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거란전쟁/등장인물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고려거란전쟁



1. 개요
2. 주역
3. 고려
3.1. 황실
3.1.3. 원정왕후
3.1.4. 원성
3.2. 목종 대 관료
3.2.1. 김치양
3.2.2. 이주정
3.2.3. 유행간
3.2.4. 유충정
3.3. 현종 대 관료
3.3.1. 강조
3.3.2. 강민첨
3.3.3. 김종현
3.3.4. 조원
3.3.5. 김숙흥
3.3.6. 지채문
3.3.7. 대도수
3.3.8. 정성
3.3.9. 유방
3.3.10. 채충순
3.3.11. 유진
3.3.12. 김은부
3.3.13. 최항
3.3.14. 최사위
3.3.15. 장연우
3.3.17. 황보유의
3.3.18. 탁사정
3.3.19. 김훈
3.3.20. 최질
3.3.21. 이현운
3.3.22. 노전
3.3.23. 하공진
3.3.24. 원종석
3.3.25. 노의
3.3.26. 준필
3.3.27. 박진
3.4. 내관
3.4.1. 양협
3.5. 강감찬 일가
3.5.1. 강감찬 처
3.6. 양규 일가
3.6.1. 양규 처
3.6.2. 양대춘
3.7. 김치양 일가
3.7.1. 황주소군
3.8. 승려
3.8.1. 진관스님
3.8.2. 기타 승려
3.9. 그 외
4. 거란
4.1. 황실
4.2. 관료
4.2.2. 야율분노
4.2.3. 야율적로
4.2.4. 한기
4.2.5. 야율홍고
4.2.6. 그 외
5. 기타 인물



1. 개요[편집]


KBS 대하드라마고려거란전쟁〉의 등장인물에 대한 문서.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2. 주역[편집]



2.1. 현종[편집]


현종
顯宗

파일:고려거란전쟁_현종_neat_ver.jpg

배우
김동준
[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
-
운명의 저주를 짊어진 19살의 어린 황제. 거란의 침략을 격퇴하고 고려의 번영을 이룩하다!

천추태후의 아들 목종이 남색에 빠져 후사를 두지 못하는 동안, 마지막 용손인 대량원군은 후계 서열 1순위였다.

천추태후의 위협을 당하던 어느 날, 강조라는 신하가 군사들을 이끌고 반란을 일으켰다. 승려의 삶을 살고 있던 대량원군은 하루아침에 황제의 자리에 오르게 된다.

그런 어린 황제를 향해 40만의 거란군이 침략해 들어왔다. 승리를 위해선 백성들을 두고 몽진을 떠나야 한다는 신하들의 말에 현종은 개경을 두고 도망쳤고.. 지방 호족들의 위협에 시달린다.

“고려가 하나로 뭉치지 않고서는 거란을 이겨낼 수 없다.”

현종은 그렇게 고려의 황제가 해야 할 책무를 깨달아간다.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현종(고려거란전쟁)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2. 강감찬[편집]


강감찬
姜邯贊

파일:고려거란전쟁_강감찬_neat_ver.jpg

배우
최수종
[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
-
고집 센 70의 늙은 문관. 고려의 운명이 걸린 마지막 전투를 승리로 이끌다!

어린 황제에게 거란 40만 대군이 침략해온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어린 황제는 겁에 질려 어찌할 바를 몰랐다. 그런 황제를 향해 강감찬은 날이 선 목소리로 고한다.

“항복은 언제든지 할 수 있사옵니다. 지금은 어떻게든 이길 방도를 찾아내야 할 때이옵니다.”

전쟁의 참담한 잔해를 뒷수습하면서도 고집 센 신하는 황제를 늘 책망했다. 하지만 현종은 이 고집쟁이 신하를 무척이나 아꼈고, 또 다시 침략을 감행한 거란의 대군을 강감찬의 손에 맡겼다.

“내 사지가 갈갈이 찢겨 나가는 한이 있더라도.. 반드시 승리하리라...”

강감찬은 70의 노구에 갑옷을 입으며 결전을 준비한다.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강감찬(고려거란전쟁)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3. 양규[편집]


양규
楊規

파일:고려거란전쟁_양규_neat_ver.jpg

배우
지승현
[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
-
흥화진의 늑대. 3만의 고려인 포로를 구해낸 고려의 영웅!

거란군이 압록강을 건너 고려에 당도했을 때 가장 먼저 만나는 곳. 흥화진. 양규는 서북면 도순검사라는 막중한 책무를 가지고 흥화진으로 향한다. 그리고 40만의 거란군이 흥화진을 에워싸고 며칠 밤을 지새우며 전투를 벌인다.

