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리핀

최근 편집일시 : 2023-03-11 03:12:50


필리핀의 역사
Kasaysayan ng Pilipinas


[ 펼치기 · 접기 ]
선사~중세
식민지배 이전
식민지 시대
스페인 제국
필리핀의 선사시대
루손 섬(톤도)
비사야 군도(부투안)
민다나오 섬 나라들

누에바 에스파냐
필리핀 도독령
필리핀 도독령
스페인령 동인도
식민지 시대
현대
미국
일본 제국
미국
미군정청
제1공화국
도민정청
자치령
행정부
제2공화국
자치령
제3공화국
제4공화국
제5공화국




파일:동남아시아 아이콘.svg 동남아시아의 국가

[ 펼치기 · 접기 ]
파일:미얀마 국기.svg
파일:라오스 국기.svg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파일:베트남 국기.svg
미얀마
라오스
캄보디아
베트남
파일:태국 국기.svg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태국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브루나이
파일:필리핀 국기.svg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파일:동티모르 국기.svg
파일:대만 국기.svg
필리핀
인도네시아[A]
동티모르[*A ]
대만[B]
[A] 기준에 따라 일부 혹은 전체 지역이 오세아니아로 분류되기도 한다.[B] 기준에 따라 동아시아로 분류되기도 한다.





오스트로네시아족

[ 펼치기 · 접기 ]
민족
대만 원주민
부눈족 아미족 아타얄족 파이완족
말레이-폴리네시아인
말레이계
다약 따오족 마두라인 마카사르인 말라가시인 말레이인 모로인 미낭카바우 바탁 반자르인 반튼인 발리인 부기스인 비콜라노인 비사야인 사마 바자우 사삭인 순다인 숨바와인 아체인 오랑 라우트 일로카노인 자바인 찌아찌아인 참족 카다잔두순 타갈로그인 테툼인
멜라네시아인[1]
니바누아투 솔로몬 제도인 카낙인 피지인
미크로네시아인
나우루인 마셜인 차모로인 추크인 카핑인 캐롤라인인 키리바시인 팔라우인
폴리네시아인
니우에인 라파 누이인 마르키즈인 마오리족 사모아인 타히티인 토켈라우인 통가인 투발루인 하와이 원주민

지역
독립국
파일:나우루 국기.svg 나우루 파일:동티모르 국기.svg 동티모르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마다가스카르 파일:마셜 제도 국기.svg 마셜 제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파일:미크로네시아 연방 국기.svg 미크로네시아 연방 파일:바누아투 국기.svg 바누아투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브루나이 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 파일:솔로몬 제도 국기.svg 솔로몬 제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파일:키리바시 국기.svg 키리바시 파일:통가 국기.svg 통가 파일:투발루 국기.svg 투발루 파일:팔라우 국기.svg 팔라우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자치 지역 및 다수 거주지
파일:괌 기.svg 파일:태국 국기.svg 나라티왓, 빠따니, 사뚠, 송클라, 얄라 파일:누벨칼레도니 기.svg 누벨칼레도니 파일:니우에 기.svg 니우에 파일:미국령 사모아 기.svg 미국령 사모아 파일:북마리아나 제도 기.svg 북마리아나 제도 파일:왈리스 푸투나 기.svg 왈리스 푸투나 파일:이스터 섬 기.svg 이스터 섬 파일:쿡 제도 기.svg 쿡 제도 파일:토켈라우 기.svg 토켈라우 파일:프랑스령 폴리네시아 기.svg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파일:하와이 주 기.svg 하와이

언어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신화
말레이 신화 멜라네시아 신화 미크로네시아 신화 폴리네시아 신화
[1]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를 쓰는 멜라네시아인에 한함





파일:ASEAN 문장.svg
아세안(ASEAN) 회원국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width=20%>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width=20%>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width=20%>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width=20%>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width=20%>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
||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 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 ||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브루나이 ||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





[[이베로-아메리카 공동체|

파일:Cumbres-Ibero.png

이베로-아메리카 공동체
Comunidad Iberoamericana
]]













대한민국 외교부 지정 여행유의 지역

[ 펼치기 · 접기 ]
다음 지역들은 여행유의로 지정된 국가 및 지역 입니다.
해당 지역에 계신 분들은 신변 안전 위험 요인을 숙지 및 대비하시기 바랍니다.

※참고: 코로나19 상황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다.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
파일:가나 국기.svg
가나
파일:토고 국기.svg
토고
파일:베냉 국기.svg
베냉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
파일:감비아 국기.svg
감비아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적도 기니
파일:가봉 국기.svg
가봉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콩고 공화국
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모잠비크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파일:동티모르 국기.svg
동티모르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벨리즈 국기.svg
벨리즈
파일:온두라스 국기.svg
온두라스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과테말라
파일:자메이카 국기.svg
자메이카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도미니카 공화국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코스타리카
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트리니다드 토바고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라과이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

[ 국가별 세부 지역 ]
영국: 런던 한정
벨기에:전 지역
모로코: 서사하라, 중부 국경지대 제외 전지역
튀니지: 비제르트, 튀니스, 나블, 수스, 모나스티르, 마디아, 스팍스, 제르바
: 까자망스 주 제외
가나: 어퍼이스트, 어퍼웨스트 주 한정
토고: 크펜잘, 토네 제외
베냉: 북부, 동북부 국경지대 제외
카메룬: 북동부, 북서부, 노르드, 아다모아, 최북부 제외
콩고 공화국: 폴, 중앙아프리카공화국 국경지대 제외
에티오피아: 에티오피아, 하라리, 오로미아, 디레다, 남부국가민족, 암하라, 티그레 한정 및 국경지대 제외
요르단: 이라크, 시리아 국경지대 제외
이란: 아프가니스탄, 튀르키예, 이라크, 파키스탄 국경, 시스탄발루체스탄, 후체스탄, 보셰르, 호르모즈단 제외
튀르키예: 툰셀리, 엘라지, 빙골, 디야르바커, 바트만, 마르딘, 킬리스, 가지안데프, 산리우르파, 시르트, 시르낙, 바트리스, 반, 하카리 제외
투르크메니스탄: 아프가니스탄 국경지대 제외
타지키스탄: 아프가니스탄 국경지대 제외
인도: 카슈미르, 라다크, 시킴, 비하르, 자르칸트, 차티쓰가르, 오릿싸, 메갈라야, 아쌈, 트리푸라, 미조람, 라니푸르, 나가랜드, 아루나찰프라데시 제외
미얀마: 사가잉, 만달레이, 마그웨, 바고, 에야와디, 타닌타라, 까야 서부지방, 라카인 서남부, 친 동부 한정
태국: 치앙마이, 치앙라이, 촌부리, 방콕, 브라쭈압키리칸, 꼬팡안, 꼬시무이, 팡가, 푸켓, 꼬라비 한정
캄보디아: 프레아 비히어, 욷더 민체이 제외 전지역
라오스: 싸이솜분 한정
인도네시아: 아체, 서 수마트라, 파푸아, 중앙 술라웨시, 말루쿠, 서 파푸아, 발리 아궁산 반경 30km 제외
동티모르: 국경지대 제외
중국: 단둥시, 관전만족자치현, 집안시, 백산시, 임강시, 장백조선족자치현, 안도현, 화룡시, 용정시, 도문시, 훈춘시 한정
멕시코: 바하칼리포르니아, 소노라, 두랑코, 코아후일라, 누에보 레온, 푸에블라, 오아하까 한정
미국 : 푸에르토리코 한정
벨리즈: 오렌지워크, 벨모판, 카요, 털리도, 벨리즈시티 한정
온두라스: 코르테스, 아틀란디타, 요로, 프란시스코모라산, 테구시갈파 제외
과테말라: 우에우에테낭고, 키체, 토토니카판, 케트살테낭고, 레탈룰레우, 솔롤라, 치말테낭고, 수치테페케스, 사카테케페스 한정
자메이카: 세인트앤드루, 세인트캐서린, 킹스턴 제외
도미니카 공화국: 산티아고, 산토도밍고 제외
콜롬비아: 라과히아, 산타마르타, 바랑키자, 세사르, 막달레나, 까르타헤나, 수크레, 볼리바르, 코르도바, 산탄데르, 보야카, 카사나레, 비차다, 바우페스, 과이니아, 아마소나스, 쿤디나마르카, 보고타, 툴리마, 보일라, 깔리, 아르메니아, 페레이라, 메데진, 칼다스, 메타 북부, 안티오키아 남부 한정
페루: 코로넬 포르티요, 리마, 카야오 한정
파라과이: 콘셉시온, 이맘바이, 산페드로, 카닌데유 제외
키프로스: 북키프로스 지역
에콰도르: 까르치주, 수꿈비오스주, 에스메랄다스주, 끼또, 과야낄, 산타엘레나 주(몬따나따 해변 관광지)제외


