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 포레이

덤프버전 :

파일:Annie_Award.png
윈저 맥케이상
[ 펼치기 · 접기 ]
20세기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1972년1973년1974년
맥스 플라이셔데이브 플라이셔월터 란츠텍스 에이버리프리즈 프레렝
1974년1975년
척 존스아트 배빗윈저 맥케이그림 네트윅월트 디즈니
1975년1976년
존 허블리페이스 허블리노먼 맥라렌로버트 캐넌휴 하먼
1976년1977년
루돌프 이징마이클 말테스조지 팔워드 킴볼윌리엄 해나
1977년
조셉 바베라멜 블랭크오스카 피싱거빌 스콧밀트 칼
1978년
제이 워드어브 아이웍스딕 휴머칼 스탈링한스 콘리드
1979년1980년
클라이드 제로니미빌 멜렌데즈매 퀘스텔오토 메스머올리 존스턴
1980년1981년
프랭크 토머스칼 하워드폴 줄리안라번 하딩T. 히
1981년1982년
빌 피트빌 타이틀라존 휘트니켄 헤리스켄 엔더슨
1982년1983년
브루노 보제토준 포레이도날드 W. 그레이엄마크 데이비스에릭 라슨
1983년
프레드 무어클라렌스 내쉬볼프강 레이더먼레오 살킨스티븐 보수스토
1983년1984년
윌프레드 잭슨다우스 버틀러데이비드 핸드잭 키니마이클 라
1984년1985년
로버트 매킴슨리처드 윌리엄스해밀턴 러스크로버트 아벨프레스턴 블레어
1985년
조 그랜트존 핼러스스털링 홀러웨이짐 맥도날드필 먼로
1985년1986년
벤 워셤프레더릭 백샤머스 컬해니윌리엄 T. 허츠이르벤 스펜스
1986년1987년
에머리 호킨스존 란즈베리폴 드리센잭 해나빌 리틀존
1987년1988년
모리스 노블켄 오코너노먼 퍼거슨멜 쇼랠프 박시
1988년1989-1990년
밥 크렘펫티사 데이비드가와모토 기하치로버질 로스아트 클로키
1989-1990년
힉스 로키알렉스 로비돈 메식데즈카 오사무레스터 노브로스
1991년
레이 해리하우젠허버트 클린밥 커츠유리 노르슈테인조 시라쿠사
1991년1992년1993년
루스 키산레스 클라크스탠 프레버그데이비드 힐버만조지 더닝
1993년1994년
로이 E. 디즈니잭 잰더에드 베네딕트아서 데이비스장 밴더 필
1995년1996년
줄스 엥겔반스 게리댄 맥로린메리 블레어버니 매티슨
1996년1997년1998년
타카모토 이와오윌리스 H. 오브라이언마이런 왈드먼폴 윈첼에위빈드 얼
1998년1999년
미야자키 하야오어니스트 핀토프레이 패터슨마르셀 얀코비츠콘 페더슨
2000년
노먼 맥케이브호이트 커틴루실 블리스
21세기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2001년2002년
빌 저스티스피트 알바라도밥 기븐스진 하젤튼플로이드 노먼
2002년2003년2004년
셔먼 형제진 디치존 헨치썰 라벤스크로프트돈 블루스
2004년2005년
버지니아 데이비스아놀드 스탱코니 콜프레드 크리펜타이러스 웡
2006년2007년
안드레아스 데자겐디 타르타콥스키빌 플림턴존 케인메이커글렌 킨
2007년2008년2009년
존 크릭팔루시마이크 저지존 라세터닉 파크팀 버튼
2009년2010년
제프리 카첸버그브루스 팀브래드 버드에릭 골드버그맷 그레이닝
2011년2012년
월터 페리고이뵈르게 링로널드 설테리 길리엄오스카 그릴로
2012년2013년2014년
마크 헨오토모 카츠히로스티븐 스필버그필 티페트디디에 브루너
2014년2015년
돈 러스크리 멘델슨조 랜프트필 로먼타카하타 이사오
2016년2017년
데일 베어캐롤라인 리프오시이 마모루제임스 백스터스티븐 힐렌버그
2017년2018년2019년
웬디 틸비
아만다 포비스
랄프 이글스톤안드레아 로마노프랭크 브랙스톤곤 사토시
2019년2020년
헨리 셀릭론 클레먼츠존 머스커윌리 이토수 C. 니콜스
2020년2021년2022년
브루스 W. 스미스루벤 A. 아퀴노릴리언 슈워츠스즈키 토시오피트 닥터
2022년
에블린 램바트크레이그 맥크라켄



준 포레이
June Foray
파일:MV5BODc4NzU3NjY5Ml5BMl5BanBnXkFtZTcwMzMxNzkyMg@@._V1_.jpg
이름준 포레이
(June Foray)
출생1917년 9월 18일
미국 매사추세츠스프링필드
사망2017년 7월 26일 (향년 99세)
미국 캘리포니아로스앤젤레스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

신체150cm
가족배우자 버나드 바론데스(1941년 결혼~1953년 이혼)
배우자 호바트 도나반(1955년 결혼~1976년 사별)
활동 시기1929년 ~ 2014년
링크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위키 파일:IMDb 로고.svg

1. 개요
2. 생애 및 활동
3. 출연작
4. 여담
5. 관련 인물
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연기 모음

미국의 성우. 생전 멜 블랭크와 더불어 인지도가 드높은 애니메이션 성우였다.


