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달구/정치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팔달구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수원시 병





1. 선거구 정보[편집]


파일:수원시 CI.svg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국회의원/도의원 선거구
국회의원도의원지역
수원시 병수원시5팔달구 매교동, 매산동, 고등동, 화서1동, 화서2동
수원시6팔달구 행궁동, 지동, 우만1동, 우만2동, 인계동

2. 지역 특성[편집]


수원의 다른 지역보다 보수세가 강했었다. 실제로 소선거구제 이래 2014년까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단 한번도 민주당계 정당에게 자리를 뺏기지 않았다.[1] 2012년에 치러진 제18대 대통령 선거에서도 수원에 있는 다른 지역구에선 모두 문재인 후보가 이긴데 반해 팔달구에서만큼은 박근혜 후보 52.4%, 문재인 후보 47.2%로 박근혜 후보가 이겼다.[2] 구도심의 특성상 노령층과 지역 토박이의 인구 비중이 크기 때문에 보수 성향이 짙었던 것으로 보인다.

사실 가장 큰 이유는 역대 팔달구 국회의원 목록을 보면 알 수 있는데, 분구 이후 처음으로 팔달구 국회의원으로 당선된 사람은 경남여객 사장 출신이자 권선구 국회의원을 지낸 남평우이다. 그런데 남평우가 갑자기 사망하면서 보궐선거를 치르게 되었는데, 남평우의 아들인 남경필아무런 정치경력이 없었음에도 남평우의 아들이라는 이유 하나만으로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그 뒤로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까지 내리 5선을 하다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 경기도지사로 출마하기 위해 사퇴한다. 즉, 2대에 걸쳐 수십 년째 이 지역을 관리해온 남씨 일가의 명망이 작용한 원인이 크다고 보여진다. 남경필 후보는 수원시 다른 선거구에서는 김진표 후보에게 밀리면서도 팔달구에서만큼은 김진표 후보를 이겼고, 최종적으로 경기도지사에 당선된다. 남경필 사퇴 이후 치러진 2014년 상반기 재보궐선거에서도 새누리당 김용남 후보가 새정치민주연합 손학규 후보를 이기고 당선되었는데, 손학규 후보의 철새 이미지도 있겠지만 남경필 경기도지사의 모친(이자 고 남평우 의원의 부인)이 조직적으로 김용남 후보를 도운 점이 컸다는 평도 많다.

세부적으로는 고등동, 지동 등 구 도심은 보수 성향이 강하지만 신시가지에 인접한 우만동, 화서동 지역[3]은 진보 성향이 강한 편이다.

20대 총선부턴 선거구 획정으로 인해 팔달구에 서둔동, 탑동을 합한 모양이었던 수원시 병 선거구에서 서둔동, 탑동이 떨어져나갔다. 원래 권선구였던 지역이 권선구 선거구로 되돌아간 것이다.

그리고 드디어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이변이 일어나는데, 더불어민주당 김영진 의원이 초선으로 당선되었다. 김영진 후보는 매산동에서 약 52%, 화서1동에서 약 54.5%, 화서2동에서 약 58.8%, 우만1동에서 약 53.2%, 우만2동에서 약 59.1%, 인계동에서 약 55.7% 받은 득표율을 기반으로 수원시 병 지역구 전체에서 53.9%의 득표를 올리며 김용남 후보를 꺾고 팔달구 최초의 민주당계 국회의원 당선자가 되었다. 그리고 비례대표 투표에서도 새누리당 득표율이 7.93% 낮아졌다. 이후 21대 총선에는 김영진 53.1%, 김용남 42.5%로 차이가 더 벌어졌다. 20대에 김용남이 이긴 지역은 매교동, 행궁동, 지동, 고등동에 불과했는데, 여기서 매교동도 김영진에게 내주고 말았다.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 팔달구는 문재인 후보 49,841표로 1위, 안철수 후보가 28,228표로 2위를 득표하였고 홍준표 후보는 27,782표, 3위로 밀리는 것을 보면 젊은층 인구가 유입되면서 보수 정당 지지세가 많이 약해진 것으로 보인다. 또한 행궁동, 매교동, 매산동, 고등동, 지동처럼 노인층 인구가 많은 구도심 지역들에서도 전부 문재인 후보가 근소하게나마 홍준표 후보를 누르고 1위를 차지했다. 반면에 동의 대부분이 아파트단지로 구성된 화서2동, 우만2동에서는 문재인 후보가 40% 초중반, 홍준표 후보가 20% 미만의 득표율을 기록했고, 투표율도 80%를 넘었다.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도 팔달구는 더불어민주당 손을 들어줬는데, 여기서 5선을 한 그 남경필이 출마했음에도 경기도지사에서 이재명 51.3% vs 남경필 41.6%로 이재명이 승리하였고[4], 수원시장의 경우 더욱 심각해서 더민주 소속의 염태영 후보에게 무려 63.9%의 표를 몰아주었고, 자유한국당의 정미경 후보는 간신히 30%를 넘겼을 정도로 참패했다.

