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원용

덤프버전 :


>
조선 영의정
순조 ~ 고종
[ 펼치기 · 접기 ]
제212대}}}
심환지
제213대}}}
이시수
제214대}}}
이병모
제215대}}}
서매수
제216대}}}
이병모
제217대}}}
김재찬
제218대}}}
서용보
제219대}}}
한용귀
제220대}}}
김재찬
제221대}}}
남공철
제222대}}}
이상황
제223대}}}
심상규
제224대}}}
이상황
제225대}}}
조인영
제226대}}}
권돈인
제227대}}}
정원용

제228대}}}
조인영
제229대}}}
권돈인
제230대}}}
김흥근
제231대}}}
김좌근
제232대}}}
정원용
제233대}}}
김좌근

제233대}}}
김좌근
제234대}}}
조두순
제235대}}}
이경재
제236대}}}
김병학
제237대}}}
정원용
제238대}}}
김병학
제239대}}}
홍순목
제240대}}}
이유원
제241대}}}
이최응
제242대}}}
서당보
제243대}}}
홍순목
제244대}}}
김병국
제245대}}}
심순택
제246대}}}
김병시
제247대}}}
김홍집



조선 정승

순조 ~ 고종
[ 좌의정 ]
제306대}}}
이시수
제307대}}}
서용보
제308대}}}
이시수
제309대}}}
서매수
제310대}}}
한용귀
제311대}}}
서용보
제312대}}}
이시수
제313대}}}
김재찬
제314대}}}
한용귀
제315대}}}
김재찬
제316대}}}
김사목
제317대}}}
남공철
제318·319대}}}
이상황
제320대}}}
이존수
제321·322·323대}}}
이상황

제324대}}}
심상규
제325대}}}
홍석주

제325대}}}
홍석주
제326대}}}
박종훈
제327대}}}
김홍근
제328대}}}
정원용
제329대}}}
권돈인
제330·331대}}}
김도희

제330·331대}}}
김도희
제332대}}}
박종훈
제333대}}}
김홍근
제334대}}}
김홍근
제335대}}}
이헌구
제336대}}}
조두순
제337대}}}
박회수
제338대}}}
조두순

제339대}}}
이유원
제340대}}}
김병학
제341대}}}
강로
제342대}}}
이최응
제343·344대}}}
김병국
제345대}}}
송근수
제346대}}}
김병국
제347대}}}
김홍집
제348대}}}
김병시
제349대}}}
김홍집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 우의정 ]
제340대}}}
서용보
제341대}}}
김관주
제342대}}}
이경일
제343대}}}
김달순
제344대}}}
서용보
제345대}}}
김재찬
제346대}}}
김사목
제347대}}}
남공철
제348대}}}
임한호
제349대}}}
심상규

제350대}}}
이존수
제351대}}}
정만석
제352대}}}
김이교
제353·354대}}}
박종훈

제353·354대}}}
박종훈
제355대}}}
이지연
제356대}}}
조인영
제357대}}}
정원용

제358대}}}
권돈인
제359대}}}
김도희
제360대}}}
박회수

제361대}}}
박영원
제362대}}}
김좌근
제363·364·365대}}}
조두순

제366대}}}
이경재
제367대}}}
임백경
제368대}}}
류후조
제369대}}}
홍순목
제370대}}}
한계원
제371대}}}
박규수
제372대}}}
김병국
제373대}}}
김병덕
제374대}}}
심순택
제375대}}}
김병시




조선 영의정
문충공(文忠公)
정원용
鄭元容
출생1783년(정조 7)
사망1873년(고종 10) (향년 91세)
재임기간제229대 영의정 (2년 2개월 26일)
1848년 8월 12일 - 1850년 11월 7일
(음력 헌종 14년 7월 14일 - 철종 1년 10월 4일)
제234대 영의정 (4년 8개월 6일)
1859년 2월 14일 - 1863년 10월 20일
(음력 철종 10년 1월 12일 - 철종 14년 9월 8일)
제239대 영의정 (10일)
1869년 5월 22일 - 1869년 6월 1일
(음력 고종 6년 4월 11일 - 고종 6년 4월 21일)
시호문충(文忠)
본관동래 정씨[1]
선지(善之)
경산(經山)
부모부친 - 정동만(鄭東晩, 1753 ~ 1822)
모친 - 용인 이씨 이숭우(李崇祐)의 딸
부인강릉 김씨 김계락(金啓樂)의 딸
자녀장남 - 정기세(鄭基世)
차남 - 정기년(鄭基年)
3남 - 정기명(鄭基命)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동래, 자는 선지(善之). 호는 경산(經山),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정조의 마지막 혈통인 헌종이 승하하자 정조의 이복동생들 중 유일하게 자손을 남긴 은언군 가문에서 왕통을 계승해야했다. 이에 영의정 정원용과 안동김씨는 계승서열 1위이자 철종의 사촌형인 26세의 익평군, 서열 2위이자 철종의 바로 윗형인 22세의 영평군, 서열 3위인 19세의 이원범(李元範) 중 이원범의 옹립을 주장하여 철종으로 즉위하게 하였다.

조선에서 마지막으로 원상을 지낸 인물이다.

2. 생애[편집]


순조 때 문과에 급제해 홍문관 부교리, 직각, 홍문관 부응교, 검교직각, 성균관 대사성, 이조참의, 사간원 대사간, 승정원 좌부승지, 호서외유사, 우승지, 영변부사, 관서외유사, 전라도관찰사, 대사간, 강원도관찰사, 이조참판, 세자시강원 좌부빈객, 내각직제학, 회령도호부사, 사헌부 대사헌, 형조판서, 공조판서, 수원부 유수, 평안도관찰사, 병조판서, 원임제학, 예조판서, 이조판서, 판중추부사, 우의정, 좌의정, 영의정을 지냈다. 영의정 재직 말년 시절 흥선대원군에게 협력하여 경복궁 중건에 앞장섰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2 07:01:53에 나무위키 정원용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첨사공파(詹事公派)-문익공파(文翼公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