여행금지국가 · 출국권고국가 · 여행자제국가 · 여행유의국가




대한민국 외교부 지정 여행자제 지역

[ 펼치기 · 접기 ]
#000,#fff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60><tablewidth=100%><tablebgcolor=#79605f><bgcolor=#333> {{{#white {{{-2 다음 지역들은 '''여행자제''' 지정된 국가 및 지역 입니다. [br] 해당 지역에 계신 분들은 '''신변 안전에 특별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br]이 지역에 여행을 예정하고 계신 분들은 '''불필요한 여행을 자제'''해 주시기 바랍니다.
'''(※참고: 코로나19 상황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다.)'''}}}}}}
{{{-2 {{{#fff 자세한 정보는 [[http://www.0404.go.kr/dev/main.mofa|외교부 해외안전포털]]을 참고}}}}}} ||
##
##동북아
##
||<-60><bgcolor=#FCC33C> '''{{{#fff 동북아시아}}}''' ||
||<-60><width=50%> [[몽골|[[파일:몽골 국기.svg|width=50]]]][br][[몽골|{{{#fff 몽골}}}]] ||
||<-60><^|1><bgcolor=#B8860B><height=32>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상세 내용 ]
국가·지역·지정일자
지도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전 지역
2022.04.13
}}} || ||<-60><bgcolor=#222> || ## ## 북미 ## ||<-60><bgcolor=#FCC33C> '''{{{#fff 북미}}}''' || ||<-60> '''{{{#fff 해당 없음}}}''' || ||<-60><bgcolor=#B8860B> || ||<-60><bgcolor=#222> || ## ## 중남미 ## ||<-60><bgcolor=#FCC33C> '''{{{#fff 중남미}}}''' || ||<-15><width=25%> [[과테말라|[[파일:과테말라 국기.svg|width=50]]]][br][[과테말라|{{{#fff 과테말라}}}]] ||<-15><width=25%> [[니카라과|[[파일:니카라과 국기.svg|width=50]]]][br][[니카라과|{{{#fff 니카라과}}}]] ||<-15><width=25%> [[도미니카 공화국|[[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width=50]]]][br][[도미니카 공화국|{{{#fff 도미니카 공화국}}}]] ||<-15><width=25%> [[멕시코|[[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50]]]][br][[멕시코|{{{#fff 멕시코}}}]] || ||<-15><width=25%> [[에콰도르|[[파일:에콰도르 국기.svg|width=50]]]][br][[에콰도르|{{{#fff 에콰도르}}}]] ||<-15><width=25%> [[온두라스|[[파일:온두라스 국기.svg|width=50]]]][br][[온두라스|{{{#fff 온두라스}}}]] ||<-15><width=25%> [[자메이카|[[파일:자메이카 국기.svg|width=50]]]][br][[자메이카|{{{#fff 자메이카}}}]] ||<-15><width=25%> [[칠레|[[파일:칠레 국기.svg|width=50]]]][br][[칠레|{{{#fff 칠레}}}]] || ||<-15><width=25%> [[콜롬비아|[[파일:콜롬비아 국기.svg|width=50]]]][br][[콜롬비아|{{{#fff 콜롬비아}}}]] ||<-15><width=25%> [[파나마|[[파일:파나마 국기.svg|width=50]]]][br][[파나마|{{{#fff 파나마}}}]] ||<-15><width=25%> [[파라과이|[[파일:파라과이 국기.svg|width=50]]]][br][[파라과이|{{{#fff 파라과이}}}]] ||<-15>|| ||<-60><^|1><bgcolor=#B8860B><height=32>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상세 내용 ]
국가·지역·지정일자
지도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과테말라


과테말라, 이사발, 산마르코스, 산타로사, 싸까빠, 에스퀸틀라, 치키물라, 페뗀, 할라빠, 후띠아빠, 알타 베라파스,바라 베라파스, 엘 프로그레소
2019.12.03[A]
파일:니카라과 국기.svg 니카라과


전 지역
2022.04.1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도미니카 공화국


산토 도밍고, 산티아고
2018.03.02[A]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파일:멕시코 여행경보_2022.08.22.jpg

미초아칸주, 타마올리파스주를 제외한 전 지역
2022년 8월 22일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


까르치주, 수꿈비오스주, 에스메랄다스주, 끼또, 과야낄, 산타엘레나 주(몬따나따 해변 관광지)
2019.12.10[A]
파일:온두라스 국기.svg 온두라스


아틀란티다, 요로, 코르테스, 프란시스코모라산 지역
2017.02.22[A]
파일:자메이카 국기.svg 자메이카

파일:자메이카 여행경보_2022.08.22.jpg

킹스턴, 세인트앤드류, 세인트캐서린을 제외한 전 지역
2022년 8월 22일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전 지역
2022.04.13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파일:콜롬비아 여행경보_2020.01.25.jpg

과비아레주, 나리뇨주(뚜마코 시 제외), 노르테데산탄데르주, 리사랄다주, 메타주, 킨디오주(제외: 아르메니아), 푸투마요주, 안티오키아주 일부, 초코주 일부, 카케타주 일부
2017.08.22[A]
파일:파나마 국기.svg 파나마


동남부 콜롬비아 국경지역 다리엔 주(엠베라워우난 특구 포함)
2020년 이전[A]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라과이


산뻬드로주, 콘셉시온주, 아맘바이주, 카닌데유주
2019.06.13[A]
}}} || ||<-60><bgcolor=#222> || ## ##서남아시아 ## ||<-60><bgcolor=#FCC33C> '''{{{#fff 서남아시아}}}''' || ||<-20><width=33%> [[방글라데시|[[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width=50]]]][br][[방글라데시|{{{#fff 방글라데시}}}]] ||<-20><width=33%> [[인도|[[파일:인도 국기.svg|width=50]]]][br][[인도|{{{#fff 인도}}}]] ||<-20><width=33%> [[파키스탄|[[파일:파키스탄 국기.svg|width=50]]]][br][[파키스탄|{{{#fff 파키스탄}}}]] || ||<-60><^|1><bgcolor=#B8860B><height=32>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상세 내용 ]
국가·지역·지정일자
지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파일:방글라데시 여행경보_2020.01.25.jpg

동남부 치타공 힐 트랙스 지역을 제외한 전 지역
2022.04.13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인도 여행경보_2020.01.25.jpg

차티스가르 주, 비하르 주, 자르칸드 주, 오릿싸 주, 시킴 주, 나가랜드 주, 마니푸르 주, 미조람 주, 아루나찰프라데쉬 주, 아쌈 주, 트리푸라 주, 메갈라야 주, 연방령 안다만 니코바르군도지역, 라다크(제외: 카르길 시)
2018.08.27[A]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파키스탄 여행경보_2022.08.22.jpg

이슬라마바드, 페이살라바드, 라왈핀디, 라호르, 훈자, 길깃, 스카루드
2022년 8월 22일
}}} || ||<-60><bgcolor=#222> || ## ##동남아 ## ||<-60><bgcolor=#FCC33C> '''{{{#fff 동남아시아}}}''' || ||<-20><width=33%> [[인도네시아|[[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width=50]]]][br][[인도네시아|{{{#fff 인도네시아}}}]] ||<-20><width=33%> [[캄보디아|[[파일:캄보디아 국기.svg|width=50]]]][br][[캄보디아|{{{#fff 캄보디아}}}]] ||<-20><width=33%> [[필리핀|[[파일:필리핀 국기.svg|width=50]]]][br][[필리핀|{{{#fff 필리핀}}}]] || ||<-60><^|1><bgcolor=#B8860B><height=32>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상세 내용 ]
국가·지역·지정일자
지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파일:인도네시아 여행경보_2022.08.22.jpg

서파루아, 파푸아, 말루쿠, 아체
2022년 8월 22일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파일:캄보디아 여행경보_2022.08.22.jpg

프레아 비히어, 욷더 민체이
2022년 8월 22일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파일:필리핀여행경보_221210.jpg

남색•적색•흑색경보 지역을 제외한 전지역 및 시아르가오 섬(島) 및 다바오·카가얀데오로시(市) 루손, 비사야, 민다나오, 일부지역 등
2022년 11월 29일
}}} || ||<-60><bgcolor=#222> || ## ## 중동 ## ||<-60><bgcolor=#FCC33C> '''{{{#fff 중동·북아프리카}}}''' || ||<-10> [[레바논|[[파일:레바논 국기.svg|width=50]]]][br][[레바논|{{{#fff 레바논}}}]] ||<-10> [[모로코|[[파일:모로코 국기.svg|width=50]]]][br][[모로코|{{{#fff 모로코}}}]] ||<-10> [[모리타니|[[파일:모리타니 국기.svg|width=50]]]][br][[모리타니|{{{#fff 모리타니}}}]] ||<-10> [[사우디아라비아|[[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width=50]]]][br][[사우디아라비아|{{{#fff 사우디아라비아}}}]] ||<-10> [[알제리|[[파일:알제리 국기.svg|width=50]]]][br][[알제리|{{{#fff 알제리}}}]] ||<-10><width=20%> [[요르단|[[파일:요르단 국기.svg|width=50]]]][br][[요르단|{{{#fff 요르단}}}]] || ||<-10> [[이란|[[파일:이란 국기.svg|width=50]]]][br][[이란|{{{#fff 이란}}}]] ||<-10> [[이스라엘|[[파일:이스라엘 국기.svg|width=50]]]][br][[이스라엘|{{{#fff 이스라엘}}}]] ||<-10> [[이집트|[[파일:이집트 국기.svg|width=50]]]][br][[이집트|{{{#fff 이집트}}}]] ||<-10> [[쿠웨이트|[[파일:쿠웨이트 국기.svg|width=50]]]][br][[쿠웨이트|{{{#fff 쿠웨이트}}}]] ||<-10> [[튀니지|[[파일:튀니지 국기.svg|width=50]]]][br][[튀니지|{{{#fff 튀니지}}}]] ||<-10>|| ||<-60><^|1><bgcolor=#B8860B><height=32>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상세 내용 ]
국가·지역·지정일자
지도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파일:레바논 여행경보_2022.08.22.jpg