2. 생애 및 활동[편집]


12살 때인 1929년에 지역 라디오 방송국에서 목소리를 알린 이래, 1930년대 후기부터 본인을 주역으로 한 라디오 단막극에 출연하는 등 조금씩 경력을 쌓아가다 1950년 디즈니 작품신데렐라에서 고양이 루시퍼의 성우를 맡으면서부터 본격적인 애니메이션 성우 활동에 임하기 시작했다. 50년대 중반엔 워너 브라더스의 루니 툰에서 마녀 헤이즐을 비롯한 다양한 음역의 여성 캐릭터를 맡았는데 훗날 척 존스는 준의 연기를 '준 포레이는 여자 멜 블랭크가 아닙니다. 멜 블랭크가 남자 준 포레이였죠.'라고 평가하기도 했다.

1950년대 이후엔 해나-바베라 작품들(스쿠비 두, 우주가족 젯슨 플린스톤 등)의 나오는 캐릭터 등의 성우를 맡는 등 TV 애니메이션에도 진출하면서 활동 영역을 넓혔고, 60년대 중반에는 애니메이션 매거진에 준의 활동이 다뤄지게 되며 많은 업계인들과 교류하여 ASIFA-Hollywood의 회원으로 가입하기도 했다.

1995년에는 준의 경력을 기리기 위해 발족한 준 퍼레이 어워드가 창설되었으며, 1996년과 1997년엔 애니 어워드, Voice Acting by a Female Performer in an Animated Television Production 부문으로 수상받기도 했다. 이후 2012년에도 에미상의 Outstanding Performer in an Animated Program 부문에서 수상받았다.

최종적인 업계 경력을 마친 이듬해인 2015년의 자동차 교통사고로 건강이 악화된 이후로 2년이 지나(2017년), 로스앤젤레스의 한 병원에서 세상을 떠났는데 그녀가 100번째 생일을 맞기 두 달 전이었다.


3. 출연작[편집]




4. 여담[편집]


파일:June_Foray_1952.jpg
  • 젊은 시절[1]의 사진을 보면 말년의 사진과는 사뭇 다른 분위기를 풍긴다.
  • 두 번 결혼했지만 자녀는 없었다.
  • 리처드 닉슨이 작성한 정치적 반대자 리스트의 명단에 포함되어 있었다. 등재된 사유는 닉슨 행정부 당시의 물가 동결로 인한 여파에 항의하기 위한 불매 운동 단체를 조직했었기 때문이라고.


5. 관련 인물[편집]


영어 위키백과 준 포레이 문서의 필모그래피 문단, 텔레비전 아카데미 인터뷰 영상 자료 웹페이지, The One and Only June Foray 다큐멘터리 자료 등을 참고해 수록하였다.


  • 동료 : 준이 참여한 작품들에서 같이 일했던 제작자, 성우, 배우들이다.
    • 멜 블랭크
    • 스탠 프리버그(Stan Freberg)
    • 척 존스
    • 프리즈 프레렝
    • 로버트 매킴슨
    • 텍스 에이버리 : 1950년대 초기에[2] 연출한 작품들의 배역의 성우를 맡았는데, 텔레비전 아카데미 인터뷰 영상 자료에서 준은 에이버리가 카툰 제작자로 유명했던 이미지와 다르게 조용한 성격의 사람이었다고 회고했다.
    • 윌리엄 해나 & 조셉 바베라
    • 돈 메시크(Don Messick)
    • 프랭크 웰커
    • 썰 라벤스크로프트
    • 제이 워드(Jay Ward)
    • 스티브 앨런(Steve Allen)
    • 다우스 버틀러(Daws Butler)
    • 앨런 리드(Alan Reed)
    • 비 베나더렛(Bea Benaderet)
    • 피터 컬런
    • 루시 테일러
    • 앨런 영(Alan Young)
    • 해밀턴 캠프(Hamilton Camp)
    • 토니 안셀모(Tony Anselmo)



6.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7 13:03:34에 나무위키 준 포레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해당 사진을 찍은 시기가 1952년인 것으로 보아 30대 중반 시절로 보인다.[2] 당시는 에이버리가 MGM에서 일하던 후반기였는데, 슬럼프가 왔었던 시기이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