홋카이도 제2구

덤프버전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선거구
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
홋카이도 제2구>
北海道第2区
파일:shuinsen_Hokkaido2.svg
선거인 수461,188명 (2022)
상위 도도부현홋카이도
하위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삿포로시 키타구(뎃세이 연합자치회
구역 제외), 히가시구
국회의원
마쓰키 겐코




1. 개요[편집]


홋카이도 삿포로시 키타구 일부, 히가시구를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입헌민주당 소속 마쓰키 겐코.


2. 상세[편집]


민주당이 우세를 보이는 곳이었으나, 46회 총선을 기점으로 자민당이 우세를 보이는 곳이다. 자민당의 득표율은 매번 과반에 크게 미달하는 등 높지 않으나, 야당의 표 분열로 46회부터 48회까지 3번 연속 자민당이 손쉽게 이겼다.

직전까지 국회의원을 지낸 요시카와 다카모리는 2018년 10월부터 2019년 9월까지 농림수산대신을 역임했다. 아들인 요시카와 타카마사도 현직 홋카이도의회 의원인 정치인인데, 부친이 불명예스럽게 의원직을 사퇴하는 바람에 지역구를 이어받지 못했다.

야권에서는 후생노동대신을 지낸 민주당 미쓰이 와키오 전 의원이 46회 총선에서 낙선한 후 정계를 은퇴했고, 홋카이도 제12구 의원 출신인 마쓰키 겐코 전 의원이 47회, 48회 총선에 출마했다. 47회 총선에서는 지역구에서 패해도 석패율 덕분에 당선되었으나, 48회 총선에서는 지역구에서 밀리고 석패율로도 구제받지 못하고 낙선했다.

요시카와 다카모리가 뇌물수수 혐의로 의원직을 사퇴되었고, 2021년 4월에 보궐선거에서는 마쓰키 겐코가 당선되었다. 이후 49회 총선에서도 승리를 거두었다.


3. 역대 국회의원[편집]




4. 역대 선거 결과[편집]



4.1.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홋카이도 제2구
삿포로시 키타구, 히가시구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신진당 로고 white.svg오사나이 준이치73,697표1위

34.74%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요시카와 다카모리53,524표2위

29.94%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야마네 유키쓰구48,273표3위

22.75%낙선
파일:덕주회.png마쓰키 겐코20,009표4위

자유연합
9.43%낙선
青年사와다 겐이치6,653표5위
'''
청년자유당
'''
3.14%낙선
유효표 수212,156표투표율
선거인 수


4.2.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홋카이도 제2구
삿포로시 키타구, 히가시구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요시카와 다카모리76,276표1위

31.18%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이시다 사치코63,965표2위

26.14%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가미 도모코60,4613위

24.71%낙선
마쓰키 겐코19,775표4위

[[무소속|
무소속
]]
8.08%낙선
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아사노 다카오15,722표5위

6.43%낙선
파일:덕주회.png후지타 쓰토무8,456표6위

자유연합
3.46%낙선
유효표 수244,655표투표율
61.49%
선거인 수


4.3.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홋카이도 제2구
삿포로시 키타구, 히가시구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미쓰이 와키오107,840표1위

45.61%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요시카와 다카모리83,573표2위

35.35%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오타 이치로24,259표3위
10.26%낙선
이시다 사치코18,227표4위
7.71%낙선
히로사카 미쓰노리2,531표5위
1.07%낙선
유효표 수236,430표투표율
57.48%
선거인 수422,095인


4.4.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홋카이도 제2구
삿포로시 키타구, 히가시구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미쓰이 와키오129,357표1위
45.31%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요시카와 다카모리127,031표2위
44.49%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가나쿠라 마사토시29,131표3위
10.20%낙선
유효표 수285,519표투표율
67.97%
선거인 수428,661인


4.5.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홋카이도 제2구
삿포로시 키타구, 히가시구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미쓰이 와키오165,267표1위
54.22%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요시카와 다카모리93,870표2위
30.80%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오카 지하루27,580표3위
9.05%낙선
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혼다 유미14,311표4위
4.70%낙선
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야마모토 모토미3,782표5위
1.24%낙선
유효표 수304,810표투표율
71.03%
선거인 수436,036인


4.6.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홋카이도 제2구
삿포로시 키타구, 히가시구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요시카와 다카모리83,575표1위
[1]34.97%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미쓰이 와키오55,520표2위
[2]23.23%낙선
파일:일본유신회(2012년) 심볼.png다카하시 미호47,139표3위
19.72%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오타 히데코28,183표4위
11.79%낙선
파일:다함께당 로고.png사와다 류지24,606표5위
10.29%낙선
유효표 수239,023표투표율
55.90%
선거인 수442,115인


4.7.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홋카이도 제2구
삿포로시 키타구, 히가시구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요시카와 다카모리88,667표1위
[3]38.85%당선
파일:유신당 로고.png마쓰키 겐코56,375표2위
[include(틀:유신당)][4]24.70%비례당선
이케다 마키46,922표3위
[5]20.56%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가나쿠라 마사토시36,277표4위
15.89%낙선
유효표 수228,241표투표율
52.86%
선거인 수446,830인


4.8.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홋카이도 제2구
삿포로시 키타구 일부, 히가시구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요시카와 다카모리104,824표1위
[6]41.35%당선
파일:희망의당(2017년) 로고 하얀색.svg마쓰키 겐코74,425표2위
29.36%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가나쿠라 마사토시52,626표3위
20.76%낙선
파일:일본유신회 로고만.svg고와다 야스후미21,643표4위
8.54%낙선
유효표 수253,518표투표율
57.12%
선거인 수457,703인

야당의 표 분열로 현역 의원인 자민당 요시카와 다카모리 후보가 손쉽게 이겼다.