리타니강 이남, 트리폴리시, 12개 팔레스타인 난민촌, 베이루트 시(베이루트, 베이루트 남부교외지역(Ghobeiry, Chiayah, Haret Hraik, Borj al Brajne, Laylake)), 시돈, 트리폴리 이북, 아르살, 헤르멜, 북부 베카 지역 : 브리텔 이북을 제외한 전 지역
2022.04.13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파일:모로코 여행경보_2022.04.13.jpg

서부 사하라 내 모래방어벽 동쪽을 제외한 전 지역
2022.04.13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

파일:모리타니아 여행경보_2020.01.25.jpg

누악쇼트, 누아디브
2022.04.13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사우디아라비아 여행경보_2020.01.25.jpg

사우디-예멘 국경 인근 180km 지역 (슈케이크(Shuqaiq), 아브하(Abha), 카미스 무샤이트(Khamis Mushait)市 포함) 를 제외한 전 지역
2022.04.13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파일:알제리 여행경보_2020.01.25.jpg

카빌리 지역 6개주 산악지역 (부메르데스, 부아라, 티지 우주, 베자이아, 보르즈부아레리즈, 지젤), 국경지역(튀니지(테베사, 엘웨드 동부, 오아글라 동부) 국경지역(튀니지(테베사, 엘웨드 동부, 오아글라 동부), 리비아(일리지 동부), 니제르ㆍ말리ㆍ모리타니(타만라셋 남부, 아드라르 남서부, 틴두프 남서부)) 를 제외한 전 지역
2022.04.13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파일:요르단 여행경보_2022.12.20.jpg

시리아 및 이라크 접경 10km 이내 지역, 카락(Karak), 타필라(Tafilah), 마안(Ma'an), 아카바(Aqabah) 지역
2022년 12월 20일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이란 여행경보_2020.01.25.jpg

튀르키예ㆍ이라크 국경지역, 시스탄발루체스탄 주, 페르시아만 연안 3개 주(후제스탄, 부셰르, 호르모즈건) 를 제외한 전 지역
2022.04.13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이스라엘 여행경보_2020.01.25.jpg

가자지구 및 가자지구 인근 5km 이내 지역, 서안지구(West Bank)을 제외한 전 지역
2022.04.13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이집트 여행경보_2022.08.22.jpg

서부사막, 시나이반도 남부 일부지역(성캐더린•타바)
2022년 8월 22일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파일:쿠웨이트 여행경보_2022.11.29.jpg

이라크 접경지역, Mutla'a, Jeleeb Al-Shuyoukh, Khaitan지역
2022년 11월 29일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파일:튀니지 여행경보_2020.01.25.jpg

알제리 접경지역 (까세린 주 샴비산 일대, 젠두바 주) 리비아 접경지역 (크사르 길랜 이남 사막지역 전역)
2019.02.27[A]
}}} || ||<-60><bgcolor=#222> || ## ##아프리카 ## ||<-60><bgcolor=#FCC33C> '''{{{#fff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 ||<-12><width=20%> [[기니|[[파일:기니 국기.svg|width=50]]]][br][[기니|{{{#fff 기니}}}]] ||<-12><width=20%> [[기니비사우|[[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width=50]]]][br][[기니비사우|{{{#fff 기니비사우}}}]] ||<-12><width=20%> [[나이지리아|[[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width=50]]]][br][[나이지리아|{{{#fff 나이지리아}}}]] ||<-12><width=20%> [[니제르|[[파일:니제르 국기.svg|width=50]]]][br][[니제르|{{{#fff 니제르}}}]] ||<-12><width=20%> [[라이베리아|[[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width=50]]]][br][[라이베리아|{{{#fff 라이베리아}}}]] || ||<-12><width=20%> [[르완다|[[파일:르완다 국기.svg|width=50]]]][br][[르완다|{{{#fff 르완다}}}]] ||<-12><width=20%> [[마다가스카르|[[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width=50]]]][br][[마다가스카르|{{{#fff 마다가스카르}}}]] ||<-12><width=20%> [[베냉|[[파일:베냉 국기.svg|width=50]]]][br][[베냉|{{{#fff 베냉}}}]] ||<-12><width=20%> [[부룬디|[[파일:부룬디 국기.svg|width=50]]]][br][[부룬디|{{{#fff 부룬디}}}]] ||<-12><width=20%> [[부르키나파소|[[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width=50]]]][br][[부르키나파소|{{{#fff 부르키나파소}}}]] || ||<-12><width=20%> [[세네갈|[[파일:세네갈 국기.svg|width=50]]]][br][[세네갈|{{{#fff 세네갈}}}]] ||<-12><width=20%> [[시에라리온|[[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width=50]]]][br][[시에라리온|{{{#fff 시에라리온}}}]] ||<-12><width=20%> [[에티오피아|[[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width=50]]]][br][[에티오피아|{{{#fff 에티오피아}}}]] ||<-12><width=20%> [[우간다|[[파일:우간다 국기.svg|width=50]]]][br][[우간다|{{{#fff 우간다}}}]] ||<-12><width=20%> [[지부티|[[파일:지부티 국기.svg|width=50]]]][br][[지부티|{{{#fff 지부티}}}]] || ||<-12><width=20%> [[케냐|[[파일:케냐 국기.svg|width=50]]]][br][[케냐|{{{#fff 케냐}}}]] ||<-12><width=20%> [[코모로|[[파일:코모로 국기.svg|width=50]]]][br][[코모로|{{{#fff 코모로}}}]] ||<-12><width=20%> [[코트디부아르|[[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width=50]]]][br][[코트디부아르|{{{#fff 코트디부아르}}}]] ||<-12><width=20%> [[콩고 공화국|[[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width=50]]]][br][[콩고 공화국|{{{#fff 콩고 공화국}}}]] ||<-12><width=20%> [[콩고민주공화국|[[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width=50]]]][br][[콩고민주공화국|{{{#fff 콩고민주공화국}}}]] || ||<-12><width=20%> [[토고|[[파일:토고 국기.svg|width=50]]]][br][[토고|{{{#fff 토고}}}]] ||<-12>||<-12>||<-12>||<-12>|| ||<-60><^|1><bgcolor=#B8860B><height=32>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상세 내용 ]
국가·지역·지정일자
지도
파일:기니 국기.svg 기니


전 지역
2022.04.13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기니비사우


전 지역
2022.04.13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파일:나이지리아 여행경보_2020.01.25.jpg

니제르델타 부근 8개 주 (에도/ 아남브라/ 델타/이모/ 아비아/ 바이엘사/ 리버스/ 아콰이봄) 및 아다마와/ 보르노/ 요베/ 바우치/ 카노/ 잠파라/ 플래토/ 나사라와/ 아부자/ 타라바/ 소코토/ 카치나/ 지가와/ 곰베 주를 제외한 전 지역
2022.04.13
파일:니제르 국기.svg 니제르


니아메(수도)
2022.04.13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 라이베리아


전 지역
2022.04.13
파일:르완다 국기.svg 르완다


콩고민주공화국 · 부룬디 접경지역(키부예, 창구구 제외)
2019.12.03[A]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마다가스카르


전 지역
2022.04.13
파일:베냉 국기.svg 베냉

파일:베냉 여행경보_2020.01.25.jpg

알리보리주 북부 및 동부, 보르구주 동부
2019.06.13[A]
파일:부룬디 국기.svg 부룬디

파일:부룬디 여행경보_2020.01.25.jpg

부줌부라市
2022.04.13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

파일:부르키나파소 여행경보_2022.04.13.jpg

와가두구, 보보디울라소
2022.04.13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


까자망스 지역
2016년 이전[A]
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 시에라리온


전 지역
2022.04.13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파일:에티오피아 여행경보_2022.04.13.jpg

아디스아바바 시(市), 디레다와 시, 하라르 주(州), SNNPR 주 및 SWEPR 주 (케냐 및 남수단 국경 10km 접경 지역 제외), 시다마 주, 오로미아 주 일부(East Welega, West Welega, Kelam Welega, Guji, Borena 지역 제외)
2022.04.13
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


전 지역
2022.04.13
파일:지부티 국기.svg 지부티

파일:지부티 여행경보_2022.08.22.jpg

에리트레아•에티오피아•소말리아 국경 10km 이내 접경지역을 제외한 전 지역
2022년 8월 22일
파일:케냐 국기.svg 케냐

파일:케냐 여행경보_2020.01.25.jpg

케냐‧소말리아 국경 100km 이내 모든 지역, 나이로비 북부 이스트레이, 가리사를 제외한 전 지역
2022.04.13
파일:코모로 국기.svg 코모로