21대 총선에서는 김영진김용남을 상대로 2연승을 거두고, 20대 대선에서는 이재명이 윤석열을 상대로 전통적 민주당 텃밭이던 영통구보다 더 큰 표차로 승리했다. 이건 영통구가 광교신도시의 부동산 문제 영향으로 경합지역이 된 것의 영향도 있다. 물론 외부 젊은층 인구의 유입으로 팔달구 자체도 민주당세가 예전보다 많이 강해졌다.

3. 역대 선거 결과[편집]



3.1. 지선[편집]



3.1.1.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1.1. 경기도지사 선거[편집]

수원시 팔달구
팔달구 일원
정당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국민참여당|
파일:국민참여당 로고타입.svg
]]
후보김문수유시민
득표수43,06639,357
득표율52.24%47.75%
순위1위2위
선거인 수174,518
투표 수85,692
무효표 수3,269
투표율49.10%

3.1.1.2. 수원시장 선거[편집]

팔달구
팔달구 일원
정당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민주당(2008년)|
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후보심재인염태영
득표수35,44941,232
득표율41.89%48.73%
순위2위1위
선거인 수174,518
투표 수85,693
무효표 수1,087
투표율49.10%

3.1.2.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2.1. 경기도지사 선거[편집]

수원시 팔달구
팔달구 일원, 권선구 서둔동
정당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새정치민주연합|
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후보남경필김진표
득표수54,13348,962
득표율52.50%47.49%
순위1위2위
선거인 수203,541
투표 수105,744
무효표 수2,649
투표율51.95%

3.1.2.2. 수원시장 선거[편집]

팔달구
팔달구 일원, 권선구 서둔동
정당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새정치민주연합|
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후보김용서염태영
득표수43,43057,951
득표율41.63%55.55%
순위2위1위
선거인 수203,541
투표 수105,735
무효표 수1,418
투표율51.95%

3.1.3.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3.1. 경기도지사 선거[편집]

수원시 팔달구
팔달구 일원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바른미래당|
파일:바른미래당 흰색 로고타입.svg
]]

[[정의당|
파일:정의당 로고타입.svg
]]

[[민중당(2017년)|
파일:민중당(2017년) 흰색 로고타입.svg
]]
후보이재명남경필김영환이홍우홍성규
득표수44,46436,0573,7071,908552
득표율51.29%41.59%4.27%2.20%0.63%
순위1위2위3위4위5위
선거인 수161,676
투표 수88,388
무효표 수1,700
투표율54.67%

7회 지선 광역자치단체장 선거 경기 수원 팔달구 개표 결과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바른미래당|
파일:바른미래당 흰색 로고타입.svg
]]

[[정의당|
파일:정의당 로고타입.svg
]]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이재명남경필김영환이홍우홍성규
득표수
(득표율)
44,464
(51.29%)
36,057
(41.59%)
3,707
(4.27%)
1,908
(2.20%)
552
(0.63%)
+8,407
(△9.70)
54.67%
행궁동43.64%50.0%3.88%1.58%0.90%6.3647.70
매교동43.63%48.98%4.83%2.04%0.52%▼5.3543.99
매산동48.34%44.84%4.12%2.07%0.62%△3.5049.28
고등동45.82%47.67%3.88%2.01%0.61%▼1.8543.25
화서1동50.31%42.98%4.12%2.02%0.57%△7.3352.65
화서2동53.31%39.14%4.27%2.72%0.56%14.1765.21
지동44.71%48.60%4.47%1.51%0.70%▼3.8948.12
우만1동51.62%41.23%4.54%1.79%0.82%△10.3949.96
우만2동52.37%40.54%4.35%2.31%0.43%△11.8361.69
인계동51.69%41.04%4.37%2.33%0.57%△10.6547.08
후보이재명남경필김영환이홍우홍성규격차
거소·선상투표58.89%34.44%4.44%1.11%1.11%△24.45
관외사전투표61.92%30.47%4.08%2.70%0.83%31.45

