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국

덤프버전 : r20230302

파일:태국 국장.svg 태국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펼치기 · 접기 ]



타이 왕국
ราชอาณาจักรไทย[1] | Kingdom of Thailand
파일:태국 국기.svg
파일:태국 국장.svg
국기
국장
ชาติ ศาสนา พระมหากษัตริย์
국가, 종교, 국왕

상징
국가
태국 국가
(เพลงชาติไทย, Phleng Chat Thai)

국화
라차프륵
국수
아시아 코끼리
역사
수코타이 왕조 성립 1238년
아유타야 왕조 성립 1351년
톤부리 왕조 성립 1768년
짜끄리 왕조 성립 1782년 4월 6일
시암 혁명 1932년 6월 24일
지리

[ 펼치기 · 접기 ]
면적
513,120 km²(2020년)[1] / 세계 50위
수도
최대도시

방콕
(끄룽 텝 마하나콘, กรุงเทพมหานคร)[2]
내수면 비율
0.4%
접경국
파일:미얀마 국기.svg미얀마, 파일:라오스 국기.svg라오스, 파일:캄보디아 국기.svg캄보디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말레이시아

인문환경

[ 펼치기 · 접기 ]
인구
총인구
7,007만 8,198명(2022년) | 세계 20위
인구밀도
132.1명/km²(2016년) / 세계 88위
민족 구성
타이족 75% (콘타이족 34.1%, 이산족 24.9%
콘무앙족 9.9%, 남부인 7.5%)
중국계 14%
기타 12% (카렌족, 말레이족, 몽족, 크메르족 등)
출산율
세계은행 자료 1.5명(2020년)[1] 언론사 자료 1.2명(2021년)[2]
공용 언어
태국어(ภาษาไทย)
공용 문자
태국 문자
종교
국교 없음(정교분리)[3]
상좌부 불교 94%
이슬람교 5%
기독교 0.9%
힌두교 0.1%
군대
태국군
주둔군
미군

하위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주(짱왓)
77개
구역(암프)
878개

정치

[ 펼치기 · 접기 ]
정치체제
입헌군주제, 의원내각제, 다당제, 양원제, 군사독재
민주주의 지수
167개국 중 72위(2021년)[결함있는민주주의]
국왕
(국가원수)

라마 10세
총리
(정부수반)

쁘라윳 짠오차

경제

[ 펼치기 · 접기 ]
경제체제
시장경제
GDP
명목 GDP
$5092억(2020) / 세계 26위
GDP(PPP)
$1조 2614억(2020)
1인당 GDP
명목 GDP
$7808(2021년 10월) / 세계 80위
GDP(PPP)
$1만 8072(2020) / 세계 83위
국부
$1조 3670억 / 세계 29위(2020년)
신용 등급
Moody's Baa1
S&P BBB+
Fitch BBB+
화폐
공식 화폐
바트 (฿)
ISO 4217
THB

단위

[ 펼치기 · 접기 ]

외교

[ 펼치기 · 접기 ]
대한수교현황
대한민국 1958년 10월 1일 수교
북한 1975년 5월 8일 수교
무비자 입국
양국 모두 90일.
주한대사관
서울특별시 용산구 대사관로 42

ccTLD
.th, .ไทย
국가 코드
764, THA, TH
국제전화 코드
+66
여행경보
여행유의
출국권고 지역을 제외한 전 지역
출국권고
나라티왓주, 빠따니주, 얄라주, 송클라주 남부 말레이시아 국경지역[2]


1. 개요
2. 국가 상징
2.1. 국호
2.3. 왕실기
2.4. 국가
2.5. 왕실가
2.6. 기타
4. 종교
5. 자연
5.1. 여름
6. 지리
6.1. 태국의 행정구역
6.2. 국경 넘기
6.3. 민족 및 인구
6.3.1. 중국계 태국인(시노 타이)
13. 교육
14. 창작물에서
15. 주요 도시
17.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태국(Kingdom of Thailand/泰國)동남아시아에 위치한 국가수도방콕이다.


2. 국가 상징[편집]




파일:태국1.jpg


파일:태국2.png


파일:태국3.jpg

태국 전경


2.1. 국호[편집]


정식 국명타이 왕국(ราชอาณาจักรไทย, 랏차 아나짝 타이)이며 약식 국명은 쁘라텟 타이(ประเทศไทย, 자유의 땅) 또는 므앙 타이(เมืองไทย, 자유의 나라)라고 한다. '타이(ไทย, Thai)'는 '자유'라는 뜻이다. 그러나 몇몇 학자들은 이것이 '사람'을 뜻한다고 주장하기도 하는 모양이다. 과거의 국명은 시암(สยาม, 사얌)으로 1939년에 타이라는 국명으로 개칭되었다.

한국에서는 한자 음차인 태국(泰國)이란 명칭으로 주로 불린다. 현대 한국어에서는 ㅐ자가 단모음이지만 과거에는 [아이]로 읽는 이중모음이었음을 감안하면, '태국'이란 명칭은 생각보다 '타이'라는 현지어와 매우 가깝다. 중화권에서도 같은 한자명을 사용한다.


2.2. 국기[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통 트라이롱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3. 왕실기[편집]


파일:1024px-King's_Standard_of_Thailand.svg.png}}}
중앙에 있는 새같이 생긴 것은 크롯, Garuda로 태국 국왕의 상징이자 국장이기도 하다. 가루다는 아유타야 왕국 시절부터 태국 왕실의 상징으로 쓰였다.

왕실기는 왕의 탈것이나 전용기, 왕궁 등에 걸리는데, 국기와 함께 나란히 게양되는 경우도 많다.


2.4. 국가[편집]



국가(國歌)

[ 펼치기 · 접기 ]
파일:가나 국기.svg

가나
God Bless Our Homeland Ghana
하느님 우리 조국 가나를 축복하소서
파일:가봉 국기.svg

가봉
La Concorde
조화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과테말라
Himno Nacional de Guatemala
과테말라 국가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Ύμνος εις την Ελευθερίαν
자유의 찬가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기니비사우
Esta É a Nossa Pátria Bem Amada
우리의 사랑스러운 조국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Arise Oh Compatriots, Nigeria’s Call Obey
일어나라 동포들이여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National Anthem of South Africa
Nasionale lied van Suid-Afrika
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가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Het Wilhelmus
빌럼 공의 노래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Ja, vi elsker dette landet
그래, 우리는 이 땅을 사랑한다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God Defend New Zealand
하느님, 뉴질랜드를 수호하소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애국가
애국가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Der er et yndigt land
사랑스러운 땅에서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舊 서독)
Deutschlandlied
독일의 노래
파일:동티모르 국기.svg

동티모르
Pátria
조국
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
ເພງຊາດລາວ
라오스의 국가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Dievs, svētī Latviju!
하느님, 라트비아를 축복하소서!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гимн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러시아 연방 국가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النشيد الوطني اللبناني
레바논의 국가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Deşteaptă-te române!
루마니아인이여, 깨어나라!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Ons Heemecht
우리의 조국
파일:르완다 국기.svg

르완다
Rwanda nziza
아름다운 르완다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ليبيا ليبيا ليبيا
리비아, 리비아, 리비아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Tautiška giesmė
국가 찬가
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리히텐슈타인
Oben am jungen Rhein
저 라인 강 위쪽으로
파일:마셜 제도 국기.svg

마셜 제도
Forever Marshall Islands
마셜 제도여 영원하라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Negaraku
조국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Himno Nacional Mexicano
멕시코 국가
파일:모나코 국기.svg

모나코
Hymne Monégasque
모네가스크 찬가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النشيد الشريف
샤리프 찬가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
نشيد وطني موريتاني
아버지의 나라는 영예로운 선물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
Oj, Svijetla Majska Zoro
Ој, свијетла мајска зоро
오, 5월의 밝은 새벽이여
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Limba noastră
우리의 언어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L-Innu Malti
몰타 찬가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Монгол улсын төрийн дуулал
몽골의 국가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The Star Spangled Banner
별이 박힌 깃발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ကမ္ဘာမကြေ
세상이 끝날 때까지
파일:바티칸 국기.svg

바티칸
Hymnus Pontificius
교황 찬가 행진곡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আমার সোনার বাংলা
나의 황금빛 벵골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Gloria al bravo pueblo
용감한 이들에게 영광을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Tiến quân ca
진군가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La Brabançonne
De Brabançonne
브라반트의 노래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Дзяржаўны гімн Рэспублікі Беларусь
우리는 벨라루스인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Државна химна Босне и Херцеговине
Državna himna Bosne i Hercegovine
간주곡
파일:부탄 국기.svg

부탄
འབྲུག་ཙན་དན་
전룡의 왕국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북마케도니아
Денес Над Македонија
마케도니아의 오늘을 넘어서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애국가
애국가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Мила Родино
친애하는 조국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Hino Nacional Brasileiro
브라질 국가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브루나이
الله فليهاراكن سلطن
Allah Peliharakan Sultan
술탄에게 신의 가호가 있기를
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
O le Fu’a o le Sa’olotoga o Samoa
자유의 깃발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عاش المليك
군주를 찬양하라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Боже правде
정의의 하느님
파일:솔로몬 제도 국기.svg

솔로몬 제도
God Save Our Solomon Islands
하느님, 우리의 솔로몬 제도를
지켜 주시옵소서

파일:수리남 국기.svg

수리남
God zij met ons Suriname
하느님께서 수리남과 함께 하신다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ශ්‍රී ලංකා මාතා
ஸ்ரீ லங்கா தாயே

