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헌법

덤프버전 :

세계의 헌법
[ 펼치기 · 접기 ]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파일:알바니아 국기.svg파일:알제리 국기.svg파일:안도라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헌법(قانون اساسی جمهوری اسلامی افغانستان 알바니아 공화국 헌법(Kushtetuta e Shqipërisë 알제리 인민민주공화국 헌법(دستور الجزائر 안도라 공국 헌법(Constitució d'Andorra
파일:앙골라 국기.svg파일:앤티가 바부다 국기.svg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앙골라 공화국 헌법(Constituição de Angola 앤티가 바부다 헌법(Constitution of Antigua and Barbuda 아르헨티나 국가 헌법(Constitución de la Nación Argentina 아르메니아 공화국 헌법(Հայաստանի Սահմանադրություն
파일:호주 국기.svg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파일:바하마 국기.svg
오스트레일리아 연방 헌법(Constitution of Australia 오스트리아 공화국 연방 헌법(Bundesverfassung der Republik Österreich 아제르바이잔 공화국 헌법(Azərbaycan Respublikasının Konstitusiyası 바하마 연방 헌법(Constitution of The Bahamas
파일:바레인 국기.svg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파일:바베이도스 국기.svg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바레인 왕국 헌법(دستور البحرين 방글라데시 인민공화국 헌법(বাংলাদেশের সংবিধান 바베이도스 헌법(Constitution of Barbados 벨라루스 공화국 헌법(Канстытуцыя Рэспублікі Беларусь
파일:벨기에 국기.svg파일:벨리즈 국기.svg파일:베냉 국기.svg파일:부탄 국기.svg
파일:볼리비아 국기.svg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파일:보츠와나 국기.svg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브루나이 국기.svg파일:불가리아 국기.svg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파일:미얀마 국기.svg
파일:부룬디 국기.svg파일:캄보디아 국기.svg파일:카메룬 국기.svg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
파일:중앙아프리카공화국 국기.svg파일:차드 국기.svg파일:칠레 국기.svg파일:중국 국기.svg
중화인민공화국 헌법(中华人民共和国宪法
파일:콜롬비아 국기.svg파일:코모로 국기.svg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파일:쿠바 국기.svg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파일:체코 국기.svg파일:덴마크 국기.svg파일:지부티 국기.svg파일:도미니카 연방 국기.svg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파일:동티모르 국기.svg파일:베냉 국기.svg파일:부탄 국기.svg
파일:에콰도르 국기.svg파일:이집트 국기.svg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파일:피지 국기.svg파일:핀란드 국기.svg파일:프랑스 국기.svg파일:가봉 국기.svg
프랑스 공화국 헌법(Constitution française
파일:감비아 국기.svg파일:조지아 국기.svg파일:독일 국기.svg파일:가나 국기.svg
독일연방공화국 기본법(Grundgesetz für die Deutschland
파일:그리스 국기.svg파일:그레나다 국기.svg파일:과테말라 국기.svg파일:기니 국기.svg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파일:가이아나 국기.svg파일:아이티 국기.svg파일:온두라스 국기.svg
파일:헝가리 국기.svg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파일:인도 국기.svg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파일:이라크 국기.svg파일:아일랜드 국기.svg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파일:자메이카 국기.svg파일:일본 국기.svg파일:요르단 국기.svg
일본국 헌법(日本國憲法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파일:케냐 국기.svg파일:키리바시 국기.svg파일:북한 국기.svg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쿠웨이트 국기.svg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파일:라오스 국기.svg
대한민국 헌법
파일:라트비아 국기.svg파일:레바논 국기.svg파일:레소토 국기.svg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
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파일:리비아 국기.svg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파일:말라위 국기.svg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파일:몰디브 국기.svg
파일:말리 국기.svg파일:몰타 국기.svg파일:마셜 제도 국기.svg파일:모리타니 국기.svg
파일:모리셔스 국기.svg파일:멕시코 국기.svg파일:미크로네시아 연방 국기.svg파일:몰도바 국기.svg
파일:모나코 국기.svg파일:몽골 국기.svg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파일:모로코 국기.svg
파일:모잠비크 국기.svg파일:나미비아 국기.svg파일:나우루 국기.svg파일:네팔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파일:니카라과 국기.svg파일:니제르 국기.svg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파일:노르웨이 국기.svg파일:오만 국기.svg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일:팔라우 국기.svg파일:파나마 국기.svg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일:페루 국기.svg파일:필리핀 국기.svg파일:폴란드 국기.svg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파일:카타르 국기.svg파일:루마니아 국기.svg파일:러시아 국기.svg파일:르완다 국기.svg