3.1.3.2. 수원시장 선거[편집]

팔달구
팔달구 일원
정당
후보염태영정미경강경식
득표수55,68326,4515,024
득표율63.88%30.34%5.76%
순위1위2위3위
선거인 수161,673
투표 수88,398
무효표 수1,240
투표율54.68%


3.1.4.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4.1. 경기도지사 선거[편집]

수원시 팔달구
팔달구 일원[팔달]
정당
후보김동연김은혜
득표수37,93738,931
득표율48.37%49.64%
순위2위1위
선거인 수164,086
투표 수79,283
무효표 수858
투표율48.32%

8회 지선 팔달구 개표 결과
경기도지사 선거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격차투표율
후보김동연김은혜(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37,937
(48.37%)
38,931
(49.64%)
- 994
(▼1.27)
79,283
(48.31%)
행궁동[A]41.67%56.16%▼14.4943.34
매교동[B]41.73%56.60%▼14.8640.18
매산동[C]42.25%56.01%▼13.7640.46
고등동[D]48.93%49.18%▼0.2445.92
화서1동48.06%50.00%▼1.8345.67
화서2동52.71%45.55%△7.1756.38
지동41.55%56.67%▼15.1145.55
우만1동46.97%50.68%▼3.7143.98
우만2동49.28%48.85%△0.4353.13
인계동[E]47.76%50.29%▼2.5237.46
후보김동연김은혜격차
거소·선상투표42.93%46.19%▼3.26
관외사전투표54.40%43.25%△11.15
국회의원
선거구
김동연김은혜격차투표율
47.59%50.48%▼2.8945.19

3.1.4.2. 수원시장 선거[편집]

수원시장 선거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격차투표율
후보이재준김용남(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37,328
(47.67%)
40,974
(52.32%)
- 3,646
(▼4.66)
79,284
(48.31%)
행궁동[*A ]41.39%58.60%▼17.2043.31
매교동[*B ]41.85%58.14%▼16.2840.18
매산동[*C ]41.24%58.75%▼17.5140.45
고등동[*D ]48.55%51.44%▼2.8945.90
화서1동47.41%52.58%▼5.1845.67
화서2동51.35%48.64%△2.7256.36
지동40.69%59.30%▼18.6145.51
우만1동46.31%53.68%▼7.3743.96
우만2동46.95%53.04%▼6.1053.11
인계동[*E ]47.14%52.85%▼5.7137.45
후보이재준김용남격차
거소·선상투표50.00%50.00%= 동률
관외사전투표55.07%44.92%△10.14


3.2. 대선[편집]



3.2.1. 제15대 대통령 선거[편집]


수원시 팔달구
팔달구 일원
정당
후보이회창김대중이인제
득표수47,96244,68029,535
득표율38.73%36.08%23.85%
순위1위2위3위
선거인 수156,084
투표 수125,457
무효표 수1,628
투표율80.38%


3.2.2. 제16대 대통령 선거[편집]


수원시 팔달구
팔달구 일원
정당
후보이회창노무현권영길
득표수72,99479,6007,181
득표율45.47%49.58%4.47%
순위2위1위3위
선거인 수232,724
투표 수153,485
무효표 수757
투표율65.95%

이 시기까지 팔달구는 현재의 영통구 지역까지 포함되어 있었다. 영통구가 분구된 건 이 대선이 끝나고 1년 뒤인 2003년.