어머니 스리랑카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Du Gamla, Du Fria
오래된 그대, 자유로운 그대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Rufst du, mein Vaterland
스위스 찬가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Himno Nacional Español
국왕 행진곡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Nad Tatrou sa blýska
타트라 산 위에 번개가 쳐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Zdravljica
축배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حُمَاةَ الدِّيَارِ
조국의 파수꾼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Majulah Singapura
전진하는 싱가포르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النشيد الوطني الاماراتي
내 조국이여 영원하라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Մեր Հայրենիք
우리의 조국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Himno Nacional Argentino
아르헨티나 국가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Lofsöngur
찬가
파일:아이티 국기.svg

아이티
Hymne national d'Haïti
데살린의 노래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Amhrán na bhFiann
전사의 노래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Azərbaycan Marşı
아제르바이잔 행진곡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دا د باتورانو کور
이 곳은 용감한 자들의 고향이라네!
파일:안도라 국기.svg

안도라
El Gran Carlemany
위대한 샤를마뉴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Hymni i Flamurit
깃발의 찬가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قسما
맹세
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Angola Avante
앙골라여 전진하라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Mu isamaa, mu õnn ja rõõm
나의 조국, 나의 행복과 기쁨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
¡Salve, Oh Patria!
만세, 오 조국이여!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God Save the Queen
하느님, 여왕 폐하를 지켜주소서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الجمهورية المتحدة
연합 공화국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Bundeshymn
산의 나라, 강의 나라
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
Oh Uganda, Land of Beauty
오 우간다, 아름다움의 나라여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
Himno Nacional de Uruguay
동방인들이여. 조국이 아니면 죽음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Oʻzbekiston Respublikasining Davlat Madhiyasi
우즈베키스탄 공화국의 국가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Ще не вмерла України
우크라이나의 영광은 사라지지 않으리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سرود ملی جمهوری اسلامی ایران
이란 이슬람 공화국 국가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موطني
나의 조국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הַתִּקְוָה
희망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بلادي بلادي بلادي
나의 조국, 나의 사랑과 마음은 그대를 위해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Il Canto degli Italiani
마멜리 찬가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जन गण मन
모든 국민의 마음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Indonesia Raya
위대한 인도네시아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君が代
임금의 치세
파일:잠비아 국기.svg

잠비아
Lumbanyeni Zambia
일어나 자랑스럽고 자유로운 잠비아를 노래하자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თავისუფლება
자유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中華民國國歌
중화민국 국가
中華民國國旗歌
중화민국 국기가
파일:중국 국기.svg

중화인민공화국
义勇军进行曲
의용군 진행곡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짐바브웨
Kalibusiswe Ilizwe leZimbabwe
짐바브웨의 대지에 축복을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Kde domov můj?
나의 조국은 어디에?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Himno Nacional de Chile
칠레 국가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Менің Қазақстаным
나의 카자흐스탄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السلام الأميري
아미르에게 평화를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នគររាជ
왕국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O Canada
Ô Canada
오 캐나다
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
Европа
유럽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코스타리카
Himno Nacional de Costa Rica
코스타리카 국가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Himno Nacional de la República de Colombia

콜롬비아 공화국 국가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콩고민주공화국
Debout Congolais
콩고인들이여 일어나라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La Bayamesa
바야모 행진곡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Lijepa naša domovino
아름다운 우리 조국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Кыргыз Республикасынын Мамлекеттик Гимни
키르기즈 공화국 국가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Ύμνος εις την Ελευθερίαν
자유의 찬가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Суруди Миллӣ
국가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
Mungu ibariki Afrika
주여, 아프리카를 축복하소서
파일:터키 국기.svg

터키
İstiklâl Marşı
독립행진곡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เพลงชาติไทย
태국 국가
파일:토고 국기.svg

토고
Terre de nos aïeux
우리 조상의 땅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Garaşsyz, Bitarap Türkmenistanyň döwlet gimni
독립, 중립, 투르크메니스탄의 국가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حماة الحمى
조국의 수호자
파일:파나마 국기.svg

파나마
Himno Istemño
지협의 노래
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

파푸아뉴기니
O Arise, All You Sons
오, 모든 아들들아 일어나라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قومی ترانہ
국가
파일:팔라우 국기.svg

팔라우
Belau rekid
우리들의 팔라우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فدائي‎
피다이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Himno Nacional del Perú
페루 국가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A Portuguesa
포르투갈의 노래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Mazurek Dąbrowskiego
돔브로프스키의 마주레크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La Marseillaise
마르세유 행진곡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Meda Dau Doka
피지에 축복이 있기를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Maamme
우리의 땅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Lupang Hinirang
선택된 땅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Himnusz
찬가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Advance Australia Fair
아름다운 오스트레일리아여 전진하라
미승인국의 국가
파일:북키프로스 터키 공화국 국기.svg

북키프로스 터키 공화국
İstiklâl Marşı
독립행진곡
파일:소말릴란드 국기.svg

소말릴란드
Samo ku waar
오래 평화롭게
파일:아르차흐 공화국 국기.svg

아르차흐 공화국
Ազատ ու անկախ Արցախ
아르차흐는 자유와 독립을 원하리
파일:도네츠크 인민공화국 국기.svg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Славься Республика, Наша Народная
공화국에게 영광을, 우리 국민에게 영광을
파일:루간스크 인민공화국 국기.svg

루간스크 인민공화국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Гимн Луганская Народная Республика
루간스크 인민공화국 국가
파일:트란스니스트리아 국기.svg

트란스니스트리아
Слэвитэ сэ фий, Нистрене Slăvită să fii, Nistrene 
우리는 트란스니스트리아의 찬가를 부르네
자치지역의 국가
파일:그린란드 기.svg

그린란드
Nunarput utoqqarsuanngoravit
우리의 오랜 땅이여
파일:바시코르토스탄 국기.png

바시코르토스탄
Башҡортостан Республикаһыныӊ Дәүләт гимны
바시코르토스탄 공화국의 국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Flag_of_Buryatia.svg.png

부랴티야 공화국
Песня о родной земле
우리가 태어난 땅에 대한 노래
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북아일랜드
Londonderry Air
런던데리의 아리아
파일:북오세티야 국기.png

북오세티야 공화국
Цӕгат Ирыстоны паддзахадон гимн
북오세티야 공화국의 국가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0px-Flag_of_Serbia_%281992-2004%29.svg.png

스릅스카 공화국
Моја Република
나의 공화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20px-Flag_of_Sakha.svg.png

사하 공화국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гимн Республики Саха
사하 공화국의 국가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Flower of Scotland
스코틀랜드의 꽃
파일:1280px-Flag_of_Adygea.svg.png

아디게야 공화국
Адыгэ Республикэм и Гимн
아디게야 공화국의 국가
파일:아루바 기.svg

아루바
Aruba Dushi Tera
아루바, 아름다운 땅이여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
Hen Wlad Fy Nhadau
나의 아버지의 땅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00px-Flag_of_the_Chechen_Republic.svg.png

체첸 공화국 || Шатлакхан Илли || 샤틀락의 노래 ||
파일:카탈루냐 기.svg

카탈루냐
Els Segadors
수확자들
파일:칼미키야 공화국 국기.png

칼미키야 공화국
Хальмг Таңһчин частр
칼미키야 공화국의 국가
파일:퀴라소 기.svg

퀴라소
Himno di Kòrsou
퀴라소 국가
파일:타타르스탄 공화국 국기.svg

타타르스탄 공화국
Татарстан Республикасы Дәүләт гимны
타타르스탄 공화국의 국가
파일:투바 공화국 국기.png
투바 공화국
Мен – тыва мен
나는 투바인이다
파일:페로 제도 기.svg

페로 제도
Tú alfagra land mítt
그대, 나의 가장 아름다운 땅
국가로서의 지위를 상실한 노래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Horst-Wessel-Lied
호르스트 베셀의 노래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남아프리카 연방
Die Stem van Suid-Afrika
남아프리카의 외침
파일:대한제국 국기.svg

대한제국
大韓帝國愛國歌
대한제국 애국가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Heil dir im Siegerkranz
그대에게 승리의 왕관을
파일:동독 국기.svg

동독
Auferstanden aus Ruinen
폐허에서 부활하여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

러시아 제국
Гром победы, раздавайся!
승리의 천둥이여, 울려라!
Молитва русского народа
러시아인의 기도
Боже, Царя храни!
하느님, 차르를 보호하소서!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Flag_of_Rhodesia.svg.png

로디지아
Rise O Voices of Rhodesia
로디지아의 목소리를 상승시키리
파일:대리비아 아랍 사회주의 인민 자마히리야국 국기.svg

리비아 자마히리야
الله اكبر
신은 위대하다네
파일:만주국 국기.svg

만주국
滿洲國建國歌
만주국 건국가
파일:민주 캄푸치아 국기.svg

민주 캄푸치아
ដប់ប្រាំពីរមេសាមហាជោគជ័យ
영광스러운 4월 17일
파일:베트남 공화국 국기.svg

베트남 공화국
Tiếng Gọi Công Dân
공민에게 고함
파일:비시 프랑스 대통령기.svg

비시 프랑스
Maréchal, nous voilà !
원수여 우린 여기에 있습니다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Интернационал
인터내셔널가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гимн СССР
소비에트 연방 찬가
파일:스페인 제2공화국 국기.svg

스페인 제2공화국
Himno de Riego
리에고 찬가
파일:슬로베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svg

슬로베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Naprej, zastava slave
영광의 깃발을 향해
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ملی سرود
국가
파일:아프가니스탄 민주 공화국 국기(1987–1992).svg

아프가니스탄 민주공화국
ملی سرود
국가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문서 참조
문서 참조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Kaiserhymne
황제 찬가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Хеј Словени
슬라브족이여
파일:팔라비 왕조 국기.png

이란 팔레비 왕조
سرود شاهنشاهی ایران
황례포
파일:시리아 국기.svg

아랍 연합 공화국
والله زمان يا سلاحي
오 나의 무기여, 오랜 시간이 지나왔구나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Marcia Reale
왕의 행진곡
파일: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국기.png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Giovinezza
청춘
파일:중화민국 북양정부 국기.svg

