탁발의로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전구지 前仇池
초대제2대제3대제4대제5대
양무수양난적양의양초습양국
제6대제7대제8대말대
양준양세양통양찬
후구지 後仇池
초대제2대제3대제4대제5대
양정양성양현양보종양난당
제6대말대
양문덕양보치
탕창 宕昌
초대제2대제3대제4대제5대
양근양미홀양호자양미지양미기
제6대제7대제8대제9대제10대
양미박양미힐양미승양미합양미옹
제11대제12대제13대말대
양미태양헌정양미정양노감
등지 鄧至
초대제2대제3대제4대제5대
상서치상서자상굴탐상서팽상남제
등지 鄧至염위 冉魏
말대추존추존초대말대
상첨함원제고제평제해빈후
환초 桓楚
추존초대제2대말대
선무제무도제환진환석수
대 代
초대제2대제3대제4대제5대
목제보근왕대왕평문제혜제
제6대제7대제8대말대부흥
양제열제소성제헌명제탁발규
초촉 譙蜀적위 翟魏선우조 鮮于趙왕씨 정권 王氏
초대초대초대추존초대
성도왕하남공선우걸태상황태평제
우문부 宇文部
초대제2대제3대제4대제5대
보회막나막괴보발구불권
제6대제7대
막규실독관걸득귀일두귀
단부 段部
초대제2대제3대제4대제5대
일륙권걸진무목진취륙권섭부진
제6대제7대제8대제9대제10대
말파단아단료단란단감
말대
단근
서연 西燕
항목 참조




북위 추존 황제
대 초대 국왕
목황제 | 穆皇帝
출생연대 미상
조위 운중군 성락
(現 내몽골 자치구 후허하오터시 허란거얼현)
사망316년
서진 운중군 성락
(現 내몽골 자치구 후허하오터시 허란거얼현)
능묘미상
재위기간탁발부 수령
307년 ~ 315년
초대 국왕
315년 ~ 316년
[ 펼치기 · 접기 ]
성씨탁발(拓跋)
의로(猗盧)
부모부황 문황제
모후 문황후
형제자매4남 중 차남
배우자목황후
자녀3남
시호목황제(穆皇帝)
1. 개요
2. 생애
3. 둘러보기(계보)



1. 개요[편집]


동부, 중부, 서부로 나뉘어진 탁발부 중 서부의 유일한 수령이자 대나라(代)의 초대 국왕이었다.

북위 태조 도무제 탁발규의 조상으로 북위가 건국된 후 목황제로 추존되었다. 참소로 죽은 탁발사막한의 아들이었다.


2. 생애[편집]


295년 숙부 탁발녹관[1]이 탁발부를 3부로 나누자 서부를 맡았으며 307년 탁발녹관이 사망하자 뒤를 이어 3부를 다시 통일했다. 탁발의로는 전조의 태조 광문제 유연을 격퇴한 공으로 서진유곤에게 추천받아 여러 벼슬에 봉해졌다가 315년 남부의 통치권을 얻고 대왕(代王)에 봉해졌다.

탁발의로에겐 탁발육수(拓跋六修)라는 아들이 있었는데 탁발육수는 아버지 탁발의로와 함께 유찬을 함께 공격하는 등 전장을 누벼 공을 세운 아들이었다. 이에 육수가 후계자로 책봉될 가능성이 높았으나 탁발의로는 늘그막에 아들 탁발비연(拓跋比延)을 보고 비연에게만 관심을 쏟았으며 육수의 말(적마)을 뺏어서 비연에게 주는 등 비연을 편애했다.

어느날 탁발육수가 왕의 수레에 절을 했는데, 사실 그 안에는 탁발의로가 아닌 동생 비연이 있었고, 동생한테 절을 했다는 것에 부끄러움을 느낀 육수는 도성을 떠나버렸다. 그 소식을 들은 탁발의로가 크게 노하여 육수를 토벌하려 했으나 오히려 육수에게 패배하고 포로로 붙잡혀 316년 아들에게 처형당하는 비참한 최후를 맞이했다. 이후 탁발육수는 사촌인 탁발보근에게 살해당했고, 대왕의 작위는 탁발보근이 계승했다.


3. 둘러보기(계보)[편집]


탁발부 서부의 역대 수령
탁발녹관탁발의로신규 책봉

대의 역대 국왕
신규 책봉1대 목황제 탁발의로2대 문평제 탁발보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2 04:15:29에 나무위키 탁발의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은황제(恩皇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