전 지역
2022.04.13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파일:코트디부아르 여행경보_2022.04.13.jpg

라이베리아ㆍ기니와 국경을 접한 서부 지역 (Denguele주, Montagnes주, Bafing주), 초로고(Tchologo) 및 붕카니(Bounkani) 지역을 제외한 전 지역
2022년 4월 13일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콩고 공화국


풀(Pool)주, 중앙아프리카공화국 국경 지역, 브라자빌(Brazzaville) 市, 포인트 누아(Pointe Noire) 市
2018.08.27[A]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콩고민주공화국 여행경보_2020.01.25.jpg

남수단ㆍ중앙아프리카공화국과의 국경 50km 이내 지역, (바우엘레주, 오트우엘레주, 이투리주, 북키부주, 남키부주, 마니에마주, 카사이주, 카사이오리앙탈주, 카사이상트랄주) 舊 카탕가주 북부 지역(일부: 오트로마미주,루알라바주, 오트카탕가주)을 제외한 전 지역
2019.01.30[A]
파일:토고 국기.svg 토고


사반주 북부 크펜잘‧토네 지역
2019.06.13[A]
}}} || ||<-60><bgcolor=#222> || ## ##러시아·중앙아시아 ## ||<-60><bgcolor=#FCC33C> '''{{{#fff 러시아·중앙아시아}}}''' || ||<-30> [[키르기스스탄|[[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width=50]]]][br][[키르기스스탄|{{{#fff 키르기스스탄}}}]] ||<-30> [[투르크메니스탄|[[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width=50]]]][br][[투르크메니스탄|{{{#fff 투르크메니스탄}}}]] || ||<-60><^|1><bgcolor=#B8860B><height=32>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상세 내용 ]
국가·지역·지정일자
지도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전 지역
2022.04.13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레밥주, 마리주, 아할주 아프가니스탄과의 접경지역 일부
2018.08.27[A]
}}} || ||<-60><bgcolor=#222> || ## ##유럽 ## ||<-60><bgcolor=#FCC33C> '''{{{#fff 유럽}}}''' || ||<-15> [[루마니아|[[파일:루마니아 국기.svg|width=50]]]][br][[루마니아|{{{#fff 루마니아}}}]] ||<-15> [[몰도바|[[파일:몰도바 국기.svg|width=50]]]][br][[몰도바|{{{#fff 몰도바}}}]] ||<-15> [[아르메니아|[[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width=50]]]][br][[아르메니아|{{{#fff 아르메니아}}}]] ||<-15> [[조지아|[[파일:조지아 국기.svg|width=50]]]][br][[조지아|{{{#fff 조지아}}}]] || ||<-15> [[코소보|[[파일:코소보 국기.svg|width=50]]]][br][[코소보|{{{#fff 코소보}}}]] ||<-15> [[키프로스|[[파일:키프로스 국기.svg|width=50]]]][br][[키프로스|{{{#fff 키프로스}}}]] ||<-15> [[폴란드|[[파일:폴란드 국기.svg|width=50]]]][br][[폴란드|{{{#fff 폴란드}}}]] ||<-15> || ||<-60><^|1><bgcolor=#B8860B><height=32>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상세 내용 ]
국가·지역·지정일자
지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루마니아 여행경보_2022.11.29.jpg
우크라이나 접경 20KM지역
2022년 11월 29일
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전 지역
2022.04.13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파일:아르메니아 여행경보_2022.08.22.png
아제르바이잔 국경지역을 제외한 전 지역
2022년 8월 22일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파일:조지아 여행경보_2022.04.13.jpg

남오세티아, 압하지아를 제외한 전 지역
2022.04.13
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

파일:코소보 여행경보_2020.01.25.jpg

미트로비차 북부(Zubin Potok, Zveçan, Leposaviq)를 제외한 전 지역
2022.04.13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파일:키프로스 여행경보_2022.11.29.jpg

파마구스타 내 바로샤 지역을 제외한 전 지역
2022년 11월 29일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폴란드 여행경보_2022.11.29.jpg

우크라이나 접경 30KM지역
2022년 11월 29일
}}} || ||<-60><bgcolor=#222> || ## ##오세아니아 ## ||<-60><bgcolor=#FCC33C> '''{{{#fff 오세아니아}}}''' || ||<-60> [[파푸아뉴기니|[[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width=50]]]][br][[파푸아뉴기니|{{{#fff 파푸아뉴기니}}}]] || ||<-60><^|1><bgcolor=#B8860B><height=32>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상세 내용 ]
국가·지역·지정일자
지도
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 파푸아뉴기니

파일:파푸아뉴기니 여행경보_2020.01.25.jpg

서던 하일랜즈 주, 헬라 주를 제외한 전 지역
2018.08.27[A]
}}} || ||<-60><bgcolor=#222> || ||<-60><bgcolor=#fefefe,#454545> {{{-3 {{{#000,#fff [[틀:여행금지 목록|{{{#000 여행금지국가}}}]] · [[틀:출국권고 목록|{{{#C82613 출국권고국가}}}]] · [[틀:여행자제 목록|{{{#eeae00 여행자제국가}}}]] · [[틀:여행유의 목록|{{{#4444ff 여행유의국가}}}]]}}}}}} [각주] ||}}}




대한민국 외교부 지정 출국권고 지역

[ 펼치기 · 접기 ]
#000,#fff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60><tablewidth=100%><tablebgcolor=#79605f><bgcolor=#333> {{{#yellow {{{-2 다음 지역들은 '''출국 권고'''가 내려진 지역입니다. 
해당 지역에 계신 분들은 긴급한 용무가 아니면 '''출국'''할 것을 권장하며, 
이 지역에 여행을 예정하고 계신 분들은 '''여행'''을 '''취소'''하거나, '''연기'''하시길 바랍니다.
(기준일 : 2023.2.15)}}}}}}
{{{-2 {{{#fff 자세한 정보는 [[http://www.0404.go.kr/dev/main.mofa|외교부 해외안전포털]]을 참고}}}}}} ||
##
##동북아
##
||<-60><bgcolor=#aa0000> '''{{{#fff 동북아시아}}}''' ||
||<-60><width=50%>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50]]]][br][[일본|{{{#fff 일본}}}]] ||
||<-60><^|1><bgcolor=#b49d9d,#763737><height=32>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상세 내용 ]
국가·지역·지정일자
지도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일본 여행경보.jpg

후쿠시마 원전 [[후쿠시마현#s-6.3|{{{#000,#e5e5e5 반경 30km 이내일본 정부 지정 피난지시구역}}}]]
2011.03.13
}}} || ||<-60><bgcolor=#222> || ## ## 북미 ## ||<-60><bgcolor=#aa0000> '''{{{#fff 북미}}}''' || ||<-60><bgcolor=#784d4c> '''해당 없음''' || ||<-60><bgcolor=#b49d9d,#763737> || ||<-60><bgcolor=#222> || ## ## 중남미 ## ||<-60><bgcolor=#aa0000> '''{{{#fff 중남미}}}''' || ||<-20><width=20%> [[베네수엘라|[[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width=50]]]][br][[베네수엘라|{{{#fff 베네수엘라}}}]] ||<-20><width=20%> [[볼리비아|[[파일:볼리비아 국기.svg|width=50]]]][br][[볼리비아|{{{#fff 볼리비아}}}]] ||<-20><width=20%> [[아이티|[[파일:아이티 국기.svg|width=50]]]][br][[아이티|{{{#fff 아이티}}}]] || ||<-20><width=20%> [[자메이카|[[파일:자메이카 국기.svg|width=50]]]][br][[자메이카|{{{#fff 자메이카}}}]] ||<-20><width=20%> [[콜롬비아|[[파일:콜롬비아 국기.svg|width=50]]]][br][[콜롬비아|{{{#fff 콜롬비아}}}]] ||<-20><width=20%> [[페루|[[파일:페루 국기.svg|width=50]]]][br][[페루|{{{#fff 페루}}}]] || ||<-60><^|1><bgcolor=#b49d9d,#763737><height=32>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상세 내용 ]
국가·지역·지정일자
지도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전 지역
전 지역 - 2019.12.03
파일:볼리비아 국기.svg 볼리비아

파일:볼리비아 여행경보_2020.01.25.jpg

태양의 섬
2019.05.08
파일:아이티 국기.svg 아이티

·

전 지역
전 지역 확대 발령 2019.02.27
파일:자메이카 국기.svg 자메이카

파일:자메이카 여행경보_2022.08.22.jpg

킹스턴, 세인트앤드류, 세인트캐서린
2022년 08월 22일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파일:콜롬비아 여행경보_2020.01.25.jpg

베네수엘라 국경지역 20km, 뚜마코 시, 바예델카우카주(깔리 시 제외), 아라우카주, 카우카주, 안티오키아주 일부, 초코주 일부, 카케타주 일부
2017.08.22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파일:페루 여행경보_2020.01.25.jpg