파일:세인트키츠 네비스 국기.svg파일:세인트루시아 국기.svg파일: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국기.svg파일:사모아 국기.svg
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파일:세네갈 국기.svg파일:세르비아 국기.svg
파일:세이셸 국기.svg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파일:싱가포르 국기.svg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파일:솔로몬 제도 국기.svg파일:소말리아 국기.svg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남수단 국기.svg파일:스페인 국기.svg파일:스리랑카 국기.svg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스페인 헌법(Constitución española
파일:수리남 국기.svg파일:스위스 국기.svg파일:시리아 국기.svg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파일:탄자니아 국기.svg파일:태국 국기.svg파일:토고 국기.svg파일:통가 국기.svg
타이 왕국 헌법(รัฐธรรมนูญแห่งราชอาณาจักรไทย
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파일:튀니지 국기.svg파일:터키 국기.svg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파일:투발루 국기.svg파일:우간다 국기.svg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파일:미국 국기.svg
미합중국 헌법(Constitution of the United States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파일:우루과이 국기.svg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파일:바누아투 국기.svg
파일:바티칸 국기.svg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파일:베트남 국기.svg파일:예멘 국기.svg
파일:잠비아 국기.svg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성문헌법이 아닌 헌법
파일:캐나다 국기.svg파일:이스라엘 국기.svg파일:뉴질랜드 국기.svg파일:산마리노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파일:영국 국기.svg
미승인 국가의 헌법
파일:압하지야 국기.svg파일:아르차흐 공화국 국기.svg파일:대만 국기.svg파일:코소보 국기.svg
중화민국 헌법(中華民國憲法
파일:북키프로스 터키 공화국 국기.svg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파일: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국기.svg파일:소말릴란드 국기.svg
파일:남오세티야 국기.svg파일:트란스니스트리아 국기.svg
국가가 아닌 자치지역 또는 단체의 헌법
파일:미국령 사모아 기.svg파일:아루바 기.svg파일:영국령 버진아일랜드 기.svg파일:포클랜드 제도 기.svg
파일:지브롤터 기.svg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파일:포클랜드 제도 기.svg
홍콩특별행정구 기본법(香港特别行政区基本法
파일:니우에 기.svg파일:북마리아나 제도 기.svg파일:푸에르토리코 기.svg파일:포클랜드 제도 기.svg
파일:UN기.svg파일:신의주특별행정구 상징.svg파일:유럽 연합 깃발.svg파일:동아프리카 공동체 깃발.png
국제연합 헌장(Charte des Nations Unies
파일:터크스 케이커스 제도 기.svg파일:터크스 케이커스 제도 기.svg
헌법으로서의 효력을 상실한 헌법
파일:하와이 주 기.svg파일:하와이 주 기.svg파일:체코 국기.svg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하와이 왕국 헌법(Constitution of the Hawaiian Kingdom 하와이 공화국 헌법(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Hawaii 체코슬로바키아 연방 헌법(Ústavní zákon o československé federaci 대일본제국 헌법(大日本帝國憲法
파일:동독 국기.svg파일: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1954–1991).svg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5px-Flag_of_Texas.svg.png파일:소련 국기.svg
독일 민주 공화국 헌법(Verfassung der DDR 소비에트 러시아 헌법(Конституция РСФСР 텍사스 공화국 헌법(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Texas 소비에트 연방 헌법(Конституция СССР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파일:터키 국기.svg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파일:대한제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연방 헌법(Устав Савезне Републике Југославије 오스만 제국 헌법(Kânûn-ı Esâsî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헌법(Уставна повеља Србије и Црне Горе 대한국 국제
파일:독일 국기.svg파일:베트남 공화국 국기.svg파일:민주 캄푸치아 국기.svg파일:external/foreignpolicyblogs.com/Islamic-Caliphate-Flag.jpg
독일국 헌법(Verfassung des Deutschen Reichs 베트남 공화국 헌법(Hiến pháp Việt Nam Cộng hòa
파일:에스텔라다.svg파일:옴진리교 로고.gif파일:쿠바 국기(1902~1906,1909~1959).png파일:대리비아 아랍 사회주의 인민 자마히리야국 국기.svg
파일:아메리카 연합국 국기(1865).svg파일:청나라 국기.svg
미연합국 헌법(Constitution of the Confederate States 흠정 헌법 대강(欽定憲法大綱


