덤프버전 : (♥ 0)


常}}}떳떳할 상
부수
나머지 획수
, 8획
총 획수
11획
중학교
-
}}}
일본어 음독
ジョウ
일본어 훈독
つね, とこ
-
}}}
표준 중국어
cháng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7.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1. 개요[편집]


常은 '떳떳할 상'이라는 한자로, '떳떳하다', '항상', '언제나'를 뜻한다.


2. 상세[편집]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떳떳하다/항상
중국어표준어cháng
광동어seung4
객가어cung1
민동어cheung1
민남어siông[文] / siûⁿ[白]
오어zan(T1)
일본어음독ジョウ
훈독つね, とこ, きた, きだ
베트남어thường

유니코드는 U+5E38에 배당되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FBRLB(火月口中月)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수건 건)과 음을 나타내는 (오히려 상)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3.2. 고사성어/숙어[편집]




3.3. 인명[편집]




3.4. 지명[편집]




3.5. 창작물[편집]




3.6. 기타[편집]



4. 유의자[편집]


  • (떳떳할 용)
  • (떳떳할 이)
  • (떳떳할 전)
  • (항상 항)


5. 상대자[편집]


  • (부끄러울 거)
  • /媿(부끄러울 괴)
  • (부끄러울 괴/귀)
  • (부끄러울 난)
  • (익을 뉴, 부끄러울 뉵)
  • /(부끄러울 뉵)
  • (부끄러울 닉/닐)
  • 𢝀[⿰忄突](부끄러울 돌)
  • (부끄러울 라)
  • (부끄러울 린)
  • (부끄러울 마)
  • (부끄러울 수)
  • 𠲻[⿱沂口](부끄러울 의)
  • (부끄러울 작)
  • (부끄러울 잡/축)
  • /(부끄러울 전)
  • (부끄러울 참)
  • (부끄러울 축)
  • (부끄러울 치)
  • (부끄러울 혁)


6.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 (마땅 당)
  • (무리 당)
  • (아가위 당)
  • (집 당)
  • /𦈹[⿱尚缶](큰동이 당)
  • //𨡔[⿱尚酉]/𡮢[⿳尚亠日](맛볼 상)
  • (상줄 상)
  • (치마 상)
  • 𧨲[⿱尚言](큰부리까마귀가울 오)
  • (손바닥 장)
  • (두터운입술모양 차)
  • 𡭿[⿱尚之](달릴 창)
  • 𡝣[⿱尚女](아내 처)[1]
  • (버틸 탱)
  • 𣥺[⿱尚止](버틸 탱, 바를 상)
  • 𬻬[⿱尚⿻丄口]
  • 𠤠[⿱尚匕]
  • 𫵁[⿱尚上]
  • 𭓋[⿱尚子]
  • 𫵅[⿱尚𧘇]
  • 𡖹[⿱尚⿰夕夕]
  • 𫵌[⿱尚垂]
  • 𣋈[⿱尚䒤]
  • 𭟚[⿱尚⿻丄⿱⿴囗丷一心]
  • 𬓂[⿱尚示]
  • 𬔢[⿱尚立]
  • 𰢃[⿱尚玉]


7.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편집]


  • (구슬이름 상)
  • (떳떳할 상)[2]
  • (바퀴테 상)[3]
  • (항아 항/상)
  • (상)
  • 𭂝[⿰冫常]
  • 𭀕[⿰僉常]
  • 𣻸
  • 𠼔[⿰口常]
  • 𢊥[⿸广常]
  • 𰊠[⿰土常]
  • 𭋠[⿰吉常]
  • 𫷓[⿰常侖]
  • 𫺺[⿰忄常]
  • 𣙟
  • 𰖤[⿰日常]
  • 𫉒[⿱艹常]
  • 𫀠[⿰示常]
  • 𤹰[⿸疒常]
  • 𮖫[⿰衤常]
  • 𮈼[⿰糸常]
  • 𩀯[⿰常隹]
  • 𪄹[⿰常鳥]
  • 𫙲[⿰魚常]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7 16:50:31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文] 문독[白] 백독[1] (아내 처)의 동자[2] (떳떳할 상)의 고자[3] (바퀴테 상)의 동자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