아푸리막 주 : 안다우아이라스, 친체로스 지역
아야쿠초 주 : 라 마르, 우안타 지역
우앙카벨리카 주 : 츄르캄파, 타야카하 지역
쿠스코 주 : 라 콘벤시온 지역
후닌 주 : 사티포, 우안카요, 콘셉시온 지역
2017.02.22
}}} || ||<-60><bgcolor=#222> || ## ##서남아시아 ## ||<-60><bgcolor=#aa0000> '''{{{#fff 서남아시아}}}''' || ||<-20><width=33%> [[방글라데시|[[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width=50]]]][br][[방글라데시|{{{#fff 방글라데시}}}]] ||<-20><width=33%> [[인도|[[파일:인도 국기.svg|width=50]]]][br][[인도|{{{#fff 인도}}}]] ||<-20><width=33%> [[파키스탄|[[파일:파키스탄 국기.svg|width=50]]]][br][[파키스탄|{{{#fff 파키스탄}}}]] || ||<-60><^|1><bgcolor=#b49d9d,#763737><height=32>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상세 내용 ]
국가·지역·지정일자
지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파일:방글라데시 여행경보_2020.01.25.jpg

동남부 치타공 힐 트랙스 지역
2011.08.04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인도 여행경보_2020.01.25.jpg

카슈미르, 카르길 시
2017.11.15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파키스탄 여행경보_2022.08.22.jpg

여행자제 지역(이슬라마바드, 페이살라바드, 라왈핀디, 라호르, 훈자, 길깃, 스카루드)을 제외한 전지역
2022년 8월 22일
}}} || ||<-60><bgcolor=#222> || ## ##동남아 ## ||<-60><bgcolor=#aa0000> '''{{{#fff 동남아시아}}}''' || ||<-15> [[말레이시아|[[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width=50]]]][br][[말레이시아|{{{#fff 말레이시아}}}]] ||<-15> [[미얀마|[[파일:미얀마 국기.svg|width=50]]]][br][[미얀마|{{{#fff 미얀마}}}]] ||<-15> [[태국|[[파일:태국 국기.svg|width=50]]]][br][[태국|{{{#fff 태국}}}]] ||<-15> [[필리핀|[[파일:필리핀 국기.svg|width=50]]]][br][[필리핀|{{{#fff 필리핀}}}]] || ||<-60><^|1><bgcolor=#b49d9d,#763737><height=32>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상세 내용 ]
국가·지역·지정일자
지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파일:말레이시아 여행경보_2020.01.25.jpg

사바 주 동부 도서, 동부 해안 지역
도서 지역 : 2013.11.25
해안 지역 : 2015.11.23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전 지역
전 지역 - 2021.04.03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태국 여행경보_2020.01.25.jpg

나라티왓 주, 파타니 주, 얄라 주, 송클라 주 남부 말레이시아 국경지역
2009년 이전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파일:필리핀 여행경보_2020.01.25.jpg

팔라완섬 아볼란 및 나라 이남 지역, 민다나오섬(잠보앙가,다바오/카가얀데오로시 제외)
2010년 이전
}}} || ||<-60><bgcolor=#222> || ## ## 중동 ## ||<-60><bgcolor=#aa0000> '''{{{#fff 중동·북아프리카}}}''' || ||<-12> [[레바논|[[파일:레바논 국기.svg|width=50]]]][br][[레바논|{{{#fff 레바논}}}]] ||<-12> [[모로코|[[파일:모로코 국기.svg|width=50]]]][br][[모로코|{{{#fff 모로코}}}]] ||<-12> [[모리타니|[[파일:모리타니 국기.svg|width=50]]]][br][[모리타니|{{{#fff 모리타니}}}]] ||<-12> [[사우디아라비아|[[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width=50]]]][br][[사우디아라비아|{{{#fff 사우디아라비아}}}]] ||<-12> [[알제리|[[파일:알제리 국기.svg|width=50]]]][br][[알제리|{{{#fff 알제리}}}]] || ||<-12> [[이란|[[파일:이란 국기.svg|width=50]]]][br][[이란|{{{#fff 이란}}}]] ||<-12> [[이스라엘|[[파일:이스라엘 국기.svg|width=50]]]][br][[이스라엘|{{{#fff 이스라엘}}}]] ||<-12> [[이집트|[[파일:이집트 국기.svg|width=50]]]][br][[이집트|{{{#fff 이집트}}}]] ||<-12> [[튀니지|[[파일:튀니지 국기.svg|width=50]]]][br][[튀니지|{{{#fff 튀니지}}}]] ||<-12><width=10%> || ||<-60><^|1><bgcolor=#b49d9d,#763737><height=32>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상세 내용 ]

국가·지역·지정일자
지도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파일:레바논 여행경보_2020.08.11.jpg

(리타니강 이남, 트리폴리시, 12개 팔레스타인 난민촌, 베이루트 시, 베이루트 남부교외지역(Ghobeiry, Chiayah, Haret Hraik, Borj al Brajne, Laylake), 시돈, 트리폴리 이북, 북부 베카 지역 : 브리텔 이북
2020.08.11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파일:모로코 여행경보_2020.01.25.jpg

서부 사하라 내 모래방어벽 동쪽
2017.02.22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

파일:모리타니아 여행경보_2020.01.25.jpg

누악쇼트, 누아디브를 제외한 전 지역
2010.12.06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사우디아라비아 여행경보_2020.01.25.jpg

사우디-예멘 국경 인근 180km 지역 (슈케이크(Shuqaiq), 아브하(Abha), 카미스 무샤이트(Khamis Mushait)市 포함)
국경 인근 80km 지정일 : 2017.04.21
국경 인근 180km으로 확대 지정일 : 2019.07.03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파일:알제리 여행경보_2020.01.25.jpg

카빌리 지역 6개주 산악지역 (부메르데스, 부아라, 티지 우주, 베자이아, 보르즈부아레리즈, 지젤), 국경지역(튀니지(테베사, 엘웨드 동부, 오아글라 동부) 국경지역(튀니지(테베사, 엘웨드 동부, 오아글라 동부), 리비아(일리지 동부), 니제르ㆍ말리ㆍ모리타니(타만라셋 남부, 아드라르 남서부, 틴두프 남서부))
2016.07.29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이란 여행경보_2020.01.25.jpg

시스탄발루체스탄 주, 튀르키예ㆍ이라크 국경지역, 페르시아만 연안 3개 주(후제스탄, 부셰르, 호르모즈건(Hormozgan)
2019.12.03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이스라엘 여행경보_2020.01.25.jpg

가자지구 및 가자지구 인근 5km 이내 지역, 서안지구(West Bank)
2015년 이전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이집트 여행경보_2022.08.22.jpg

중•북부 시나이 반도(1단계(다합•샴엘셰이크지역, 카이로 등 나일강 유역 도시지역, 마르트루~지중해 유역),2단계(서부사막, 시나이반도 남부 일부지역(성캐더린•타바)) 지역 제외), 리비아 국경으로부터 100km까지(국경도시 Salloum을 포함)
시나이 반도(중•북부는 2022년 8월 22일에 햐향됨.) : 2012.02.13
국경지역 : 2014.06.09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파일:튀니지 여행경보_2020.01.25.jpg

알제리 접경지역 (까세린 주 샴비산 일대, 젠두바 주) 리비아 접경지역 (크사르 길랜 이남 사막지역 전역)
2015.01.27
}}} || ||<-60><bgcolor=#222> || ## ##아프리카 ## ||<-60><bgcolor=#aa0000> '''{{{#fff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 ||<-15> [[나이지리아|[[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width=50]]]][br][[나이지리아|{{{#fff 나이지리아}}}]] ||<-15> [[남수단|[[파일:남수단 국기.svg|width=50]]]][br][[남수단|{{{#fff 남수단}}}]] ||<-15> [[니제르|[[파일:니제르 국기.svg|width=50]]]][br][[니제르|{{{#fff 니제르}}}]] ||<-15> [[말리|[[파일:말리 국기.svg|width=50]]]][br][[말리|{{{#fff 말리}}}]] || ||<-15> [[모잠비크|[[파일:모잠비크 국기.svg|width=50]]]][br][[모잠비크|{{{#fff 모잠비크}}}]] ||<-15> [[베냉|[[파일:베냉 국기.svg|width=50]]]][br][[베냉|{{{#fff 베냉}}}]] ||<-15> [[부룬디|[[파일:부룬디 국기.svg|width=50]]]][br][[부룬디|{{{#fff 부룬디}}}]] ||<-15> [[부르키나파소|[[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width=50]]]][br][[부르키나파소|{{{#fff 부르키나파소}}}]] || ||<-15> [[수단 공화국|[[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width=50]]]][br][[수단 공화국|{{{#fff 수단}}}]] ||<-15> [[에리트레아|[[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width=50]]]][br][[에리트레아|{{{#fff 에리트레아}}}]] ||<-15> [[에티오피아|[[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width=50]]]][br][[에티오피아|{{{#fff 에티오피아}}}]] ||<-15> [[중앙아프리카공화국|[[파일:중앙아프리카공화국 국기.svg|width=50]]]][br][[중앙아프리카공화국|{{{#fff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15> [[지부티|[[파일:지부티 국기.svg|width=50]]]][br][[지부티|{{{#fff 지부티}}}]] ||<-15> [[차드|[[파일:차드 국기.svg|width=50]]]][br][[차드|{{{#fff 차드}}}]] ||<-15> [[카메룬|[[파일:카메룬 국기.svg|width=50]]]][br][[카메룬|{{{#fff 카메룬}}}]] ||<-15> [[케냐|[[파일:케냐 국기.svg|width=50]]]][br][[케냐|{{{#fff 케냐}}}]] || ||<-15> [[코트디부아르|[[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width=50]]]][br][[코트디부아르|{{{#fff 코트디부아르}}}]] ||<-15> [[콩고민주공화국|[[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width=50]]]][br][[콩고민주공화국|{{{#fff 콩고민주공화국}}}]] ||<-15> [[탄자니아|[[파일:탄자니아 국기.svg|width=50]]]][br][[탄자니아|{{{#fff 탄자니아}}}]] || ||<-60><^|1><bgcolor=#b49d9d,#763737><height=32>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상세 내용 ]
국가·지역·지정일자
지도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파일:나이지리아 여행경보_2020.01.25.jpg