그러나 성벽 아래로 거란군의 시체가 쌓여갈 뿐, 거란군은 이 작은 성을 함락시키지 못했다. 결국 거란의 대군은 흥화진을 포기하고 남쪽을 향해 진군했다.

늑대처럼 숨죽이고 때를 기다리던 양규는, 고려 정예병을 이끌고 다시 적진을 향해 달려간다.

“절대로 싸우지 말라는 명이 있기 전에는 결코 멈추지 않는다.”

양규는 마침내 거란의 황제를 발견하고, 그를 향해 달려든다.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양규(고려거란전쟁)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 고려[편집]



3.1. 황실[편집]



3.1.1. 목종[편집]


목종
穆宗

배우
백성현
[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
-
정사를 멀리한 채 남색에 빠져 지냈으나, 그의 어머니인 천추태후가 김치양의 아들을 태자로 삼으려 하자 크게 반대한다. 김치양 일파를 처단하기 위해 강조에게 군사를 이끌고 궁궐로 오라 명령하는데...




[ 어록 ]
그 또한, 경들이 알아서 하면 되는 일이오.



3.1.2. 천추태후[편집]


천추태후
千秋太后

배우
이민영
[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
-
남편이었던 경종이 일찍 숨을 거둔 후, 그녀에게 김치양이라는 사내가 접근한다. 이미 오랜 기간 섭정을 했던 그녀지만, 김치양과의 아들을 태자로 삼아 다시 한 번 고려를 자신의 손에 넣으려 한다.




[ 어록 ]
헌데, 누구에게 황제의 자리를 이어줄 생각이시오?




3.1.3. 원정왕후[편집]


원정왕후
元貞王后

배우
이시아
[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
-
궁궐에서 태어나 궁궐에서 자란 기품 있는 왕후. 현종이 황제가 되자 그의 아내가 되었고, 임신한 몸으로 힘겨운 몽진 길에 오른다.




[ 어록 ]
온 고려의 백성들이 폐하의 신하들이오, 폐하의 군사들이옵니다. 진정한 황제가 되실 것이옵니다.



3.1.4. 원성[편집]


원성
元成

배우
하승리
[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
-
공주절도사 김은부의 첫째 딸이며, 명랑하고 정의로운 성품을 지녔다. 현종의 몽진 길에서 현종과 처음으로 인연을 맺는다.




3.2. 목종 대 관료[편집]



3.2.1. 김치양[편집]


김치양
金致陽

배우
공정환
[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
-
천추태후와의 사랑을 이용해 권력을 손에 쥐고, 이어 고려를 손에 쥐고자 했던 남자.




3.2.2. 이주정[편집]


이주정
李周禎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배우
이창직
[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
-
소개




3.2.3. 유행간[편집]


유행간
庾行簡

배우
이풍운
[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
-
여인보다 더 아름다운 외모로 목종과 연인 관계에 있던 인물. 합문사인에 올라 온갖 권세를 다 부린다.




3.2.4. 유충정[편집]


유충정
庾行簡

배우
오재영 扮
[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
-
유행간과 함께 목종의 총애를 받던 인물.




3.3. 현종 대 관료[편집]



3.3.1. 강조[편집]


강조
康兆

배우
이원종
[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
-
황제를 시해했지만 결코 고려를 배신한 반역자로 남을 수 없던 강조는 역적의 오명을 씻기 위해 직접 고려군을 이끌고 전장으로 향한다. 삼수채에서 끔찍한 기습을 맞이한 그는, 거란의 황제를 직접 대면하게 된다.




[ 어록 ]
황제가 되셨으니 권력을 휘두르고 싶으시옵니까?



3.3.2. 강민첨[편집]


강민첨
姜民瞻

배우
이철민
[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
-
거란의 2차 침략 당시 하급 문관이었던 강민첨은 남은 군사들을 지휘하며 서경에서 항전을 이어갔다. 그의 지략을 눈여겨본 강감찬의 추천을 받아, 강감찬과 함께 전장으로 향한다.




3.3.3. 김종현[편집]


김종현
金宗鉉

배우
서재우 扮
[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
-
강감찬과 김종현은 충주절도사에서 인연이 되어 신뢰를 쌓아 갔다. 강감찬은 김종현에게 1만의 기병대를 맡기고, 이후 김종현은 기병대를 훈련시키며 최후의 일전을 기다린다.




3.3.4. 조원[편집]


조원
趙元

배우
김중돈
[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
-
통군녹사로서 서경을 지키지만 원종석의 배신으로 감옥에 갇힌다. 이후 강민첨과 함께 서경의 함락을 막아내고 크고 작은 전투에 참전한다.