중화민국 북양정부
卿雲歌
경운가
파일:청나라 국기.svg

청나라
鞏金甌
공금구
頌龍旗
송룡기
파일:34eb222edb2f63062f6eabf8daec52cad80dca7320038e9e4ae6e8343ad0f55fc5ff445c4b04f6270f71ca0b8c2338d83df2a676a2c402ab7e4dcc255452f43fb8cc4f1149ee3aa0cfc6fd7f2b2e7de33795b01ca761a663fa33d763aa007f91.png

캄푸치아 인민공화국
ចម្រៀងនៃសាធារណរដ្ឋប្រជាមានិតកម្ពុជា
캄푸치아 인민공화국 애국가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 노래
파일:러시아 국기(1991-1993).png

러시아
Патриотическая Песня
애국가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Hail, Columbia
컬럼비아 만세
My country, 'Tis of Thee
나의 조국, 그분의 땅
국가 외 단체의 상징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Flag_of_Esperanto.svg.png

에스페란토 운동
La Espero
희망
파일:오륜기.svg

올림픽
Ολυμπιακός Ύμνος
올림픽 찬가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럽연합
Anthem of Europe
유럽 찬가



}}}
플렝 찻 타이(เพลงชาติไทย, Phleng Chat Thai)라고 하며 '태국 국가'를 뜻한다. 1932년 입헌혁명을 기점으로 프라 첸두리양(พระเจนดุริยางค์, Phra Chenduriyang, 1883–1968)[3]이 작곡한 것에 가사를 공모하여 수정, 보완한 것이다. 쁠랙 피분송크람 수상 집권 시절 완성되었으며, 당시 오전 8시와 오후 6시가 되면 국기 게양식과 하강식이 거행되었는데 전국민은 반드시 이때 국기에 대한 경례를 해야 했다.(정환승, 2021, 태국 들여다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87~88면.)

이 전통은 지금까지도 이어지고 있는데, 오전 8시와 오후 6시가 되면 거리에서 틀어주며 TV에서도 흘러나온다. 이 시간에 국가가 나오면 태국 시민들은 마치 옛날 군부독재 시절 한국처럼 가던 길을 멈추고 국가가 끝날때까지 기립한다. 자동차도 이 시간대에는 정차한다고 한다. 과거에는 영화관에서도 나왔지만 현재는 나오지 않는다.
ประเทศไทยรวมเลือดเนื้อชาติเชื้อไทย
เป็นประชารัฐ ไผทของไทยทุกส่วน
อยู่ดำรงคงไว้ได้ทั้งมวล
ด้วยไทยล้วนหมาย รักสามัคคี
ไทยนี้รักสงบ แต่ถึงรบไม่ขลาด
เอกราชจะไม่ให้ใครข่มขี่
สละเลือดทุกหยาดเป็นชาติพลี
เถลิงประเทศชาติไทยทวี มีชัย ชโย
태국은 태국인의 피를 모아 하나로 된 땅이라네.
태국의 국토는 모두 태국인의 것이라네.
전체를 유지하는 이유는
태국인 모두가 단결하기 때문이라네.
태국인은 평화를 사랑하지만 전쟁도 두렵지 않으리.
누구나 독립을 두려워할 자가 있느냐.
국가를 위해 우리는 모두를 희생하리.
조국의 영광이 있을지니, 만세!


2.5. 왕실가[편집]


}}}
극장을 비롯한 특정한 지역에서 들을 수 있으며 텔레비전에서는 방송 시작과 종료 시간에 국가처럼 송출한다. 금요일 날의 학교에서도 나온다.

태국 국가 행사 때에도 연주하는데 왕실가를 부를 때는 아래의 영상처럼 기립 상태로 제창한다. 움직이면 안된다.

1932년 시암 혁명 전에는 이 노래가 국가로 쓰였다. 현재 쓰이는 국가는 혁명을 통해 채택한 국가여서인지, 왕실가는 부드러운 느낌인데에 비해서 현재 국가는 에너지가 넘친다. 대부분의 영상은 선왕 푸미폰 아둔야뎃 생전이어서 선왕의 모습을 담은 영상이 나오지만 새로운 국왕이 즉위한 후부터는 새로운 국왕의 모습과 초상화, 어떤 영상은 선왕과 현 국왕, 왕대비의 초상화를 실은 영상이 있다.
}}}
2분째 부터 시작한다. 장엄하다. 시암 신포니에따가 연주한다.

ข้าวรพุทธเจ้า 카 워라 푸타 차오
เอามโนและศิระกราน 아오 마노 라에 시라 크란
นบพระภูมิบาล บุญดิเรก 놉 프라 푸미 반 분야 디렉
เอกบรมจักริน 엑 보로마 짜끄린
พระสยามินทร์ 프라 사야민
พระยศยิ่งยง 프라 욧사 잉용
เย็นศิระเพราะพระบริบาล 옌 시라 프로 프라 보리 반
ผลพระคุณ ธ รักษา 폰 프 쿤 따 락사
ปวงประชาเป็นศุขสานต์ 푸악 프라찬 펜 숙 산
ขอบันดาล 커 반단
ธ ประสงค์ใด 따 프라송 다이
จงสฤษดิ์ดัง 총 사릿 당
หวังวรหฤทัย 왕 워라 하루에타이
ดุจถวายชัย ชโย 둣차 타와이 차이 차이요
우리는 폐하의 충실한 국민이라.
내 마음은 그의 머리에 놓여 있네.
그에게 존경과 축복을 치러 주었네.
이 조국의 보호자이시며,
위대한 짜끄리 왕조
타이 국민의 지도자라.
가장 높은 권위 가까이서
나는 그를 보호하는 안내자.
모든 국민의 행복과 생존과 평화가 있네.
우리는 그대가 원하는 것을 바라네
그대에게 주는 운명과
그대가 바라는 영혼과
그대의 부를 주리라.
그대에게 만세를!


2.6. 기타[편집]


  • 태국을 상징하는 동물로 코끼리가 있다. 한때 국기에 흰 코끼리를 사용한 적도 있다. 다만 이와 별개로 태국에서 코끼리는 멸종위기에 놓여 있어 국가에서 보호를 받는 동물이다.


3. 역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태국/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태국의 역사
ประวัติศาสตร์ของ ประเทศไทย
몬족
프놈
크메르 지배기
란나
톤부리
(시암)

짜끄리
(시암)

타이
수코타이
아유타야
(시암)





4. 종교[편집]


태국은 국교가 없는 나라다. 태국 헌법에서는 국교를 규정하지 않으며 종교의 자유를 보장한다. 하지만 허락하는 종교가 제한되어 있어 불교, 시크교, 기독교, 힌두교, 이슬람교 이 5개 종교만 선택할 수 있고 그중에서도 상좌부 불교가 압도적이라 전체 인구의 95%가 불자이다. 국왕도 반드시 불자여야만 한다.[4]

태국 문화에서 불교가 차지하는 비중은 상당해서 특히 남자들은 일생에 한 번이라도 절에 들어가 스님이 되어야 할 정도다. 물론 세속국가라 법으로 강제되는 사안은 아니다. 승려가 될 경우 225계를 수지한다고 한다. 주로 어릴 때 삭발을 하고 단기 출가 생활을 체험하는데, 대한민국에서 유명한 닉쿤도 이렇게 어린 시절에 삭발 후 출가한 적이 있다. 데뷔 초기에 야심만만 만명에게 물었습니다에서 이미 자신이 에 출가한 적이 있다고 이야기했다. 태국 승려들의 특징은 머리카락뿐 아니라 눈썹까지 삭발한다는 것이다. 전통적으로는 단기출가가 성인식의 역할을 하는데, 단기출가 목적으로 승려가 되었다가 진짜로 구도하고자 승려로서 일생을 바치는 사람도 나온다. 그러나 시간이 흐를수록 단기출가를 귀찮게 여겨 생략하는 젊은이들도 많아지는 추세이다. 태국 승려들이 입는 가사는 대체로 웃따라상가이다.

태국 내에서 불교의 영향력이란 정말 어마어마해서, 드라마에서 스님이 등장하거나 왕실이 불교계 행사를 참여하는 정도는 매우 보편적이다. 2016년에 서거한 푸미폰 아둔야뎃 前 국왕만 해도 생불로 불리기도 했다. 세속의 학교 교사들 또한 전문적인 지식뿐만 아니라 태국 문화와 불교 문화를 함께 가르치는 전인적 교육을 마땅히 해야 한다는 사명감이 있기 때문에, 태국인들은 어릴 때부터 깊이 있게 불교 문화에 스며든다. 방콕 도시철도 BTS 객차 내부배려석에 임산부, 노약자와 함께 스님도 앉을 수 있다. 태국 학교 외국어 과목 중 팔리어가 있는 것도 상좌부 불교의 영향이다.

태국 내 불교 종파는 크게 왕실에서 개정한 종파와 전통적으로 역사가 깊은 종파로 나뉜다. 선불교나 명상과 같은 일반인들도 참여하기 쉬운 점을 내세운 신흥종파도 두각을 드러내고, 불교계 각종 이슈는 비교적 자주 뉴스에 오르내린다. 절에서는 대승불교와는 꽤나 다른 정통 상좌부 불교 문화가 많이 살아있다. 대승불교만 접했던 사람이라면 태국 절에서 금박을 붙이고 합장한 손에 연꽃을 끼우는 등 행위가 많이 낯설 것이다. 땅이 넓은 나라답게 태국의 절들은 정말 크다. 절 크기가 대학 캠퍼스만한 경우도 적지 않다. 왓 아룬과 왓 포는 태국에 왔다면 꼭 들려보는 역사적 절들로 꼽힌다. 숱한 역사적인 절들과 도심 곳곳에 자리한 사찰들 외에도 새로 지은 절도 전국에 상당히 많은데, 그 중 '왓 프라 담마카야'는 규모가 태국 최대인 사찰로 유명하다.