니제르델타 부근 8개 주 (에도/ 아남브라/ 델타/이모/ 아비아/ 바이엘사/ 리버스/ 아콰이봄) 및 아다마와/ 보르노/ 요베/ 바우치/ 카노/ 잠파라/ 플래토/ 나사라와/ 아부자/ 타라바/ 소코토/ 카치나/ 지가와/ 곰베 주
2019.06.13
파일:남수단 국기.svg 남수단


전 지역
2019년 12월 3일
파일:니제르 국기.svg 니제르


니아메(수도)를 제외한 전 지역
2010.10.04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


전 지역
2012.04.06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모잠비크

파일:모잠비크 여행경보_2020.01.25.jpg

카보 델가도 주
2019.01.02
파일:베냉 국기.svg 베냉

파일:베냉 여행경보_2020.01.25.jpg

북부 부르키나파소 접경지역 (Pendjari 국립공원 및 W 국립공원)
2019.05.13
파일:부룬디 국기.svg 부룬디

파일:부룬디 여행경보_2020.01.25.jpg

부줌부라市 제외 전 지역
2019.12.03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

파일:부르키나파소 여행경보_2022.04.13.jpg

와가두구, 보보디울라소 제외 전역
2020.09.15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전 지역
2021.10.27
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 에리트레아


전 지역
2020.11.18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파일:에티오피아 여행경보_2022.04.13.jpg

티그라이 주, 아파르 주, 소말리 주, 베니샹굴-구무즈 주, 감벨라 주, 암하라 주, 오로미아 주 일부 (East Welega, West Welega, Kelam Welega, Guji, Borena), 케냐 및 남수단 국경 10km 접경 지역
2022.03.15
파일:중앙아프리카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전 지역
2012.12.21
파일:지부티 국기.svg 지부티

파일:지부티 여행경보_2022.08.22.jpg

에리트레아•에티오피아•소말리아 국경 10km 이내 접경지역
2022년 8월 22일
파일:차드 국기.svg 차드


전 지역
2013.02.20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

파일:카메룬 여행경보_2020.01.25.jpg

노르드 주(NORD), 아다모와 주(ADAMAOUA)지역, 암바조니아(북서부 주, 남서부 주), 최북부 주 (엑스트림므-노르드(EXTREME-NORD)지역)
2018.08.27
파일:케냐 국기.svg 케냐

파일:케냐 여행경보_2020.01.25.jpg

동부 해안가로부터 100km 이내 모든 지역(만데라, 와지르, 리보이, 다다앱, 말린디 포함), 나이로비 중부 이스트레이, 가리사,
2016년 6월 29일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파일:코트디부아르 여행경보_2022.04.13.jpg

소라이베리아ㆍ기니와 국경을 접한 서부 지역 (Denguele주, Montagnes주, Bafing주), 초로고(Tchologo) 및 붕카니(Bounkani) 주(州)
2021년 4월 23일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콩고민주공화국 여행경보_2020.01.25.jpg

남수단ㆍ중앙아프리카공화국과의 국경 50km 이내 지역, (바우엘레주, 오트우엘레주, 이투리주, 북키부주, 남키부주, 마니에마주, 카사이주, 카사이오리앙탈주, 카사이상트랄주) 舊 카탕가주 북부 지역(일부: 오트로마미주,루알라바주, 오트카탕가주)
2018.08.27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

파일:탄자니아 여행경보_2020.11.09.jpg

음트와라(Mtwara) 주(州)
2020년 11월 9일
}}} || ||<-60><bgcolor=#222> || ## ##러시아·중앙아시아 ## ||<-60><bgcolor=#aa0000> '''{{{#fff 러시아·중앙아시아}}}''' || ||<-30> [[러시아|[[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50]]]][br][[러시아|{{{#fff 러시아}}}]] ||<-30> [[타지키스탄|[[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width=50]]]][br][[타지키스탄|{{{#fff 타지키스탄}}}]] || ||<-60><^|1><bgcolor=#b49d9d,#763737><height=32>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상세 내용 ]
국가·지역·지정일자
지도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러시아 여행경보_2023.02.16.jpg

북캅카스 지역 : 체첸, 다게스탄, 세베로오세티야(북오세티아), 카바르디노발카르(카바르티노-발카리야 공화국), 잉귀쉬(잉구세티아), 카라차예보체르케스카야(까라차이-체르케스), 아디게이(아디게야), 로스토프, 벨고로드, 보로네시, 쿠르스크, 브랸스크 주, 오룔 주 일부(샤블르키노, 드미트롭스크, 사스코보, 크로믜, 트로스나 5개 지역)
2023년 2월 15일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파일:타지키스탄 여행경보_2020.01.25.jpg

아프가니스탄 국경 지역
2011.08.04
}}} || ||<-60><bgcolor=#222> || ## ##유럽 ## ||<-60><bgcolor=#aa0000> '''{{{#fff 유럽}}}''' || ||<-20> [[벨라루스|[[파일:벨라루스 국기.svg|width=50]]]][br][[벨라루스|{{{#fff 벨라루스}}}]] ||<-20> [[아르메니아|[[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width=50]]]][br][[아르메니아|{{{#fff 아르메니아}}}]] ||<-20> [[아제르바이잔|[[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width=50]]]][br][[아제르바이잔|{{{#fff 아제르바이잔}}}]] || ||<-15> [[조지아|[[파일:조지아 국기.svg|width=50]]]][br][[조지아|{{{#fff 조지아}}}]] ||<-15> [[코소보|[[파일:코소보 국기.svg|width=50]]]][br][[코소보|{{{#fff 코소보}}}]] ||<-15> [[키프로스|[[파일:키프로스 국기.svg|width=50]]]][br][[키프로스|{{{#fff 키프로스}}}]] ||<-15> [[튀르키예|[[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50]]]][br][[튀르키예|{{{#fff 튀르키예}}}]] || ||<-60><^|1><bgcolor=#b49d9d,#763737><height=32>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상세 내용 ]
국가·지역·지정일자
지도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벨라루스 여행경보_2022.08.22.jpg]
브레스트·고멜 지역 내 우크라이나 국경에서 30km를 제외한 전 지역
2022.03.01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ㆍ아르메니아 국경지역
2020.08.10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파일:아제르바이잔 여행경보_2022.04.13.png
나고르노-카라바흐 및 인근 7개 지역, 아제르바이잔ㆍ아르메니아 국경지역
아그담(Aghdam), 피줄리(Fizuli), 자브라일(Jabrayil), 장길란(Zanglian), 구바들리(Guabadly), 라친(Lachin), 켈바자르(Kelbajar), 아제르바이잔ㆍ아르메니아 국경지역)
2020.08.10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파일:조지아 여행경보_2020.01.25.jpg

남오세티아, 압하지아
2019.02.27
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

파일:코소보 여행경보_2020.01.25.jpg

미트로비차 북부
2011.08.04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파일:키프로스 여행경보_2022.11.29.jpg

파마구스타 내 바로샤 지역
2022년 11월 29일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터키 여행경보_2020.01.25.jpg

가지안테프, 디야르바커, 마르딘, 반, 바트만, 비트리스, 빙골, 산리우르파, 시르낙, 시르트, 엘라지, 킬리스, 툰셀리, 하카리, 시리아의 국경 10km 이내 지역(히타이)
2010년 이전
}}} || ||<-60><bgcolor=#222> || ## ##오세아니아 ## ||<-60><bgcolor=#aa0000> '''{{{#fff 오세아니아}}}''' || ||<-60> [[파푸아뉴기니|[[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width=50]]]][br][[파푸아뉴기니|{{{#fff 파푸아뉴기니}}}]] || ||<-60><^|1><bgcolor=#b49d9d,#763737><height=32>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상세 내용 ]
국가·지역·지정일자
지도
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 파푸아뉴기니

파일:파푸아뉴기니 여행경보_2020.01.25.jpg

서던 하일랜즈 주, 헬라 주
2018.08.27
}}} || ||<-60><bgcolor=#222> || ||<-60><bgcolor=#fefefe,#454545> {{{-3 {{{#000,#fff [[틀:여행금지 목록|{{{#000 여행금지국가}}}]] · [[틀:출국권고 목록|{{{#C82613 출국권고국가}}}]] · [[틀:여행자제 목록|{{{#eeae00 여행자제국가}}}]] · [[틀:여행유의 목록|{{{#4444ff 여행유의국가}}}]]}}}}}} ||}}}