[ 펼치기 · 접기 ]
상징국가 · 국기 · 국장 · 캥거루 · 에뮤
역사역사 전반 · 호주 자치령 · 백호주의
정치정치 전반 · 호주 헌법 · 호주 국왕 · 호주 총독 · 호주 의회 · 호주 총리 · 호주 연합(호주 자유당 · 호주 국민당 · 자유국민당 · 지역자유당) · 호주 노동당 · 호주 녹색당
외교외교 전반 · 호주 여권 · CANZUK · APEC · 파이브 아이즈 · IPEF · 태평양 공동체 · 영연방 · 영미권 · Quad · AUKUS · G20 · APEC · 영국-호주 관계 · 호주-뉴질랜드 관계 · 캐나다-호주 관계 · 남아프리카 공화국-호주 관계 · 미국-호주 관계 · 호주-싱가포르 관계 · 독일-호주 관계 · 프랑스-호주 관계 · 이탈리아-호주 관계 · 한호관계 · 일본-호주 관계 · 대만-호주 관계 · 호주-중국 무역 분쟁
경제경제 전반 · 호주 달러 · 교통
사회교육(대학 틀 · 기타 교육 및 유학 관련 문서) · 복지 · 마일 트레인
국방 호주군 · 호주 해군 · 호주 공군 · 호주 경찰 · 호주군 특수작전사령부(SASR, 제2코만도연대) · 파인 갭
사법·치안 호주 경찰 · ABF · ASIS · ASIO · 파인 갭
관광관광 · 워킹홀리데이 · 호주 비자
문화문화 전반 · 영화 · 요리 · 파블로바 · 완지나 · 호주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 AFL · NRL · 수퍼 럭비 · 오스트레일리아 그랑프리 · 호주 영어 · 호주빠 · 공휴일
지리오스트랄라시아 · 오스트레일리아 대륙 · 태즈메이니아 섬
민족호주인 ·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 호주계 미국인 · 호주/인종차별 · 호주 시민권 · 그리스계 호주인 · 네덜란드계 호주인 · 독일계 호주인 · 레바논계 호주인 · 아일랜드계 호주인 · 영국계 호주인 · 이탈리아계 호주인 · 중국계 호주인 · 크로아티아계 호주인 · 폴란드계 호주인 · 프랑스계 호주인 · 한국계 호주인 · 러시아계 호주인 · 튀르키예계 호주인 · 덴마크계 호주인 · 인도계 호주인 · 헝가리계 호주인 · 핀란드계 호주인 · 스페인계 호주인


호주 헌법
Constitution of Australia
파일:호주 국장.svg
제정1900년 7월 6일
시행1901년 1월 1일
개정1977년

1. 개요
2. 내용
2.1. 전문
3. 본칙
3.1. 제1조
3.2. 제2조
3.3. 제3조
3.4. 제4조
3.5. 제5조
3.6. 제6조
3.7. 제7조
3.8. 제8조



1. 개요[편집]


호주 헌법은 호주의 최고법이다. 의회 제정법(Act of Parliament)의 형태로 제정되어 있으며, 제헌 당시의 정식 제명은 호주 연방의 구성에 관한 법률(An Act to constitute the Commonwealth of Australia), 약칭은 호주 연방 헌법(Commonwealth of Australia Constitution Act 1900)이다. 이 법은 호주를 입헌군주제 하의 연방으로 구성하고, 호주 연방 정부의 삼권 분립과 각 부의 구조 및 권한을 규정하고 있다.