3.2.3. 제17대 대통령 선거[편집]


수원시 팔달구
팔달구 일원
정당
후보정동영이명박권영길문국현이회창
득표수21,25548,9722,5927,26015,331
득표율21.98%50.64%2.68%7.50%15.85%
순위2위1위5위4위3위
선거인 수169,529
투표 수97,064
무효표 수374
투표율57.26%

3.2.4. 제18대 대통령 선거[편집]


수원시 팔달구
팔달구 일원
정당
후보박근혜문재인
득표수63,52257,156
득표율52.45%47.19%
순위1위2위
선거인 수167,784
투표 수121,476
무효표 수355
투표율72.40%

18대 대선 경기 수원 팔달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박근혜문재인
득표수
(득표율)
63,522
(52.45%)
57,156
(47.19%)
+ 6,366
(△5.26)
72.40%
행궁동60.45%39.36%△21.0967.71
매교동59.22%40.37%△18.8566.43
매산동52.46%47.12%△5.3469.59
고등동55.74%43.82%△11.9264.12
화서1동51.44%48.29%△3.1573.59
화서2동46.55%53.07%▼6.5282.13
지동58.51%41.62%△16.8968.59
우만1동51.85%47.76%△4.0970.55
우만2동48.38%51.17%▼2.7980.05
인계동52.88%46.83%△6.0569.28
후보박근혜문재인격차
국외부재자투표40.45%59.39%▼18.94
국내부재자투표49.25%49.69%▼0.44


3.2.5. 제19대 대통령 선거[편집]


수원시 팔달구
팔달구 일원[팔달]
정당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
득표수49,81427,78228,2288,2188,315
득표율40.50%22.59%22.95%6.68%6.76%
순위1위3위2위5위4위
선거인 수167,122
투표 수123,458
무효표 수485
투표율73.87%

19대 대선 경기 수원 팔달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
득표수
(득표율)
49,814
(40.50%)
27,782
(22.59%)
28,228
(22.95%)
8,218
(6.68%)
8,315
(6.76%)
+ 21,586
(△17.55)
73.87%
행궁동[5]32.92%31.95%23.52%5.43%5.45%△0.9765.09
매교동[6]34.02%30.13%25.13%4.77%5.33%△3.8964.80
매산동[7]37.80%25.20%23.05%6.22%7.33%△12.6068.84
고등동36.44%27.54%24.80%4.71%5.96%△8.9064.47
화서1동39.71%23.50%23.66%5.96%6.68%△16.0572.35
화서2동44.78%18.56%21.59%7.76%6.88%△23.1982.98
지동34.29%30.22%23.76%5.16%5.85%△4.0766.70
우만1동38.91%23.63%23.92%6.45%6.56%△14.9967.67
우만2동42.51%19.63%22.25%8.34%6.89%△20.2681.90
인계동[8]40.09%22.60%23.29%6.80%6.80%△16.8067.58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격차
거소·선상투표36.16%13.84%43.30%2.68%1.34%▼7.14
관외사전투표46.76%15.47%21.09%8.02%8.14%△25.67
재외투표62.65%5.91%16.98%4.16%9.86%△45.67


3.2.6. 제20대 대통령 선거[편집]


수원시 팔달구
팔달구 일원[팔달]
정당
후보이재명윤석열
득표수58,02456,051
득표율48.94%47.28%
순위1위2위
선거인 수161,747
투표 수119,627
무효표 수1,080
투표율73.96%

20대 대선 팔달구 개표 결과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격차투표율
후보이재명윤석열(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58,024
(48.94%)
56,051
(47.28%)
+ 1,973
(△1.66)
119,627
(73.95%)
행궁동[*A ]45.36%50.84%▼5.4967.24
매교동[*B ]48.19%47.75%△0.4469.65
매산동[*C ]44.61%51.84%▼7.2264.80
고등동[*D ]49.04%46.95%△2.0973.30
화서1동50.38%45.83%△4.5570.92
화서2동50.53%45.89%△4.6580.14'
지동46.53%50.18%▼3.6669.62
우만1동49.34%46.90%△2.4468.86
우만2동46.09%50.01%▼3.9278.98
인계동[*E ]47.67%48.68%▼1.0164.83
후보이재명윤석열격차
거소·선상투표49.56%43.47%△6.09
관외사전투표52.53%43.38%△9.14
재외투표68.59%28.33%△40.25
국회의원
선거구
이재명윤석열격차투표율
48.25%48.02%△0.2370.94

3.3. 총선[편집]


