, 1987년 육군사관학교(43기)를 졸업 후 소위로 임관했다.

임관 후 미국과의 연합작전 및 대미정책 분야에서 많은 경력을 쌓아올린 미국통이다.


2.1. 학력[편집]




2.2. 주요 경력[편집]




  • 대위
    • 제27보병사단 제79보병연대 제2대대 제7중대장 (1991.)
    • 유엔군사령부 JSA 경비대대 경비중대장 (1992.)[2]




  • 준장
    • 한미연합사단 한측 부사단장 (2015.)[3]




3. 기타[편집]


  • 미국통으로서 대위시절 한국군 장교 최초로 JSA 경비중대장을 맡았고, 미합중국 중부사령부 파견 임무수행 중 공로를 인정받아 근로공모훈장을 받았다#. 이후 56사단장 시절 미 정부로부터 한미연합사단 창설 기여 공로를 인정받아 외국군에게 수여하는 최고훈장인 공로훈장을 받기도하였다.


4. 관련 문서[편집]




5. 둘러보기[편집]


파일:대한민국 대통령실 흰색 심볼.svg 국가안보실
[ 펼치기 · 접기 ]
국가안보실장[1]
조태용
제1차장[2]제2차장
김태효인성환
안보전략비서관[3]임상범국방비서관
{{{-3

육군소장
최병옥
외교비서관이충면사이버안보비서관윤오준
통일비서관공석국가위기관리센터장
{{{-3

해군소장
김상호
경제안보비서관왕윤종
※ 첨자 : [1] NSC 상임위원장, [2] NSC 사무처장, [3] NSC 사무차장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4 22:53:35에 나무위키 인성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문재인 정부에서는 2차장이 외교 담당인 반면, 윤석열 정부에서는 1차장이 외교, 2차장이 군사를 맡는다[당연직] 관련 규정에 따라 국가안보실 제2차장이 보임된다.[2] 한국군 초대 JSA경비중대장[3] 한국군 초대 연합사단 부사단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