[ 펼치기 · 접기 ]
여권법에 의한 여행금지 국가
영주(永住), 취재ㆍ보도, 긴급한 인도적 사유, 공무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목적의 여행으로서
외교부장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면 여권의 사용과 방문ㆍ체류를 허가할 수 있다.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1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1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1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2004.4.9 ~
2023.1.31


2006.12.29 ~
2023.1.31


2007.7.21 ~
2023.1.31


2011.6.28 ~
2023.1.31


2011.8.20 ~
2023.1.31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2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3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4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5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6

2014.8.4 ~
2023.1.31


2015.12.1 ~
2023.1.31


2022.2.13. ~
2023.1.31


2022.3.8. ~
2023.1.31


2022.3.8. ~
2023.1.31



특별여행경보 2단계 발령 유의 국가
없음

-


{{{-2 윗첨자1: 2007. 8. 7 부터 입국시 처벌 도입.윗첨자2: 2011.3.15 ~ 2011.12.14 까지 전 지역 여행금지였고, 2011. 12. 15 부터 전 지역 출국권고로 하향되었다가 2014. 8. 4에 다시 지정.
윗첨자3: 민다나오 지역(잠보앙가, 술루 군도, 바실란, 타위타위 군도) 한정.윗첨자4: 러시아가 실효지배 중인 도네츠크루간스크, 크림반도(세바스토폴, 크림 공화국)도 포함됨.
윗첨자5: 로스토프·벨고로드·보로네시·쿠르스크·브랸스크 지역 내 우크라이나 국경에서 30km 구간 한정.
윗첨자6: 브레스트·고멜 지역 내 우크라이나 국경에서 30km 구간 한정.}}}
여행금지국가 · 출국권고국가 · 여행자제국가 · 여행유의국가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펼치기 · 접기 ]



필리핀 공화국
Republika ng Pilipinas
Republic of the Philippines
파일:필리핀 국기.svg
파일:필리핀 국장.svg
국기
국장
Maka-Diyos, Maka-Tao, Makakalikasan at Makabansa
하느님, 국민, 자연, 그리고 국가를 위하여
상징
국가
Lupang Hinirang (선택된 땅)
국화
Jasminum sambac (삼파귀타)
국조
필리핀수리
역사
스페인으로부터 독립 선언 1898년 6월 12일
필리핀 제1공화국 수립 1899년 1월 21일
필리핀 군도 도민정청 수립 1901년 7월 4일
필리핀 자치령 수립 1935년 5월 14일
필리핀 제2공화국 수립 1943년 10월 14일
필리핀 자치령 재수립 1945년 8월 15일
필리핀 제3공화국 수립 1946년 7월 4일
필리핀 제4공화국 수립 1965년 12월 30일
필리핀 제5공화국 수립 1986년 2월 25일
지리

[ 펼치기 · 접기 ]
수도
마닐라
최대도시
케손시티
면적
343,448km2
내수면 비율
0.6%
접경국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인문 환경

[ 펼치기 · 접기 ]
인구
총인구
112,508,991명(2022년) | 세계 13위
민족 구성
비사야족 33.8%, 타갈로그족 27.7%, 일로카노족 9.8%, 비콜라노족 6.8%, 모로족 5.1%, 카팜팡안족 3.1%, 이고로트족 1.7%, 팡가시난족 1.4%, 중국인 1.2%, 삼보앙가족 1.1%, 기타 8.3%
인구밀도
363명/㎢(2020년)
출산율
통계청 자료 1.9명(2022년)[1] CIA 자료 2.78명(2022년)[2]
공용 언어
필리핀어(국어, 공용어), 영어(공용어)
공용 문자
로마자
종교
국교 없음(정교분리)
기독교 92%(천주교 80%, 기타 개신교 12%), 이슬람교 5.57%
군대
필리핀군

하위 행정 구역

[ 펼치기 · 접기 ]
지방
메트로 마닐라, 1행정구, 13지방, 1자치구

81개

정치

[ 펼치기 · 접기 ]
정치 체제
대통령제, 민주공화제, 양원제, 다당제, 단일국가
민주주의 지수
6.73점, 결함있는 민주주의 (2022년)
(167개국 중 52위)
국가요인
대통령
(국가원수)
(정부수반)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주니어
(Ferdinand Marcos Jr.)
부통령
사라 두테르테
(Sara Duterte)
상원의장
후안 미구엘 수비리
(Juan Miguel Zubiri)
하원의장
마르틴 로무알데스
(Martin Romualdez)
대법원장
알렉산더 게스문도
(Alexander Gesmundo)
여당


경제

[ 펼치기 · 접기 ]
경제 체제
자본주의
명목 GDP
전체 GDP
$4,119.8억(2022년 4월)
1인당 GDP
$3,687(2022년 4월)
GDP(PPP)
전체 GDP
$8,117억(2016년 추정치)
1인당 GDP
$8,223(2017년)
국부
$1조 240억 / 세계 36위(2020년)
수출입액
수출
$582억(2017년)
수입
$891억(2017년)
외환보유액
$812억(2018년 2월)
신용 등급
무디스 Baa2
S&P BBB
Fitch BBB
화폐
공식 화폐
필리핀 페소
ISO 4217
PHP

단위

[ 펼치기 · 접기 ]
법정연호
서력기원
시간대
UTC +8
도량형
SI 단위

외교

[ 펼치기 · 접기 ]
대한수교현황
대한민국: 1949년 3월 3일[공사급] / 1958년 2월 1일[대사급]
북한: 2000년 7월 12일
국제연합 가입
1945년 10월 24일
무비자 입국
한국인 → 필리핀: 30일
필리핀인 → 한국: 비자 필요

주한 대사관 / 총영사관

[ 펼치기 · 접기 ]
주한필리핀대사관
서울특별시 용산구 회나무로 80
주부산필리핀총영사관
부산광역시 금정구 중앙대로 1927

ccTLD
.ph
국가 코드
608, PHL, PH
국제 전화 코드
+63
여행경보
여행유의
수빅시, 보라카이섬, 보흘섬, 세부막탄섬(라푸라푸시)
여행자제
남색•적색•흑색경보 지역을 제외한 전지역 및 시아르가오 및 다바오·카가얀데오로
출국권고
팔라완섬 아볼란 및 나라 이남 지역, 민다나오섬(제외: 2단계(다바오/카가얀데오로/시아르가오), 4단계(잠보앙가)
여행금지
민다나오의 잠보앙가, 술루‧바실란‧타위타위 군도(2015.12.1 ~ 2023.7.31)

위치

파일:필리핀 위치.svg






언어별 명칭
한국어
필리핀 공화국 / 필리핀
영어
Republic of the Philippines / Philippines
필리핀어
Republika ng Pilipinas / Pilipinas
세부아노어
Republika sa Pilipinas / Pilipinas
스페인어
República de Filipinas / Filipinas
포르투갈어
República das Filipinas / Filipinas
마인어
Republik Filipina / Filipina
중국어
菲律宾共和国(Fēilǜbīn Gònghéguó) / 菲律宾(Fēilǜbīn)
일본어
フィリピン共和国 / フィリピン
태국어
สาธารณรัฐฟิลิปปินส์ / ฟิลิปปินส์
러시아어
Филиппины республика, республиканское государство / Филиппины
1. 개요
2. 상징
2.1. 국호
2.2. 국기
3. 행정구역
3.1. 주요 도시
5. 지리
6. 기후



1. 개요[편집]


필리핀 공화국 (Republika ng Pilipinas) 또는 필리핀 (Philippines)는 동남아시아에 위치한 섬 7천여개로 이뤄진 군도 국가이다. 북부의 루손 섬, 중부의 비사야 제도, 남부의 민다나오 섬의 크게 3개 지역으로 분류된다. 수도는 마닐라.


2. 상징[편집]



2.1. 국호[편집]


국호인 Pilipinas(필리피나스)/Philippines(필리핀)은 16세기 스페인국왕이었던 펠리페 2세로부터 나왔다.

필리핀을 처음으로 찾은 유럽인인 스페인인 루이 로페스 데 비얄로보스(Ruy López de Villalobos)는 멕시코에서 출항하여 태평양을 건너 오늘날 필리핀 루손 섬에 도달했다. 그는 당시 스페인의 왕세자였던 펠리페 2세를 기려 이 지역의 이름을 펠리피나스(Felipinas)라고 붙였고, 이것이 필리핀 일대의 섬 전체를 이르는 말로 발전했다. '이슬라스 펠리피나스(Islas Filipinas)', 혹은 정관사를 붙인 '라스 이슬라스 펠리피나스(Las Islas Filipinas)' . 그런데 타갈로그어(필리핀어)에서는 F 발음이 없다. F는 외래어 전사에만 쓰일 뿐 타갈로그어로 완전히 편입되었다고 간주되는 단어에 대해서는 P를 쓴다. 그래서 스페인어 Filipinas를 Pilipinas로 받아들이게 되었다.

