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조(고려거란전쟁)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배역의 실존 인물에 대한 내용은 강조(고려) 문서
강조(고려)번 문단을
강조(고려)#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강조
康兆


캐릭터
등장회차
1회 ~
배우
이원종

1. 개요
2. 배우
3. 극중 행적
3.1. 1회
3.2. 2회
3.3. 3회
4. 인물 묘사
5. 인간 관계
6. 어록



1. 개요[편집]



[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

황제를 시해했지만 결코 고려를 배신한 반역자로 남을 수 없던 강조는 역적의 오명을 씻기 위해 직접 고려군을 이끌고 전장으로 향한다. 삼수채에서 끔찍한 기습을 맞이한 그는, 거란의 황제를 직접 대면하게 된다.




KBS 대하드라마 〈고려거란전쟁〉의 등장인물. 배우는 이원종.


2. 배우[편집]


이원종은 〈야인시대〉의 구마적으로 주목받았고, KBS 대하드라마는 2008년 작 〈대왕세종〉의 윤회 이후 2번째로 맡게 되었다. 주인공 강감찬 역을 맡은 최수종과는 2005년 작 〈해신〉이후 18년만에 재회인데, 원래 62년 생 최수종이 66년 생 이원종보다 형이지만, 해신에서는 이원종이 최수종이 맡은 장보고의 무술 스승 최무창을 맡았다. 또한 2009년 작 〈천추태후〉에서는 최재성이 맡은 강조가 이덕화가 맡은 강감찬을 존대했고 실제로 강감찬이 강조보다 윗선으로 묘사되었는데[1] 본작에서 최수종이 맡은 강감찬과 어떤 관계를 드러낼 지 관건이다.


3. 극중 행적[편집]



3.1. 1회[편집]


서북면 도순검사로서 서경에 주둔하고 있으며 흥화진사 양규의 상관으로 등장한다. 거란2차 침공 조짐이 가시화되는 상황에서 나라의 앞날을 걱정하고 부하 장수들에게는 꽤나 잘 대해주는 장수로 그려진다.[2]

3.2. 2회[편집]


개경의 소식을 전해들으면서 여전히 나라의 앞날을 걱정하는데 이현운이 "이러다가 거란과 싸우기도 전에 이 나라 조정이 먼저 무너지겠다."고 한탄하는 것을 들으며 고심하다가 기어이 김치양유행간을 처단하고 조정을 바로세우라는 편지를 쓰고 최충을 통해 목종에게 직접 전달한다. 하지만 개경의 일은 걱정하지 말라는 이도저도 아닌 모호한 답변이 돌아오자 깊게 고뇌하는 모습이 그려진다.

목종이 비록 강조의 서신을 혼자 읽긴 했지만 옆에 여전히 유행간과 유충정이 있는 상태에서 그들이 내용을 알지 못하도록 편지를 불태워버리고는 구두로 답을 준 것이었다. 비록 표면상 내용을 받아들이지 않았으나 주변인들에게도 내용을 알지 못하도록 얼버무리는 등 어떤 면에서는 직언으로 인해 신변이 위험해질 지도 모르는 강조를 보호하기 위한 의도적인 행동으로 볼 여지도 있었다. 그러나 이미 목종에 대한 믿음이 바닥난 건지 서경에서는 아무도 그러한 가능성은 예측하지 않고 착잡해 한다. 그리고...


3.3. 3회[편집]




4. 인물 묘사[편집]


같은 시대를 다룬 2009년 KBS 대하드라마 〈천추태후〉에서 최재성이 연기한 강조는 발해 유민 출신으로 천추태후가 어릴 때부터 그녀를 돌봐주었고 충과 연 사이에서 고뇌했고, 김치양이 몰락한 후에도 천추태후와 함께 거란에 맞선 스피어 마스터로 실제 역사와 거리가 먼 인물로 묘사되었다. 하지만, 본작에서는 충성과 야심 사이에서 저울질을 하는 입체적인 권신으로 다룰 것으로 보인다.


5. 인간 관계[편집]




6. 어록[편집]


명분이야, 찾으면 되지요. 성종 폐하 시절 거란이 고려를 처음으로 침범했을 때도 그랬잖소? 거란이 옛 고구려의 영토의 새 주인이 되었으니 고려도 고구려의 영토를 다 내놓으라는 것이었소. 명분이란 건 힘에서 나오는 거요. 힘이 있으면 아무 이유나 갖다 붙여도 다 명분이 되는 것이고 힘이 없으면 아무리 대의를 부르짖어도 초라한 항변에 불과한 거요.[3]



황제가 되셨으니 권력을 휘두르고 싶으시옵니까?

[1] 공교롭게도 해신과 천추태후에는 채시라가 출연했다.[2] 실제로 드라마상 묘사를 보면 열흘에 한번 고깃국을 먹이라고 지시하며, 여러 병사들을 위무하는 모습을 보여준다.[3] 아이러니 하게도 강조 본인이 그 명분을 만들어준다. 한편, 이 대사는 이원종이 영화 황산벌연개소문 역을 하면서 내벹었던 말(전쟁은 정통성 읎는 놈들이, 정통성 세울려고 하는 기야야!)이나, 바로 전작인 태종 이방원에서 작가가 이방원을 통해서 표현했던 대사("권력은 욕망이다. 명분은 그 욕망을 실현시킬 만한 힘이 생겼을 때 내세우는 껍데기일 뿐이다.")와 비슷하거나 직관적으로 풀었다는 평가가 많다. 사실, KBS 자체가 우리나라 최대 규모의 국영 방송국이라 상당히 관료주의적인 성향이 강해 복지부동하고, 정치권에 잘 휘둘린다는 단점이 있지만, 대신 근시안적 성과에 일희일비 하는 경향이 비교적 적고, 작품의 세세한 디테일은 실무자에게 최대한 자율권을 준다는 장점이 있다. 다른 방송국에 비해서 처음부터 흥행이 안 될 걸 알지만, 그래도 공영방송이니까 제작하는 작품들의 경우 그러한 경향이 더 큰 편이라고 볼 수 있다. 여담으로 이런 배우 개그는 용의 눈물에서 이숙번 역을 맡았던 배우 선동혁이 나중에 이지란 역을 맡았던 정도전에서 배우 조순창이 연기한 이숙번을 만나 어디서 들어본 이름이라고 한다거나,(선동혁과 조순창은 이후 태종 이방원에서 재회하며 선동혁은 정도전에 이어 또 한번 이지란으로 나와 말년까지 다루었고, 조순창은 주인공 이방원의 손윗형이자 정적인 이방간을 연기했다.) 무인시대에서 이의방 역을 맡은 배우 서인석숙흘종 역을 맡은 대왕의 꿈에서 비록 음성이 음악에 의해 묻혔지만, 일종의 이스터 에그처럼 '황제는 폐위되셨소이다' 대사를 치는 장면 등이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71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3.3.1;"
, 3.3.1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71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3.3.1;"
, 3.3.1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6 21:06:19에 나무위키 강조(고려거란전쟁)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