21대 총선 팔달구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수원시 병)
정당더불어민주당미래통합당격차투표율
후보김영진김용남(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50,369
(53.07%)
40,374
(42.54%)
+ 9,995
(△10.53)
96,070
(62.13%)
[ 펼치기 · 접기 ]
행궁동[*A ]45.83%49.71%▼3.8957.89
매교동[*B ]49.53%46.04%△3.4955.34
매산동[*C ]48.09%46.57%△1.5157.03
고등동46.69%48.35%▼1.6754.98
화서1동52.42%42.91%△9.5060.08
화서2동58.12%38.07%△20.0671.30
지동45.67%50.03%▼4.3657.68
우만1동52.22%43.42%△8.8058.12
우만2동52.90%42.84%△10.0668.95
인계동[*E ]53.52%42.58%△10.9352.07
후보김영진김용남격차
거소·선상투표48.86%44.34%△4.52
관외사전투표61.83%33.05%△28.78
재외투표75.73%20.58%△55.15

비례대표 선거
정당미래한국당더불어시민당정의당국민의당열린민주당격차투표율
득표수
(득표율)
30,654
(33.42%)
30,626
(33.39%)
8,882
(9.68%)
6,543
(7.13%)
4,952
(5.39%)
+ 28
(△0.03)
96,058
(62.08%)
[ 펼치기 · 접기 ]
행궁동[*A ]40.54%29.39%8.15%5.50%4.55%△11.1557.88
매교동[*B ]36.74%32.09%9.16%5.44%4.23%△4.6555.34
매산동[*C ]37.88%31.01%8.27%7.28%4.70%△6.8657.05
고등동39.93%30.93%7.57%5.30%4.51%△9.0054.98
화서1동33.42%34.33%9.35%6.28%4.83%▼0.9160.06
화서2동29.68%34.95%11.67%8.29%6.25%▼5.2771.31
지동40.32%30.54%7.64%5.07%3.98%△9.7857.67
우만1동34.30%34.15%8.60%5.90%4.49%△0.1558.11
우만2동31.98%32.24%10.30%9.24%6.06%▼0.2668.92
인계동[*E ]33.18%33.59%9.69%8.35%5.10%▼0.4152.06
정당미래한국당더불어시민당정의당국민의당열린민주당격차
거소·선상투표27.61%30.00%5.23%7.14%5.71%▼2.38
관외사전투표25.63%37.00%11.48%7.01%7.82%▼11.36
재외투표15.67%29.85%19.40%7.46%17.16%▼10.45


[1] 수원시에 민주당계 정당이 처음 당선된 것 자체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시기 전체 4석 중 열린우리당 3석(장안구 심재덕, 권선구 이기우, 영통구 김진표)이 최초다.[2] 다만 우만2동과 화서2동은 광교신도시, 천천지구의 영향으로 문재인이 이겼다. 사실 2002년 제16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팔달구에서도 새천년민주당 노무현 후보가 승리했으나 이는 영통구가 분구되기 이전이기 때문이었다.(영통구 분구는 2003년)[3] 우만동은 광교신도시에, 화서동은 정자천천지구에 인접해 있다.[4] 행궁동, 지동, 매교동, 고등동 등 팔달구 내에서도 상당히 보수적인 동네에서만 남경필이 40% 후반의 득표율을 올리며 이재명을 앞섰고(심지어 남경필이 50%대를 받은 곳은 유효투표수 중 반올림 없이 정확히 50%(2,344/4,688)를 득표한 행궁동밖에 없다. '과반(過半)' 뜻이 '절반을 넘음(포함x)임을 감안하면 남경필은 자기 홈그라운드에서조차 과반을 한 동네에서도 못 찍은 셈.) 화서동, 우만동, 인계동 등에서는 거의 1~2천여표 차로 참패했다.[팔달] A B C 지동, 고등동, 매교동, 매산동, 인계동, 행궁동, 우만1동, 우만2동, 화서1동, 화서2동[A] 수원화성 성곽 안쪽으로 구성된 원도심[B] 법정동 매교동 · 교동[C] 법정동 매산로1~3가. 수원역이 있는 도심지[D] 수원역 푸르지오 자이가 있는 동네[E] 수원시청이 있는 동네[5] 수원화성 안쪽 동네로 수원의 모태가 된 지역[6] 매교동 · 교동을 관할하는 동네[7] 수원역+번화가 및 경기도청이 있는 동네[8] 수원시청이 있는 동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