펠리페라는 이름은 영어로 필립(Philip)이라고 쓰므로 영어로는 Philippines라 부르게 되었고 한국어에서도 영어 이름을 따라 '필리핀'이라 하게 되었다. 영어와 필리핀어에서 필리핀을 이를 때에는 더 필리핀(the Philippines), 앙 필리피나스(Ang Pilipinas) 라는 식으로 정관사를 붙여야 하는데, 이는 스페인어 라스 이슬라스 필리피나스(Las Islas Filipinas)를 직역했기 때문이다. 한자로는 주로 비율빈(比律賓)인데 이는 일본에서 만든 한자 표현으로, 중국어 표기 菲律濱(Fēilǜbīn)과는 다른 것. 국내 신문에서는 오랫동안 필리핀의 약칭으로 '比'를 써왔다.

다른 이름으로는 포니엔테(poniente)나 산라자로라 불리는데 페르디난드 마젤란이 붙인 이름이다.
}}}
필리핀인들이 스스로 보기에도 자주성에 문제가 있어보이는 국명인지 독립 전후로부터 나라 이름을 바꾸자는 의견이 나왔다. 현지어로 '귀족' 또는 '자유인'이라는 의미인 '마할리카(Maharlika)'로 개명하자는 주장이 1978년 제기되었으며 2017년 6월 12일에 필리핀의 알레하노 하원의원도 같은 주장을 하였으며 2019년 두테르테 대통령도 국호 개명을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개명이 이루어질 가능성은 극히 낮다. 스페인의 식민 지배를 통해 여러 섬으로 이뤄진 지역이 하나의 로마 가톨릭국가라는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었다는 사실과 마할리카는 필리핀의 많은 섬을 하나의 국가로 묶는 상징성도 없다는 것이 큰 약점이다. 마할리카는 타갈로그어이고 루손 섬의 문화였기 때문이다. 그 외에도 '타갈로그국(The Tagalog Nation)'[1]이나 호세 리잘에서 따온 '리잘리아(Rizalia)'[2] 같은 이름도 제시되었고, 심지어 말레이시아라는 국호도 논의되었지만 국호를 변경하는 법안을 먼저 통과시킨 영국령 말레이에게 뺏겼다.(...)


2.2. 국기[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필리핀/국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평시와 전시(戰時)의 국기가 다르다. 파란색 부분이 위로 향한 상태가 평시이며, 아래 사진과 같이 빨간색 부분이 위로 향한다면 전시를 의미한다. 계엄령이 선포될 경우에는 전시상태로 국기가 바뀐다.[3]
파일:필리핀 전시 국기.svg}}}
필리핀 전시 국기

2.3. 국가[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Lupang Hinirang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 행정구역[편집]




{{{#!wiki style="margin:0 -10px -5px"
[ 펼치기 · 접기 ]
메트로 마닐라
코르디예라 행정구
아브라주
아파야오주
벵게트주
이푸가오주
칼링가주
마운틴주
일로코스 지방
북일로코스주
남일로코스주
라우니온주
팡가시난주


카가얀밸리 지방
바타네스주
카가얀주
이사벨라주
누에바비스카야주
키리노주

중앙루손 지방
아우로라주
바탄주
불라칸주
누에바에시하주
팜팡가주
타를라크주
삼발레스주


칼라바르손 지방
바탕가스주
카비테주
케손주
리살주
라구나주

미마로파 지방
마린두케주
서민도로주
동민도로주
팔라완주
롬블론주

비콜 지방
알바이주
북카마리네스주
남카마리네스주
카탄두아네스주
마스베테주
소르소곤주
서비사야 지방
아클란주
안티케주
카피스주
기마라스주
일로일로주
서네그로스주
중앙비사야 지방
보홀주
세부주
시키호르주
동네그로스주


동비사야 지방
빌리란주
동사마르주
레이테주
북사마르주
사마르주
남레이테주
잠보앙가반도 지방
북잠보앙가주
남잠보앙가주
잠보앙가시부가이주
북민다나오 지방
부키드논주
카미긴주
북라나오주
서미사미스주
동미사미스주

다바오 지방
콤포스텔라벨리주
북다바오주
남다바오주
서다바오주
동다바오주

소크사르젠 지방
코타바토주
사랑가니주
남코타바토주
술탄쿠다라트주


카라가 지방
북아구산주
남아구산주
북수리가오주
남수리가오주
디나가트 제도

방사모로 민다나오 이슬람 자치구
바실란주
남라나오주
마긴다나오주
술루주
타위타위주



파일:필리핀의 행정 구역 지도.svg}}}


3.1. 주요 도시[편집]


  • 마닐라 (Manila) - 필리핀의 수도이다.
  • 케손 시티 - 필리핀의 수도권(NCR)에 속해있는 도시로 필리핀의 최대 도시이다.
  • 바기오 - 필리핀의 북부에 위치한 산악도시이다.
  • 세부 - 필리핀의 중남부에 위치한 여행도시이다. 한국에서 여행가는 사람들도 쉽게 찾을 수 있을 정도로 한국에서도 인기가 많은 곳이다.
  • 다바오 - 필리핀의 남부에 위치한 대도시이다.
  • 수빅
  • 바콜로드 - 필리핀의 중남부에 위치한 대도시이다.
  • 일로일로
  • 수빅경제특별구역 - 실제로는 Subic Bay Freeport Zone(SBFZ)와 Special Economic Zone을 아우른다. 두 구역을 관리하는 정부기관이 Subic Bay Metropolitan authority(SBMA)이다.
  • 푸에르토프린세사


4. 역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필리핀/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지리[편집]


7,107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군도 국가이며, 가장 큰 11개의 섬(루손, 민다나오, 사마르, 네그로스, 팔라완, 파나이, 민도로, 레이테, 세부, 보홀, 마스바테)이 전국 면적의 96%를 차지한다. 나머지 6,996개의 섬이 차지하는 비중은 4%. 즉 상대적으로 훨씬 큰 여러 섬들을 중심으로 아주 작은 섬들이 뿔뿔이 흩어진 셈이다. 대부분 섬들이 불의 고리라 불리는 환태평양 조산대에 포함되어 있어 지진이나 화산 활동이 빈번하다.

구글맵으로 보았을 때와 달리, 다른 적도와 가까이 있는 나라들과 같이 실제 면적은 큰 편인데, 해양영토를 제외하고 토지면적만 측정했을때도 이탈리아, 영국, 뉴질랜드 보다도 크다.

필리핀의 인구는 1억 이상으로 인도네시아와 비슷하게 인구 대국이지만 필리핀 섬의 특성상 해안 지형, 산지 때문에 인구에 비해 활용할 수 있는 경작지가 부족하다.[4] 산비탈을 깎아 만든 계단식 논이 유명하다.


6. 기후[편집]


고온 다습한 열대 사바나성 기후로 연평균 기온은 27℃이며, 1년 중 12월부터 4월까지는 건기, 5월부터 11월까지는 우기로 분류된다. 태풍 영향이 잦고, 환태평양 조산대에 속해 있어서 지진, 화산 분화 등 자연재해가 빈번히 발생한다.

필리핀의 기후구는 크게 4개로 나누는데, 열대기후 지역이다 보니 기온보다는 강수 패턴을 기준으로 기후를 분류한다. 더 자세히 보면 마닐라를 위시한 필리핀 서부(Type I)의 경우 앞서 말했듯 12월부터 4월까지의 건기와 5월부터 11월까지의 우기가 특징이다. 가령 마닐라의 경우 연강수량이 2,025mm인데, 이 중 94%의 강수량이 우기 동안에 집중된다.

그러나 필리핀 동부(Type II)의 경우 오히려 5-11월이 비가 덜 오는 편이다. 가령 수리가오(Surigao) 시의 경우 필리핀 서부에서는 건기인 12-4월 기간 동안에 연강수량의 60% 가량이 집중되어 있다. 그리고 다바오세부 등지를 위시한 중간 지역은 우기와 건기가 덜 뚜렷하게 나타나는 편으로, 필리핀 서부처럼 그래도 5월부터 11까지 우기가 나타나는 지역(Type III)이나, 우기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는 지역(Type IV)으로 다시 나누기도 한다. 한편 고도차에 따라서도 기후가 약간 다른데, 바기오처럼 고도가 높은 지역은 온대기후가 나타난다.

아래 표는 각 지역의 월별 강수량 표. 단위는 mm이며, 가장 비가 많이 오는 달 6개월은 밑줄로 표시했다.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연간
마닐라 (I)
13
7
21
18
138
283
364
476
334
200
111
56
2025
세부 (III)
106
67
54
50
107
183
206
184
196
195
157
127
1638
다바오 (IV)
114
99
77
144
206
190
175
173
180
174
145
109
1792
수리가오 (II)
582
389
283
196
123
114
137
113
122
216
378
429
3086


7. 정치[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필리핀/정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8. 군사[편집]





9. 경제[편집]





10. 문화[편집]





11. 교통[편집]





12. 외교[편집]





13. 관광[편집]





14. 교육[편집]



[1] 이 역시 루손 섬만을 대표하는 이름이라 기각되었다.[2] 다만 호세 리잘 문서를 보면 알 수 있듯 그는 필리핀 혁명의 아이콘이었지만 또한 명암이 갈리는 인물이라 기각되었다.[3] 그래서 컨트리볼에서는 화가 나면 국기가 뒤집어지는 기믹도 있다[4] 일본, 인도네시아도 비슷하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