태국에서는 불교의 중요한 날들을 국경일로 지정하고 전국에서 주류판매를 금한다. 여행 갈 때는 참고하자. 아래는 태국에서 국경일로 지정한 불교 명절이다. 또한 해당 명절의 태국식 음력에 대응하는 한국의 음력(시헌력) 날짜를 병기하였으나, 달력 계산의 기준이 되는 경도의 차이 때문에 날짜가 하루 정도 차이나는 경우가 흔하고, 윤달 때문에 한 달 정도 차이나기도 한다.

명칭
기념 내용
태국식 음력
시헌력
마카 부차(Makha Bucha)
아라한 1250명이 기적적으로 석가모니 앞에 모임[5]
3월 15일
1월 15일
위사카 부차(Visakha Bucha)
석가모니탄생, 성도, 열반
6월 15일
4월 15일[6]
아산하 부차(Asalha Bucha)
초전법륜[7]
8월 15일
6월 15일[8]
아산하 부차 다음날은 카오 판사(Khao Phansa)라 하여 승려들이 안거(安居)에 들어가는 날(결제結制)이다. 이날도 역시 술을 팔지 않는다.

태국은 태어난 요일에 따른 불상이 있다. 절에 가면 불상 8좌가 일렬로 늘어섰는데, 각 불상마다 태어난 요일을 의미한다. 월화수목금토일 7요일에, 모든 요일을 담당하는 불상을 합쳐서 8좌. 태국의 태어난 요일별 모시는 불상.

여타 남방불교처럼 시체를 보면서 명상하는 전통이 있다. 이 때문에 태국의 의과대학에서는 시체 해부 시간에 스님들에게 견학할 기회를 드림이 관례라고 한다. 그리고 이 전통은 후술할 미디어 심의에도 꽤나 영향을 미쳤다. 불교 외에도 소수긴 하지만 그리스도교이슬람, 힌두교 등 다양한 종교가 있으며, 특히 태국 남부는 전통적으로 이슬람이 강하다. 불교도 다음으로는 인구 중 5%인 무슬림이 세가 커서 방콕 번화가에서는 히잡을 쓴 태국 여성을 종종 볼 수 있으며, 대형 쇼핑몰에는 무슬림을 위한 기도실이 있다. 그리고 방콕의 종교 시설 중 상당수가 이슬람 모스크이고 아잔도 자주 들린다. 말레이시아와 함께 아랍인이 많은 동남아 국가가 태국이다. 특히 말레이시아와 가까운 수라타니 주 이남으로 갈수록 무슬림 비율이 높아진다. 또한 윤회라든가 유령 같은 초자연적 현상에 대한 믿음이 강한 편이다. 현대화된 지금도 무의식에 뿌리 박혔다. 태국 영화가 호러 장르에 강한 이유도 여기에 있다. 심지어 예술영화를 만드는 아피찻퐁 위라세타꾼의 영화에도 호러라든가 초자연적 현상에 대한 묘사가 강하게 드러난다. 피뻡과 같은 귀신에 대한 믿음이 대표적이다.


5. 자연[편집]


국토의 대부분이 열대몬순기후라서 몬순기마다 집중호우가 쏟아진다. 5월 중순부터 10월 중순까지가 우기인데, 특히 비가 집중되는 기간은 8-9월이다. 강이 합쳐지는 지형인데다가 지형에 구배가 없어(땅이 완만해서) 이 천천히 흐르므로 홍수 피해가 빈번하다. 2010년에도 홍수 피해가 컸고, 2011년에도 여지없이 홍수 피해가 컸다. 2011 태국 홍수 참조. 남북으로 길이가 길다. 홍수 문제는 교통 문제와 더불어 태국 내 2대 국가 과제라고 할 만큼 중대한 사안이다.

단, 홍수 문제는 방콕과 수도권에 한정되는데 그 이유는 방콕에서 을 찾아보는 게 불가능할 정도로 모든 지역이 평평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과거 아유타야 왕국 시절 전통가옥들을 보면 대부분 강가로부터 높게 고상가옥 형식으로 지어졌다. 북부에서 나름 쳐주는 대도시인 치앙마이만 봐도 주변에 산이 빙 둘러싼 형태를 하고 있다. 매우 드물긴 하지만 2019년 제1호 태풍 파북처럼 남중국해의 타이 만에서 발달해서 인도양에 해당하는 벵골 만으로 진출하는 태풍이 영향을 줄 때도 있긴 하다.

우기를 대비해서 건물마다 파이프가 많이 설치되어 있어, 앞을 안 보고 다니다가는 머리에 물 맞을 수 있다. 우기 때에는 한국의 장마의 2~3배 가량 많이 오는데, 도심에서도 홍수가 빈번한 이유가 저절로 납득된다.

북부 산악 지대에서는 겨울이 되면 수도권과는 달리 영상 10도 즈음까지도 떨어지는데, 이러한 온도에서는 몇 명씩 생명을 잃기 때문에 정부에서 경보를 내린다. 북부 지역 우기같은 경우는 일교차가 심하기 때문에 한국 환절기보다 더 극심한 편이다. 심하면 독감에 걸릴수도 있다. 그래서 주로 노인 사망자가 많이 나온다.

파타야 주변과 남부에는 섬이 꽤 있는데, 정말로 환상적인 경치를 자랑한다. 태국에 왔다면 육지의 해변보다는 섬의 해변을 즐길 필요가 있다. 방콕 지하철 다음으로 치앙마이도 아닌 푸껫에서 지하철 계획이 추진되는 건 그만한 이유가 있다.


5.1. 여름[편집]


일년 내내 여름으로 을 보거나 추위를 맞이하기 힘든 기후이지만, 정작 치앙마이를 비롯한 북부지방의 현지인들은 12월~1월의 건기 무렵에 스웨터점퍼를 입고 다니며 추위를 느낀다. 사실 살다보면 추위를 느낀다. 그럴 만한 게 최저기온이 15도 정도까지도 떨어지기 때문. 물론 낮에는 30도에 육박한다.

적도에 인접한 국가라서 태양빛이 강해 1년 내내 자외선 차단이 필수다.

태국인들은 시원한 계절, 비오는 계절, 더운 계절로 나누지만, 태국에 체류하는 외국인들은 항상 태국이 3개의 여름을 가졌다고 설명한다. 여름, 더운 여름, 아주 더운 여름 등. 그만큼 더운 나라다. 그래서 해가 쨍쨍한 날을 날씨가 나쁘다고 표현하고, 흐린 날을 날씨가 좋다고 표현한다. 자주 쓰는 표현인 '차가운 마음(짜이 옌)'도 부정적인 뜻이 아니라, 침착하다는 뜻이다.

보통 아프리카가 지구 상에서 가장 더운 지역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대부분의 아프리카 지역보다 태국이 더 덥다. 사실 아프리카가 덥다는 이미지는 사하라 사막을 낀 북아프리카가 불러온 보편적인 오해로 한국인이 생각하는 더운 아프리카는 이집트, 수단, 소말리아, 알제리, 차드 등 북부 아프리카이며 오히려 남아공 쯤 가면 서유럽과 기후가 별반 다를 바 없고, 적도가 관통하는 나라인 케냐도 수도인 나이로비를 포함해서 고산지대가 많기 때문에 1년 내내 서늘하다. 아프리카는 생각보다 덥지 않으며 한국에서만 돌아다니는 잘못된 상식이다. 진짜로 세계에서 가장 기온이 높은 곳은 아프리카가 아닌 뜻밖에 스페인포르투갈이 속한 이베리아 반도호주 대륙이 그러한 곳이다. 이베리아는 한여름에 북부 일부만 뺀 전 지역이 40도를 넘는 폭염을 자랑한다. 그리고 호주 대륙 역시 여름에는 그 시원하다는 멜버른도 40도는 기본으로 넘어가며 폭염이 심하고 건조해서 산불은 항상 남반구의 여름인 12-2월에 집중된다.

중동이나 아프리카 북부가 사막 때문에 극단적으로 덥기는 하지만, 사막이 없는 지역 치고는 태국이 매우 더운 편이다.특히 한국의 늦봄에 해당되는 4~5월 경에는 그 정점을 찍는데 '평균' 최고 온도가 35도에 육박하며, 보통 이 시기에는 오전 7시만 되더라도 최고 기온이 40도에 육박하는 일이 잦을 정도로 엄청난 열기를 자랑한다. 태국 최대의 축제인 쏭크람 축제가 열리는 것도 이때인데 이 축제에서 괜히 물 뿌리고 다니는게 아니다. 참고로 이 시기에는 비도 거의 오지 않아서 열을 식힐 방법이 없으며 동남아시아 기후 특성상 그늘에 들어가더라도 전혀 시원하지 않다. 그래서 이 시기에 태국을 여행할 때는 다른 무엇보다 더위에 유의해야 하는데, 특히 햇볕을 피할 만한 곳이 별로 없고 대리석에서 뿜어내는 반사열이 엄청난 왕궁 같은 곳들에서는 하루에도 몇 명씩 더위로 인해 쓰러지는 이들이 나올 정도이다.

이러한 엄청난 더위는 우기의 시작인 6월로 접어들면서 조금 누그러지는데, 대신 이때부터는 습도와의 전쟁이 시작된다. 태국의 6~8월 평균 상대습도는 85%에 달한다. 한국의 여름철 최난월 평균 상대습도는 75% 내외이다. 특히 6월의 경우, 한여름 한국 더위에 적응된 이가 넘어가도 공항에서부터 숨이 탁 막힐 정도로 무덥고 습하다. 그로 인해서 사람에 따라서는 오히려 4~5월보다 더 힘들게 느끼는 이들도 있으며, 습도가 높은 상태에서 비가 내리지 않는 '쨍'한 날은 4~5월 이상의 체감 더위를 느낄 수 있다. 에어컨을 종일 틀어놔도 눅눅한 느낌이 사라지지 않을 정도이다. 그냥 한증막 안에 들어가 있다고 생각하면 간단하다. 이런 무더위는 강수량이 많아지는 7~8월이 되면서 조금 누그러지지만 습도로 인해서 활동력은 크게 감소한다.

