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군력/재래식 잠수함

덤프버전 :

분류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해군력


1. 개요
2. 관련 항목



1. 개요[편집]


국가별 디젤 잠수함
총계 순위국가총계수상 배수량
1,080 ~ 1,180톤[1]1,260톤1,450 ~ 1,690톤1,765 ~ 2,116톤2,300 ~ 2,450톤2,700 ~ 2,900톤3,100톤
1위중화인민공화국52 척없음없음1 척: 로미오급2 척(+? 척): 039A형 잠수함2 척: 킬로급 877EKM없음없음
17 척: 035형 잠수함20 척(+? 척): 039형 잠수함10척: 킬로급 636, 636M
2위북한26 척[2]4 척: 위스키급22 척: 로미오급
3위일본21 척(+18 척)없음없음없음없음없음11 척(+12 척): 소류급1 척(+6척): 타이게이급
9 척: 오야시오급
4위러시아18 척(+18 척)없음없음없음1척(+7척): 라다급[3]14 척(+5척): 킬로급 877[4]없음(+1척): 탱고급[5]
1 척: 킬로급 877V
1 척: 킬로급 877LPM
1 척: 킬로급 877EKM
(+6척): 킬로급 636.3
4위대한민국19 척(+ 8척)9 척: 209급 잠수함 1200KR9 척: 214급 잠수함1척(+8척): 도산안창호급[6]
5위인도14 척(+32척)4척: 209급 잠수함 1500(+6척): 스코르펜급 잠수함 AM-200010 척: 킬로급 877EKM
5위터키14 척(+6척)6척: 209급 잠수함 1200없음8척: 209급 잠수함 1400없음없음없음없음
(+6척): 214급 잠수함
6위그리스8 척3 척(+1척): 209급 잠수함 1100없음1척(+5 척): 214급 잠수함없음없음없음없음
4 척: 209급 잠수함 1200
7위독일6 척(+2척)
7위이탈리아6 척(+2척)
7위노르웨이6 척(+α척)
7위페루6 척2 척: 209급 잠수함 1100없음없음없음없음없음없음
4 척: 209급 잠수함 1200
7위싱가포르6 척
12위브라질5 척(+5척)4 척(+1척): 209급 잠수함 1400
12위스웨덴5 척
12위파키스탄5 척
12위알제리5 척[7]없음없음1 척: 로미오급 훈련함없음2척: 킬로급 887EKM없음없음
2척: 킬로급 636M
16위스페인4 척
16위이란4 척3 척: 킬로급 877EKM
16위칠레4 척없음없음2 척: 209급 잠수함 1400없음없음없음없음
2척: 스코르펜급 잠수함 CM-2000
16위대만4 척2 척: 텐치급2 척: 하이룽급
21위오스트레일리아3 척(+3척)[8]3 척(+3척): 콜린스급
21위남아프리카공화국3 척3척: 209급 잠수함 1400
21위아르헨티나3 척(+1척)1 척(+1척): 209급 잠수함 11002 척: TR-1700급[9]
24위인도네시아2 척(+12척)2 척: 209급 잠수함 1300(+3척): 209급 잠수함 1400[10]
24위베트남2 척(+6척)(+6척): 킬로급 636M
24위말레이시아2 척(+α척)
24위포르투갈2 척2척: 214급 잠수함
24위콜롬비아2 척2척: 209급 잠수함 1200
24위에콰도르2 척2척: 209급 잠수함 1300
24위볼리비아2 척2척: 209급 잠수함 1300
31위폴란드1 척1 척: 킬로급 877E
32위태국(+6척)
32위필리핀(+α척)
32위루마니아(+1척)(+1척): 킬로급 877E


2. 관련 항목[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5 18:23:43에 나무위키 해군력/재래식 잠수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국가별 209급 보유 수량[2] 북한의 1,000톤 급 이상 잠수함들은 노후화 되어서 대부분 퇴역하거나 비축/스크랩 되고 상어급(300톤)이나 연어급(130톤) 등의 초소형 잠수함(잠수정)으로 교체됐다는 소문이 있다.[3] Lada class submarine[4] Kilo class submarine[5] 재래식 잠수함 비축 문단[6] 흔히 장보고-III로 알려져있다.[7] 알제리 해군[8] 3척만 운용중, 나머지 3척은 비축하거나 개수중[9] 원래는 6척이 계획되었으나 2척만 도입하고 생산 종료한 2000톤급 독일제 잠수함.[10] 대한민국대우조선해양이 수주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