영국의 식민지였던 관계로 영국 의회는 호주에 적용하는 법률을 제정할 수 있는 권한을 갖고 있었다. 즉 호주 헌법은 본래 영국에서 제정된 법률이었으며, 현재에도 호주 연방 법제처에서는 본 법률을 영국의 법률(Act of Parliament of the United Kingdom)으로 분류하고 있다. 이후 웨스트민스터 헌장이 영국 의회에서 제정되고 호주 의회에서 웨스트민스터 헌장 비준에 관한 법률 1942를 가결시키면서 호주 의회는 영국의 법률에 상충하는 법률을 제정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영국 의회는 여전히 호주에 적용할 수 있는 법률을 제정할 수 있는 권한을 갖고 있었고, 이 권한은 호주법 1986이 각각 호주 의회와 영국 의회를 통과하고서야 사라졌다. 호주 대법원도 영국과 호주가 완전히 분리된 시점을 호주법 1986이 통과된 시점으로 보고 있다.

한편 호주 헌법은 1900년 제정되어 현재까지 총 8번에 걸쳐 개정되었다. 마지막 개정은 1977년 한꺼번에 3개의 개정안이 통과되었을 때 이루어졌는데, 아래 내용은 그 개정 사항까지 반영한 것을 기준으로 했다. 헌법 제정 이후 개정은 모두 일부개정의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역대 헌법 개정안은 45개가 있었으며, 이중 8개만 국민투표를 통과하여 개정되었다.

2. 내용[편집]



2.1. 전문[편집]


호주 연방의 구성에 관한 법률
WHEREAS the people of New South Wales, Victoria, South Australia, Queensland, and Tasmania, humbly relying on the blessing of Almighty God, have agreed to unite in one indissoluble Federal Commonwealth under the Crown of the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and under the Constitution hereby established:
And whereas it is expedient to provide for the admission into the Commonwealth of other Australasian Colonies and possessions of the Queen:
Be it therefore enacted by the Queen’s most Excellent Majesty, by and with the advice and consent of the Lords Spiritual and Temporal, and Commons[1], in this present Parliament assembled, and by the authority of the same, as follows:—
전문
뉴사우스웨일스, 빅토리아,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 퀸즐랜드, 태즈메이니아의 인민은, 전능하신 하나님의 축복에 겸허히 의지하여, 대브리튼 및 아일랜드연합왕국국왕과 다음과 같이 제정되는 헌법 아래, 불가분한 하나의 연방으로 연합하기로 동의하였고:
여왕 폐하의 다른 호주 식민지와 속령을 연방으로 편입하기 위한 근거를 마련함이 시급하므로:
여왕 폐하께서는, 본 의회에 집회한 성직귀족과 상원귀족, 그리고 서민들의 권고와 동의, 그리고 그 권한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법률을 제정한다:—

3. 본칙[편집]



3.1. 제1조[편집]



3.2. 제2조[편집]



3.3. 제3조[편집]



3.4. 제4조[편집]



3.5. 제5조[편집]



3.6. 제6조[편집]



3.7. 제7조[편집]



3.8. 제8조[편집]



3.9. 제9조[편집]


호주 연방의 구성에 관한 법률
9. Constitution
The Constitution of the Commonwealth shall be as follows:—
제9조 헌법
연방 헌법은 다음과 같다:
하고, 쭉 헌법의 규정이 이어진다. 즉 호주 헌법의 실질적인 내용은 제9조 한 조문 아래 다른 법률이 포함되어 있는 형태로 규정되어 있는 것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6 17:49:27에 나무위키 호주 헌법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여기서 본법이 영국의 법률임이 드러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