건기(11월 ~ 3월)의 경우에는 사정이 나은 편이라 그렇게 끔찍하게 더운 편은 아니고, 한국의 한여름철 날씨에 비해선 선선한 경우도 있으며, 우기에 비해선 상대적으로 나은 편이라 관광객들도 우기보다는 건기 시즌을 더 선호한다. 분지, 평지등의 지형적 특성도 기후에 영향을 미치나 한국과 태국의 위도차는 상당하여 그것을 상쇄하는 수준이고 고도가 높은 고산지역이 아닌 한, 태국과 같은 저위도, 아열대, 열대기후 지대는 연교차보다 일교차가 더 크거나 연간 기온차가 일정하게 높은것이 특징이며, 반면에 한국과 같은 중위도 온대, 냉대기후 지대의 경우 연교차가 큰것이 특징인데, 이는 비슷한 위도대에 위치한 국가들이 가지는 공통적인 요소라 다른 국가들과는 구분되는 어느 한 국가만의 고유 특성으로 볼 순 없다. 또한 환경오염 측면에서 방콕과 같은 대도시를 필두로 태국이 한국에 비해 깨끗한 편이 아니므로 그런 차이가 기후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기는 힘들다. 특히나 12월 전후해서는 해안가 휴양지에서도 지중해성 기후와 비슷한 형태의 날씨가 만들어 져서 여행하기에 최적의 시기이다.

예상 외로 중부인 방콕보다는 남부가 더 시원하다. 진짜다. 이유는 아무래도 바다의 영향과 대륙도 때문이다. 그리고 당연하지만, 12월~1월에 북부 산지 등으로 들어가면 10도대까지도 진입한다. 태국에서 기록된 역대 최저 기온은 북동부 이산 지방의 사꼰나콘에서 기록된 -1.4℃이고, 역대 최고 기온은 북서부의 미얀마 접경 지대인 매홍손에서 기록된 44.6℃이다.


6. 지리[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Thailand_Topography.png}}}
출처는 위키미디어 공용.

국토적도 근방에 위치한 데다 모양도 은행나무 잎처럼 위는 넓고 아래는 매우 좁고 긴 형태이기 때문에 지도상으로는 그다지 넓어보이지 않지만, 그 크기는 대한민국 실질 영토의 5배에 이르고 프랑스와 면적이 비슷하다. 불과 19세기 중반만 해도 프랑스와 영국을 합친 것보다 넓었지만, 제국주의 시절 국가의 자주독립을 위해 오늘날에는 라오스캄보디아에 속하는 영토를 전략적으로 프랑스에 식민지로 할양하여 지금의 형태가 되었다. 이 때문에 제국주의 시대에 동남아시아에서 유일하게 독립을 유지한 국가이다.

방콕을 포함한 중부 일대는 네덜란드처럼 지대가 낮아 운하가 발달했고, 우기에는 한국의 장마는 비교도 안 될만큼 집중호우가 내리기 때문에 방콕 번화가에서도 종종 침수가 일어난다. 이 침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에서 애를 쓰고 있다.

태국은 크게 4개 지역으로 나눌 수 있다. 북부, 북동부(이산 지방. 동부를 포함한다.), 중부, 남부.

중부에는 수도 방콕을 포함해 사적지로 유명한 아유타야롭부리, 중부의 대표적 휴양지인 파타야, 그리고 더욱 한가한 휴양지인 라용(사멧 섬으로 가기위한 도시), 그리고 중남부에는 페차부리 인근에 왕실 휴양지로 유명한 후아힌이 있다.

중서부에는 미얀마와 국경을 마주한 깐짜나부리가 있다. 깐짜나부리엔 한때 일본군이 포로로 납치한 (주로) 영국인들을 부려먹으며 설치한 철도가 유명하며 관광명소가 되었다.

북부는 주로 높은 산악지대로 이루어져 있다. 치앙마이가 대표 도시로, 불과 2백여 년 전에는 란나 왕국의 수도 였다. 치앙마이를 따라 더 북쪽으로 가면 북부 제2의 도시인 치앙라이가 있다. 치앙마이와 치앙라이보다 더더욱 북쪽에 위치한 '골든 트라이앵글' 지역은 한 때 마약 재배로 유명한 태국-라오스-미얀마 접경지였는데, 지금은 왕실의 지원 하에 커피 등의 고부가가치 작물 등을 재배하고 있다. 그리고 미얀마 수장족인 카렌족의 마을이 모여있는 매홍손, 북부로 가는 골목에 해당하는 핏사눌록, 그리고 수코타이 왕국의 수도 수코타이가 이곳에 있다.

북동부는 흔히 이산 지방이라고 부르며, 사실상 라오스와 문화적으로 동일하다. (사실 라오스도 태국과 다를 바 없는 문화를 갖고 있다.) 이산 지방의 문턱인 나콘랏차시마에서 북부와 동부로 갈리는데 동부의 중심은 우본라차다니, 북부의 중심은 우돈타니다. 우돈타니에서 조금만 더 올라가면 농카이라는 국경도시가 있는데, 여기서 태국-라오스 우정의 다리를 통해 라오스의 수도, 비엔티안으로 넘어갈 수 있다. 우본라차타니에서 동쪽으로 나아가 라오스의 빡세 방면으로 넘어갈 수도 있으나 그다지 이용하는 사람은 없다.

남부는 길쭉한 산맥으로 미얀마와 접경지이며, 말라카 해협 인근까지 내려오면 갑자기 넓어지는 평지와 양쪽으로 둘러싸인 긴 해안가를 통해 실로 남국에 왔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태국 최대의 섬이자 최대의 휴양지 푸껫, 푸껫 인근 내륙 해안도시 끄라비, 푸껫에 필적하는 휴양지 사무이 섬(꼬 사무이)로 넘어가기 위한 중간 기착지 수랏타니 및 나콘시탐마랏, 그리고 말레이시아 인근 대형 상업도시인 핫야이, 송크라, 빠따니가 자리하고 있다.

최남단에 위치한 사뚠, 송클라, 빠따니, 얄라, 나라티왓은 원래 말레이인들이 살던 곳이었나 태국이 침략하여 강탈한 곳이기에 분리주의가 강성하다. 태국의 치안은 웬만해선 양호하나 이 지역들은 태국의 대표적인 분쟁 지역이며, 분리주의 단체에 의한 테러가 자주 발생한다. 크라 운하가 만년 떡밥에서 벗어나지 못한 이유 중 하나가 정권 불안정과 더불어 이 분리주의 때문이기도 하다.

}}}

6.1. 태국의 행정구역[편집]


<bgcolor=#2D2A4A><:>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2D2A4A)"
[ 펼치기 · 접기 ]
북부
파일:치앙마이주.png
치앙마이
เชียงใหม่