4.9. 2021년 일본 국회의원 보궐선거[편집]


홋카이도 제2구
삿포로시 키타구 일부, 히가시구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마쓰키 겐코59,664표1위
[7]43.74%당선
쓰루하 요시코27,355표2위
20.06%낙선
파일:일본유신회 로고만.svg야마자키 이즈미22,459표3위
[8]16.47%낙선
나가토모 다카노리15,738표4위
11.54%낙선
파일:NHK수신료를 지불하지 않는 방법을 알리는 당 로고.svg사이토 다다유키5,630표5위
4.13%낙선
고바야시 사토루5,552표6위
4.07%낙선
유효표 수136,398표투표율
30.46%
선거인 수459,958인

전임자 자유민주당 요시카와 다카모리 중의원이 개인 건강상의 사유[9]로 사퇴하면서 보궐선거가 열렸다.

귀책사유를 발생시킨 집권 여당 자민당은 어차피 차기 중의원 선거도 얼마 안 남았겠다 괜히 패배 시의 책임을 덮어쓰지 않고자 후보를 내지 않았다. 제1야당 입헌민주당에서는 예전 홋카이도 제12구에서 중의원을 지냈고 지난 총선에서는 희망의 당 공천을 받고 출마했던 마쓰키 겐코를 공천했다.

한때 호헌파 야권 후보 난립이 예상되었지만, 사회민주당국민민주당이 차례로 독자 후보 출마 없이 입민당의 마쓰키 겐코 후보 지지를 선언했고, 공산당 역시 히라오카 다이스케 전 삿포로시 의원을 단독 공천하려던 뜻을 접고 3월 28일 입민당과 후보 단일화를 선언했다.

개표 결과, 입헌민주당의 마쓰키 겐코 후보가 보수 성향 무소속 쓰루하 요시코 후보, 일본 유신회 소속 야마자키 이즈미 후보를 큰 격차로 제치고 당선. 홋카이도 2구를 2012년 총선 패배 이후 9년만에 탈환했다. 이로서 입헌민주당은 가을로 예상되는 차기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현역 프리미엄을 앉은 채로 선거전을 뛸 수 있게 되었다.


4.10.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홋카이도 제2구
삿포로시 키타구 일부, 히가시구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마쓰키 겐코105,807표1위
[10]44.71%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타카하시 유스케89,745표2위
[11]37.93%낙선
파일:일본유신회 로고만.svg야마자키 이즈미41,076표3위
[12]17.36%낙선
유효표 수236,628표투표율
52.60%
선거인 수460,828인

입헌민주당에서는 2021년 4월 보궐선거에서 당선된 마쓰키 겐코 의원이 재출마한다.

자민당에서는 2021년 7월에 선거구 지부장으로 임명된 타카하시 유스케 후보를 공천했다. 현역 홋카이도의회 의원인 자민당 요시카와 다카마사는, 아버지인 요시카와 다카모리 전 의원이 작년에 비리관련 수사를 받던 중 불명예스럽게 의원직을 사퇴했기에 이번 총선에서는 출마를 포기했다.

일본 유신회는 지난 4월 보궐선거에 출마했던 야마자키 이즈미를 다시 공천했다. 공산당은 히라오카 다이스케 후보를 공천했다가, 야권 단일화의 일환으로 2021년 9월에 후보 공천을 철회했다.

선거 결과, 입헌민주당 마쓰키 겐코 후보가 당선되었다. 자민당 요시카와 다카모리 전 의원이 비리로 사퇴한지 1년도 안되었고, 새로 자민당이 발탁한 타카하시 유스케 후보는 신인이라는 나름의 이점에도 불구하고 지역 기반을 다질 시간이 워낙 부족했고, 지역에서 이른바 '농림족'으로써 막강한 지반을 가지고 있었던 요시카와 전 의원의 불명예스러운 정계은퇴로 인한 지역 자민당의 약체화가 너무 두드러졌다.

그래서인지 자민당 타카하시 후보는 홋카이도 12개 지역구의 자민당/공명당 후보 중 가장 큰 격차(6.8%p)로 상대 후보에게 패배하면서 석패율제 구제도 받지 못하고 완전 낙선했다.

당선 확정 후 환호하는 마쓰키 겐코 진영


4.11.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입헌민주당에서는 지역구 현역인 마쓰키 겐코 의원의 7선 도전이 예상된다. 다만 정치 경력 내내 좌충우돌 행보를 보였기에 차기 총선 이전에 탈당 등 돌출 행동을 벌일 가능성도 있다. 아니나다를까 소속 정당과의 상의 없이 레이와 신센구미가 주도하는 집회에도 참여하는 등 단독 행보를 조금씩 보이고 있다.

자민당에서는 지난 총선때 낙선한 타카하시 유스케 후보가 지역구 지부장직을 유지하며 차기 총선을 유지하고 있다. 유신회 역시 지난 총선때 낙선한 야마자키 이즈미 후보가 차기 총선을 준비 중이다.

[1] 추천[2] 추천[3] 추천[4] 추천, 일부 지지[5] 홋카이도 연합 추천[6] , 추천[7] , , 홋카이도 위원회 추천[8] 추천[9] 실제로는 뇌물 수뢰 혐의가 논란이 되어 사퇴[10] 추천, 홋카이도 연합 지지[11] 추천[12]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