파일:치앙라이주.png
치앙라이
เชียงราย

파일:람빵주.png
람빵
ลำปาง

파일:람푼주.png
람푼
ลำพูน

파일:매홍손주.png
매홍손
แม่ฮ่องสอน

파일:난주.png

น่าน

파일:파야오주.png
파야오
พะเยา

파일:프래주.png
프래
แพร่

파일:우따라딧주.png
우따라딧
อุตรดิตถ์


동북부(이산)
파일:암낫짜른주.png
암낫짜른
อำนาจเจริญ

파일:부리람주.png
부리람
บุรีรัมย์

파일:차이야품주.png
차이야품
ชัยภูมิ

파일:깔라신주.png
깔라신
กาฬสินธุ์

파일:콘깬주.png
콘깬
ขอนแก่น

파일:르이주.png
르이
เลย

파일:마하사라캄주.png
마하사라캄
มหาสารคาม

파일:묵다한주.png
묵다한
มุกดาหาร

파일:나콘파놈주.png
나콘파놈
นครพนม

파일:나콘랏차시마주.png
나콘랏차시마
นครราชสีมา

파일:농부아람푸주.png
농부아람푸
หนองบัวลำภู

파일:농카이주.png
농카이
'หนองคาย

파일:로이엣주.png
로이엣
ร้อยเอ็ด

파일:사꼰나콘주.png
사꼰나콘
สกลนคร

파일:시사껫주.png
시사껫
ศรีสะเกษ

파일:수린주.png
수린
สุรินทร์

파일:우본랏차타니주.png
우본랏차타니
อุบลราชธานี

파일:우돈타니주.png
우돈타니
อุดรธานี

파일:야소톤주.png
야소톤
ยโสธร

파일:븡깐주.png
븡깐
บึงกาฬ

서부
파일:깐짜나부리주.png
깐짜나부리
กาญจนบุรี

파일:펫차부리주.png
펫차부리
เพชรบุรี

파일:쁘라쭈압키리칸주.png
쁘라쭈압키리칸
ประจวบคีรีขันธ์

파일:랏차부리주.png
랏차부리
ราชบุรี

파일:딱주.png

ตาก

중부
파일:앙통주.png
앙통
อ่างทอง

파일:아유타야주.png
아유타야
พระนครศรีอยุธยา

파일:방콕(끄룽텝마하나콘).png
방콕
กรุงเทพ ฯ

파일:차이낫주.png
차이낫
ชัยนาท

파일:깜팽펫주.png
깜팽펫
กำแพงเพชร

파일:롭부리주.png
롭부리
ลพบุรี

파일:나콘나욕주.png
나콘나욕
นครนายก

파일:나콘빠톰주.png
나콘빠톰
นครปฐม

파일:나콘사완주.png
나콘사완
นครสวรรค์

파일:논타부리주.png
논타부리
นนทบุรี

파일:빠툼타니주.png
빠툼타니
ปทุมธานี

파일:펫차분주.png
펫차분
เพชรบูรณ์

파일:피찟주.png
피찟
พิจิตร

파일:핏사눌록주.png
핏사눌록
พิษณุโลก

파일:수코타이주.png
수코타이
สุโขทัย

파일:사뭇쁘라깐주.png
사뭇쁘라깐
สมุทรปราการ

파일:사뭇사콘주.png
사뭇사콘
สมุทรสาคร

파일:사뭇송크람주.png
사뭇송크람
สมุทรสงคราม

파일:사라부리주.png
사라부리
สระบุรี

파일:싱부리주.png
싱부리
สิงห์บุรี

파일:수판부리주.png
수판부리
สุพรรณบุรี

파일:우타이타니주.png
우타이타니
อุทัยธานี




동부
파일:차층사오주.png
차층사오
ฉะเชิงเทรา

파일:짠타부리주.png
짠타부리
จันทบุรี

파일:촌부리주.png
촌부리
ชลบุรี

파일:쁘라찐부리주.png
쁘라찐부리
ปราจีนบุรี

파일:라용주.png
라용
ระยอง

파일:사깨오주.png
사깨오
สระแก้ว

파일:뜨랏주.png
뜨랏
ตราด




남부
파일:춤폰주.png
춤폰
ชุมพร

파일:끄라비주.png
끄라비
กระบี่

파일:나콘시탐마랏주.png
나콘시탐마랏
นครศรีธรรมราช

파일:나라티왓주.png
나라티왓
นราธิวาส

파일:빠따니주.png
빠따니
ปัตตานี

파일:팡응아주.png
팡응아
พังงา

파일:파탈룽주.png
파탈룽
พัทลุง

파일:푸껫주.png
푸껫
ภูเก็ต

파일:라농주.png
라농
ระนอง

파일:사뚠주.png
사뚠
สตูล

파일:송클라주.png
송클라
สงขลา

파일:수랏타니주.png
수랏타니
สุราษฎร์ธานี

파일:뜨랑주.png
뜨랑
ตรัง

파일:얄라주.png
얄라
ยะลา



[ 지도 보기 ]
#!end파일:1200px-Thailand_provinces_ko.svg.png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00px-Thailand_provinces_en.svg.png}}}

태국의 행정구역 체계
1차 행정구역
방콕
กรุงเทพมหานคร
Bangkok

짱왓(주)
จังหวัด
(Province)
2차 행정구역
켓(구)
เขต
(District)
암프(군)
อำเภอ
(District)
테사반(자치 구획)
เทศบาล
(Municipality)
테사반나콘(시)
เทศบาลนคร
(City municipality)
테사반므앙(읍)
เทศบาลเมือง
(Town municipality)
테사반땀본(자치면)
เทศบาลตำบล
(Subdistrict municipality)
3차 행정구역
쾡(동)
แขวง
(Subdistrict)
땀본(면)
ตำบล
(Subdistrict)
4차 행정구역
-
무반(리)
หมู่บ้าน
(Village)
태국의 행정구역은 77개의 주와 수도 방콕으로 나뉜다. 태국어로 주는 '짱왓'이라고 하며, 다시 짱왓은 '암프'로, 암프는 '무반'으로 나뉜다. 테사반은 옛 영국의 위생구를 본따 태국의 도입된 것을 유래로 하는 자치 구획으로, 설립되면 위생 등의 분야에 있어 암프나 땀본으로부터 권한을 이양받는다. 테사반의 경계는 반드시 하위 구역인 땀본들의 경계와 일치하지는 않기 때문에, 테사반이 땀본 여럿을 거느리거나, 서로 다른 땀본의 일부분끼리 하나의 테사반을 이루기도 한다.

방콕을 제외한 유명한 주로는 치앙마이, 치앙라이, 촌부리, 푸껫, 아유타야 등이 있다.

6.2. 국경 넘기[편집]


과거에는 서쪽 미얀마 방면으로는 육로로 넘어갈 수 있는 방법이 오랫동안 전혀 없었다. 그나마 치앙마이에서 북쪽, 혹은 서쪽의 매솟 등을 통해 길이 있기는 한데, 양국이 서로 쉴새없이 으르렁거리고 있는지라 시장상인들을 배려하여 물자교류를 위해 2km 한정으로만 잠깐 왔다갔다 할 수준이 전부였다. 돈을 벌기 위해 불법 월경하려는 미얀마인들을 막기 위해, 국경의 군경들은 거동이 수상한 사람 발견시 일단 붙잡은 뒤 태국 국가를 불러보게 하거나 태국 문자를 순서대로 외우게 하는 식으로 테스트하기도 했다.

2010년대 이후로는, 미얀마의 개방정책 실시로 외국인에게도 육로 국경 통과가 전면 허가된 상황이다.

북쪽 라오스 방면으로는 상기했듯 농카이에서 우정의 다리를 통해 넘어가면 아주 수월하다. 차로 30분만 더 달려가면 바로 수도 비엔티엔이 나온다. 서쪽방면은 메콩강이 온통 막고 있어서 건너기가 거의 불가능하지만, 카이손 폼비한이나 빡세 방면으로는 육로가 있다. 다만 거의 깡촌이라서 그다지 볼 일은 없다. 최근 동북부 지방에 대한 경공업 투자가 늘어나면서 노동력과 물자 이동이 빈번한 편. 단 주의점이 있다면 라오스는 다른 나라와는 달리 무비자로 30일까지만 체류가 가능하다.

동쪽 캄보디아 방면으로는 방콕에서 버스나 기차 타고 아란야프라텟으로 가면 육로로 넘어갈 수 있다. 혹은 동남부의 뜨랏에서 국제선 배를 타고 캄퐁으로 넘어가면 수도 프놈펜 방면으로 갈 수 있다. 다만 앙코르와트가 목적인 경우엔 먼저 시엠립으로 가야하므로 육로로 가는것이 여러모로 낫다. 프놈펜에서 시엠립으로 가려면 톤레삽(톤레 호수)를 빙 둘러서 돌아가야 하기 때문. 캄보디아와 태국의 사이도 그다지 좋은 건 아니지만 태국이 지위에선 우선이기 때문에 넘어가는 것 자체에선 그다지 문제되진 않는다. 단 해당 지역에 접근하면 외교부에서 경고 메시지를 보낸다. 여행자제-황색경보가 발령되어있기 때문.

남쪽 말레이시아는 방콕에서 페낭 버터워스 역까지 직통 열차도 있으며, 핫야이까지 기차나 버스를 타고 내려간 다음 남쪽 버터워스 방면으로 계속 가거나 서남쪽 코타바하루 방면으로 가면 된다. 일단 버터워스 역까지 가면 거기에서부터는 수도 쿠알라룸푸르KL 센트럴 역이나 나아가 싱가포르의 우드랜즈 역으로 가는 열차도 매일 다닌다. 진입이 상당히 수월한 편이다. 실제로 이슬람 국가인 말레이시아가 태국보다 잘 사는 나라지만 종교적 이유로 자유로운 문화 때문에 말레이계 민족들이 종종 태국에 놀러가기도 한다.


6.3. 민족 및 인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태국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연도
인구
1850년
523만
1900년
632만
1920년
930만
1940년
1571만
1960년
2625만
1970년
3439만
1980년
4696만
1990년
5454만
2000년
6060만
2010년
6544만
2015년
6797만
2020년
6980만

여자가 남자보다 120만 명 정도 더 많다. 남아선호사상이 별로 강하지 않아 출생 시의 성비는 남:여 1.06 정도로 자연성비에 가깝지만, 남성의 사망률이 상대적으로 높아 15-64세 성비를 계산하면 남:여 0.98 정도이며 65세 이상으로는 압도적으로 여초가 된다.

국토 면적에 비해 인구가 적다. 국토 면적과 인구 규모가 둘 다 프랑스와 비슷하다. 대한민국이 태국의 1/5 면적에 산림면적이 60~65%인데 5100만명, 일본이 태국의 3/4 면적에 산림면적이 70~80%인데 1억 2천만 명인 것과 대조적이다. 전통적으로 태국을 비롯한 인도차이나 반도는 노동력 부족이 중대한 문제였다. 2기작을 넘어 3기작도 가능해 식량이 풍부하고 인구가 많았을 거라고 알기 쉬운데, 열대지방의 엄청난 강수량에 땅에 있는 영양분이 다 쓸려나가 비료가 보급되기 전에는 농사 짓기 좋은 지역이 아니었다. 그래도 20세기 초에 화교 이민을 받아들인다거나 하는 식으로 인구를 불리기도 했지만 비료의 보급, 의료수준의 향상, 고출산으로 인구가 폭발적인 성장을 기록하기 시작하면서 인구수가 가하급수적으로 늘어나면서 더 이상 받아들일 필요도 없어지고 해서 한동안 강압적으로 동화정책을 펼치기도 했다. 1990년대 중반부터 출산율이 2명대를 밑돌기 시작하면서 인구성장은 주춤해진 상태로 2010년대 들어와서는 노동력 부족이 문제라 미얀마나 캄보디아, 라오스에서 노동력을 대대적으로 수입하기도 한다.

현재 동남아시아에서 싱가포르 다음, 개발도상국 중에서는 가장 저출산, 고령화 속도가 빠른 나라다. 2020년 출산율은 1.18명으로 2016년 한국과 비슷했고, 1년 후인 2021년에는 코로나19로 인한 경제난과 정치적 불안이 겹치면서 출산율이 1.09명으로 더 떨어졌다. 동소득대 최하 출산율. 베트남의 절반 가량, 한국이 비슷한 소득을 기록하던 1990년대 초반의 출산율 1.6~1.8명보다도 낮은 수준이다. # 소득에 비해서도 유달리 낮은 출산율의 원인은 규명된 바가 없지만 소수만 경제적으로 큰 혜택을 누릴 수 있는 빈익빈 부익부가 어떤 영향이 있지 않느냐는 추정이 있다. 고령화 속도 또한 굉장히 빨라 2002년고령화사회에 도달한지 20년 후인 2022년, 결국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율이 14%를 넘겨 고령사회에 왔다.

그리고 2021년에는 출생아 수가 사망자 수를 밑도는 인구 자연감소(데드크로스) 현상이 일어났으며 총인구 감소 역시 2028년에서 2025년으로 3년 앞당겨질 것으로 전망한다.[9]

유엔에서 내놓은 인구전망에 따르면 2100년에는 태국인구가 5천만 명선 아래로 내려간다고 내다봤다. 그러나 이는 중간값이고, 최저값은 3천만 명에도 미치지 못한다고 나왔다. 최고값도 7500만 명이 조금 넘는 수준으로 현재보다 조금 증가하는 선에 그친다. 자세한 내용은 참고

6.3.1. 중국계 태국인(시노 타이)[편집]


시암 즉 현재 태국은 건국부터 차오저우(潮州)계 화교가 조주계 군사들을 모아 왕이 된 나라다. 차오저우는 중국 광둥성 동부에 위치한 곳으로 차오산이라고 부르며 푸젠성과 언어 및 음식이 비슷하다.

시암 이후의 태국이란 나라는 사실 차오저우계가 완전히 새로 만든 나라라고 할 수 있다. 현 태국 짜끄리 왕조의 시조인 라마 1세와 그 이전 왕조인 톤부리 왕조, 또 그 이전의 왕조인 아유타야 왕조까지 모두 중국계가 시조다. 그만큼 시암 이전의 태국과 이후의 태국은 경제적으로 외교적으로 크게 다르다. 베트남도 역사적으로 중국과 비슷한게 많았다. 베트남/역사 참고. 아예 중국계 왕조인 남월이 베트남 역사 시작이었다.

중국계 태국인을 뜻하는 시노 타이(Sino Thai)는 전통 태국계와 중국계의 혼혈을 말하며 상당수는 조주계(치우차우로 불린다)를 일컫는다. 이들은 주로 방콕을 중심으로 하는 태국 중부를 주요 무대로 삼는다. 객가인 및 광동인 등을 비롯한 다른 계열의 화교들은 과거 란나 왕국이었던 북부의 치앙마이나 남부에서 주로 활동한다. 당장 객가인이었던 탁신 친나왓의 친나왓 가문도 원래 치앙마이가 기반이었다.

시노타이를 포함한 화교는 인구의 14%이상을 차지하는 많은 숫자를 자랑한다. 탁신 친나왓 전 총리도 시노타이계였지만 이 사람은 조주계가 아니다. 이는 필리핀인 중에 상류층 가문은 중국계 필리핀인인 시노 필리피노였던 것과 같은 개념이다. 단지 시노 타이들의 수가 더 많을 뿐인데 중국인들이 중세때부터 태국으로 활발히 이주했던 게 크다. 원체 태국인 자체가 황하 유역에서 기원하여 윈난성, 광시좡족자치구 일대에서 살던 사람들이라 비록 한족은 아니더라도 중국과 접점이 없다고는 할 수 없는데다 남중국과 가까워서 몽골족이 중국을 통일해 원나라를 세우자 몽골족의 말발굽에 밟힌 남방 사람들은 대거 이민을 택해 남쪽으로 빠져나갔고 그 중에 현재 태국인 시암이 제일 많이 가는 목적지였다.

처음부터 시노 타이의 경우 외모가 몬족이나 크메르족이 섞여 조금 이질적으로 보이는 타 태국인과 달리 동아시아 사람과 흡사해서 처음에는 태국인인 줄 모른다. 정확히는 태국 하면 한국인들이 선입견으로 떠올리는 그런 외모와 거리가 멀어 위화감이 드는 것인데 원래 태국인의 조상은 윈난성에서 이주하였고 황하가 기원인 태족이었다. 단지 현재의 태국으로 내려오면서 원주민이던 몬족 그리고 옆으로 밀어내던 크메르족이나 말레이인과 피가 섞였을 뿐이다.

태국인들이 흰 피부를 추구하는 경향은 시노 타이들이 부유했었고, 지금도 부유하기 때문인 것에서 영향을 받았다.

시노 타이들은 전통적인 태국인들과는 다른 교육과 생활 속에서 자란다. 물론 태국 혁명 이후 피분송클람 정권의 강력한 동화 정책 덕분에 주된 언어로 중국어를 하거나 자신을 중국인이라고 생각하는 시노 타이는 無에 가까울 만큼 찾아보기 힘들다. 그러나 암묵적으로 상류층 사회는 그들에 의해 주도가 되어야 한다는 입장이 오늘날에도 남아있다. 특히 그 중에서도 조주계여야 하며, 조주계가 아닐 경우 인정 받지 못한다. 최근의 2006년, 2014년에 각각 탁신 친나왓잉락 친나왓을 축출한 태국 쿠데타도 알고 보면 이러한 중국계 태국인들의 지역싸움이 있는데 탁신/잉락 전 총리 집안인 친나왓 가문은 조주계가 아니다.

방콕 중에서도 야오왈랏 일대는 차이나타운이라고 불리기도 하지만 차이나타운이기 이전에 화교들의 첫 번째 무대였다. 방콕은행, CP와 같은 대기업들도 역시 시노 타이들이 설립한 곳으로 잘 알려져 있다. 태국 금융업은 죄다 시노 타이들이 꽉 잡고 있다. 그리고 연예계 등도 중국계 핏줄의 중국계 태국인들이 꽉 잡고 있으며 이런 것들이 나중에 흰 피부에 대한 갈망으로 이어졌다.

시노 타이들은 다른 주변 국가들과는 달리, 스스로를 강력하게 태국인으로 받아들이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그들이 사회 문제를 일으키거나 민족적 차별을 드러내지는 않는다. 다만, 필요에 따라서 은근하게 태국인에게는 없는 중국식 이름, 중국식 생활 방식을 과시하기는 한다. 그러나 중국 본토에 대해서는 경멸하며, 더럽고 조악하다고 생각한다. 이 점은 종교와 언어가 다르지만 같은 중국계 혈통인 싱가포르의 중국계도 똑같다. 싱가포르 중국계는 기독교 교세가 강하고 무신론자도 많으며 불교도도 많은 반반이다. 시노타이는 대부분 소승불교에 대승불교를 약간 짬뽕한 현지화된 중국 불교를 믿는다. 특히 이들 중국계 태국인들은 모두 중국 남부 출신이기 때문에 중국 북부는 더욱 멸시한다. 상하이,광둥성 같은 남부는 그나마 괜찮아 하지만 베이징 등 북부는 거의 혐오 수준이다. 아예 북부 중국인을 몽골인, 만주족 등 오랑캐가 한족화했다고 깔 정도다.

우리가 잘 아는 연예인 중에서 민니닉쿤, 텐(NCT), 그리고 중국판 프로듀스 101인 화전소녀 101에 나왔던 리쯔팅 등이 중국계 태국인이다. 리쯔팅의 경우는 원래 태국식 성명을 쓰는데 중국 쪽에서 용케 중국식 성명을 찾아내서 예명으로 쓰는 케이스다.


7. 정치[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태국/정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8. 군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태국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9. 경제[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태국/경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0. 사회[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태국/사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1. 문화[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태국/문화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2. 외교[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태국/외교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3. 교육[편집]


파일:태국 국장.svg
태국대학

[ 펼치기 · 접기 ]
-1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tablecolor=#000,#fff><colbgcolor=#2d2a4a><colcolor=#fff><width=110> [[국립대학|{{{#fff 국립대학}}}]] ||[[끄룽텝마하나콘 대학교|]] · [[치앙마이 대학교]] · [[쭐랄롱꼰 대학교]] · [[까셋삿 대학교]] · [[콘껜 대학교]] · [[랏끄라방 몽꿋 공과 대학교]] · [[톤부리 몽꿋 공과 대학교]] · [[매파루앙 대학교]] · [[매쪼 대학교]] · [[마하쭐랄롱꼰랏위타얄라이 대학교]] · [[마함꿋랏위타얄라이 대학교]] · [[마하사라캄 대학교]] · [[마히돌 대학교]] · [[나콘파톰 대학교]] · [[나레수안 대학교]] · [[개발행정국립대학원대학교]] · [[빠툼완 공과대학교]] · [[파야오 대학교]] · [[송클라나카린 대학교]] · [[나라티왓나카린 대학교]] · [[람캄행 대학교]] · [[신라빠꼰 대학교]] · [[시나카린위롯 대학교]] · [[수코타이탐마티랏 대학교]] · [[수라나리 공과대학교]] · [[탐마삿 대학교]] · [[우본랏차타니 대학교]] · [[왈라일락 대학교]] ||
|| 라차팟 대학교 ||[[반솜뎃짜오프라야 대학교|]] · [[부리람 대학교]] · [[차이야폼 대학교]] · [[치앙마이 대학교]] · [[치앙라이 대학교]] · [[돈부리 대학교]] · [[깔라신 대학교]] · [[깜팽펫 대학교]] · [[깐짜나부리 대학교]] · [[람빵 대학교]] · [[르이 대학교]] · [[마하사라캄 대학교]] · [[무반 쫌붕 대학교]] · [[나콘파톰 대학교]] · [[나콘랏차시마 대학교]] · [[나콘사완 대학교]] · [[나콘시탐마랏 대학교]] · [[펫차분 대학교]] · [[펫차부리 대학교]] · [[프라나콘 대학교]] · [[아유타야 대학교]] · [[푸켓 대학교]] · [[랏나카린 대학교]] · [[람파이파니 대학교]] · [[로이엣 대학교]] · [[사꼰나콘 대학교]] · [[시사껫 대학교]] · [[송클라 대학교]] · [[수안두싯 대학교]] · [[수안수난타 대학교]] · [[수랏타니 대학교]] · [[수린 대학교]] · [[텝사뜨리 대학교]] · [[우본랏차타니 대학교]] · [[우돈타니 대학교]] · [[우따라닛 대학교]] · [[왈라야알롱꼰 대학교]] · [[얄라 대학교]] ||
|| 랏몽콘 공과대학교 ||[[이산 대학교|]] · [[끄룽텝 대학교]] · [[란나 대학교]] · [[프라나콘 대학교]] · [[라따나꼬신 대학교]] · [[시위차이 대학교]] · [[수완나품 대학교]] · [[따완옥 대학교]] · [[탄부리 대학교]] ||
|| [[사립대학|{{{#fff 사립대학}}}]] ||[[에치안 대학교|]] · [[에치안 공과대학교]] · [[아시아태평양 국제대학교]] · [[어썸션 대학교]] · [[방콕 대학교]] · [[끄룽텝 톤부리 대학교]] · [[짜오프라야 대학교]] · [[끄릿띠안 대학교]] · [[투라낏반팃 대학교]] · [[동아시아 대학교]] · [[극동대학교(태국)|극동대학교]] · [[핫야이 대학교]] · [[후아치우 찰름프라끼아라띠 대학교]] · [[국제불교대학교]] · [[까셈분딧 대학교]] · [[께릭 대학교]] · [[마하나콘 공과대학교]] · [[네찬 대학교]] · [[타이니치 공업 대학교]] · [[북치앙마이 대학교]] · [[북동부 대학교]] · [[빠툼타니 대학교]] · [[파얍 대학교]] · [[랑싯 대학교]] · [[랏차타니 대학교]] · [[라따나분딧 대학교]] · [[세인트 존스 대학교(태국)|세인트 존스 대학교]] · [[친나왓 대학교]] · [[시암 대학교]] · [[동남아시아 대학교]] · [[시빠툼 대학교]] · [[스땜폿 국제 대학교]] · [[탁신 대학교]] · [[태국 상공회의소]] · [[웡차왈릿꾼 대학교]] · [[웹스터 대학교]] · [[웨튼 대학교]] · [[얄라 이슬람 대학교]] · [[요눅 대학교]] · [[부라파 대학교]] ||
|| 특수교육대학 ||[[쭐라쫌끌라오 육군사관학교|]] · [[태국해군사관학교]] · [[태국공군사관학교]] · [[몽꿋끌라오 간호학교]] · [[태국육군간호학교]] · [[태국해군간호학교]] · [[태국공군간호학교]] · [[태국국방대학교]] · [[태국경찰사관학교]] · [[보롬라촌나니 간호학교]] · [[쭐라폰 연구소]] · [[에너지환경연합대학원대학교]] · [[마하빤야 위타얄라이]] · [[사신 경영대학원]] · [[시린톤 공과대학교]] · [[태국 방송통신대학교]] · [[태국 과학기술대학원대학교]] ||
||<-2><bgcolor=#a51931>  [[국외 소재 대학교 일람/아시아|{{{#fff 아시아 소재 대학교 일람}}}]] ||



세계에서 국제학교가 가장 많은 나라로도 유명하다. 일찍이 유럽과 교류한 영향으로 영국계 국제학교의 수가 많다. 제 2외국어로 프랑스어, 스페인어 등의 유럽 언어 혹은 중국어, 일본어를 같이 배우도록 구성한 점도 큰 장점으로 부각된다. 90년대 이후로 그 수가 폭증하였으며, 국가적으로도 국제학교 유치를 적극 지원한다.

일반 학교에서는 대한민국과 같은 6-3-3-4 제도로 운영하고 있다. 정확하게 따지자면 6-6(3+3)-4이다. 한국의 중학교, 고등학교와 같은 등급인 롱리얀 마타욤쓱사를 머똔(저학년. 중학생)과 머쁠라이(고학년. 고등학생)로 나누어 1학년부터 6학년까지 두기 때문. 그리고 정규교육과정에는 불교가 포함된다. 그런데 태국에서 불교라고 하면 한국의 마하야나 불교(대승불교)가 아니라 테라와다 불교(상좌부 불교)를 뜻한다. 교육과정의 불교 과목은 유럽에서 종교 과목이 있는 것과 유사하다. 미국의 교실에서 크롬북을 사용하는 것 처럼, '1학생 1태블릿' 정책을 추진 중이다. 외국어 과목 중에 팔리어도 있는데 이는 상좌부 불교 문화의 영향으로 보인다.

대한민국도 1970년대 이전에는 대학생 교복이 있었듯이 태국의 대학교는 교복이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대학 및 국제학교 등의 학비는 상대적으로 매우 저렴한 편이다.

문화적 특성상 교육에 집착하지 않으며, 대학 입시 등에 특별히 열을 올리지 않는 편이다. 그러나 명문대에 대해서는 왕실과의 연계 등으로 자부심이 큰 편이다. 최초의 대학은 쭐라롱꼰 대학으로 1871년 왕실 전용 교육 기관에서 시작하여, 1917년 첫 대학으로 승격되어 오늘날에도 태국을 대표하는 대학으로 유명하다.

특이하게, 중고교 교육과정 중 군사 교육을 추가로 이수하면 군 징집 대상에서 제외된다. 따라서 징병제(+제비뽑기)라곤 하지만, 대다수는 학교에서 수업으로 이수하기 때문에 모병제에 가깝다.

태국에서 여름방학은 3월부터 5월까지 하는데, 이는 태국에서 가장 더운 시기가 3, 4월이기 때문이다.


14. 창작물에서[편집]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 시드 마이어의 문명 시리즈에서는 문명 5에서 시암 문명으로 등장한다.

SF 소설 《와인드업 걸》은 배경을 근미래 태국으로 삼았다. 식민지를 면한 역사적 특성을 살려 유전자 조작을 통한 대규모 농업기업의 식량주권 위협에 대항하는 국가로 나오...는데 어째 알맹이는 영 안 좋은 상태다.

대항해시대 온라인에서는 '아유타야 용병함대' 등 NPC이름과 여러 모험 퀘스트에서 태국에 대한 내용을 찾아볼 수 있다.

만화 《블랙 라군》의 배경인 로아나프라는 설정상 태국에 있다는 가상의 항구도시다. 실제로 태국에 이런 도시는 없다. 다만 항구도시와 해변 앞바다의 거대한 바위절벽이 우뚝 솟아있는 모습을 보면 태국 남부 휴양지중 하나인 끄라비에서 모티브를 따온 것으로 보인다.

캡콤게임 스트리트 파이터 2의 최종 스테이지 무대이기도 하다.

니혼 팔콤궤적 시리즈에 나오는 리벨 왕국의 지형은 태국을 본따서 만들었다.

만화 《백 스트리트 걸스》에서는 피아퐁이라는 성전환수술의 달인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당장 조폭 걸즈 3인방부터 태국가서 수술을 받았으며, 이후에도 몇몇 인원들이 태국 가서 수술을 받는데, 대부분 결과가 예쁘게 나온다.

히트맨(2016) 4번째 에피소드의 배경지역이다. 짜오프라야 강에 위치한 히마판 호텔이 암살 무대로 등장한다.

소닉 언리쉬드아다바트 스테이지는 태국을 모티브로 한 가상의 국가다. 국기 부터가 태국의 국기를 닮았다.


14.1. 태국 국적, 출신의 캐릭터[편집]


태국인 (여자)아이들 민니 ,블랙핑크 리사 등이 있다.

15. 주요 도시[편집]






  • 이산 지방
    • 우돈타니
    • 콘깬



16. 관광[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태국/관광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7. 관련 문서[편집]


[1] Ratcha-anachak Thai /raːt̚˥˩.t͡ɕʰa˦˥.ʔaː˧.naː˧.t͡ɕak̚˨˩.tʰaj˧/[2] #[3] 독일계 미국인 가계로 초명은 '페터 파이트(Peter Veit)'이다.[4] 아르헨티나도 종교의 자유는 있지만 대통령이 무조건 카톨릭 신자만 될 수 있는 것과 같다.[5] 서로 흩어져 탁발하며 생활하던 아라한 1250명에게 아무런 연통을 보내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한 날 한 시에 석가모니 앞으로 모였는데, 그때가 인도의 달력으로 마가월(Māgha月) 보름이었다고 한다. 여기서 '마가'가 '마카'가 되었다. 또한 석가모니가 세월이 지난 뒤 제자들 앞에서 자신이 석 달 뒤에 열반하리라 선언한 날도 마침 마가월의 보름이었다고 한다. 태국 화교들은 이날을 만불절(萬佛節)이라 표현한다.[6] 한국 불교에서는 승려들이 이날 하안거에 들어간다.[7] 석가모니가 처음 깨달음을 얻은 뒤, 녹야원에서 과거에 자기와 함께 수행했던 동료 5명에게 처음으로 설법함을 두고 초전법륜(初轉法輪)이라고 부른다. 태국의 화교들은 이날을 삼보절(三寶節)이라 표현한다.[8] 과거에는 이날을 유두절이나 유두날이라고 부르며 절기로 쳤다.[9] 한국과 대만 역시 2020년부터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를 넘어서는 인구 데드크로스 현상이 있으며 총인구 역시 대만은 2020년, 한국은 2021년부터 감소 중이다. 중국도 2022년 인구가 정점을 찍고 감소 할 전망이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01-21 17:08:20에 나무위키 태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분류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