3.3.5. 김숙흥[편집]


김숙흥
金叔興

배우
주연우
[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
-
거란군을 단 한 놈도 살려서 돌려보내지 않겠다는 각오로 양규와 힘을 합쳐 수많은 거란군의 목을 벤 귀주의 별장. 수많은 고려인 포로를 구출해낸 그는 끝까지 거란 황제를 향해 돌진한다.




3.3.6. 지채문[편집]


지채문
智蔡文

배우
한재영
[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
-
단신으로 여진족 수십 명을 상대했을 정도의 무예 솜씨로 ‘천하의 지채문’이라 소문이 자자한 장수. 강감찬의 부탁으로 현종의 몽진 길을 호위하며 끝까지 현종을 지켜낸다.




3.3.7. 대도수[편집]


대도수
大道秀

배우
이재구 扮
[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
-
거란에 멸망한 발해의 후예로, 누구보다도 더 목숨 걸고 거란에 돌격한 대장군. 거란의 2차 침략 당시 지채문과 함께 서경성에서 치열한 공방전을 벌인다.




3.3.8. 정성[편집]


정성
鄭成

배우
김산호
[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
-
양규와 함께 흥화진을 지켜낸 흥화진사. 거란군이 압록강을 넘어 후퇴할 때도, 양규의 부하답게 정성은 거란군을 공격하여 수많은 거란군을 수장시켰다.




3.3.9. 유방[편집]


유방
庾方

배우
정호빈
[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
-
하공진, 탁사정과 함께 목종을 지켰다. 강조의 정변에 협조하지 않고 낙향했다가 거란 2차 침입 이후 현종의 부름으로 복귀한다.




3.3.10. 채충순[편집]


채충순
蔡忠順

배우
한승현 扮
[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
-
늘 객관적인 입장에서 현종에게 충고를 해주는 고마운 신하. 몽진 길에서 다른 신하들이 모두 도망치는데도 끝까지 현종을 호종한다.




3.3.11. 유진[편집]


유진
劉瑨

배우
조희봉[1]
[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
-
고려 조정의 안정과 백성의 안위를 늘 걱정하는 원로 대신. 허나 그 또한 유력한 호족 가문의 일원으로서 뒤로는 호족 세력의 음모를 모른 체 관망한다.




일이 수월하게 될 것이옵니다.


3.3.12. 김은부[편집]


김은부
金殷傅

배우
조승연
[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
-
현종의 몽진 길은 호족 세력의 위협으로 아주 험난했으나, 유일하게 공주절도사 김은부는 현종에게 황제 대접을 하며 현종의 신의를 얻는다.




3.3.13. 최항[편집]


최항
崔沆

배우
김정학
[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
-
황실이 혼란에 빠지자 강감찬에게 예부시랑 직을 맡기며 조정에 들여오는 신하. 강감찬과 함께 고려의 앞날에 대해 깊이 고민하는 인물.




3.3.14. 최사위[편집]


최사위
崔士威

배우
박유승 扮
[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
-
항상 고려 조정에 있었으나, 거란이 침입하자 통군사로서 참전해 몸소 전장에 나갔다. 현종이 지방제도를 개혁하기 시작했을 때 누구보다도 앞장서서 그 일을 추진한다.




3.3.15. 장연우[편집]


장연우
張延祐

배우
이지훈
[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
-
황보유의의 성실함을 알아보고 항상 그를 데리고 다니는 영민한 구석이 있다. 거란 2차 침입 당시 몽진을 가는 현종을 끝까지 호종했다. 그 공으로 현종의 측근이 되어 현종의 지방제도 개혁에도 앞장선다.




3.3.16. 최충[편집]


최충
崔沖

배우
김선빈 扮
[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
-
목종 때 스무 살의 나이에 장원급제하여 관직 생활을 시작했다. 거란 2차 침입부터 전쟁의 참상을 몸소 경험하며 충직한 신하로 성장한다.




문헌공도를 세우고 이명인 해동공자로 유명한 그 최충이다.

3.3.17. 황보유의[편집]


황보유의
皇甫兪義

배우
장인섭
[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
-
소처럼 일하는 고려 조정의 실무자. 2차 거란 침입 때는 전쟁에 몸소 참전했으며, 이후 장연우와 함께 군현제 개정작업에 참여한다.




3.3.18. 탁사정[편집]


탁사정
卓思政

배우
조상기
[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
-
유방, 하공진과 함께 목종을 지켰다. 최고 지휘관으로서 군사들을 이끌었지만, 그는 사실 도망칠 기회만을 엿본다.




3.3.19. 김훈[편집]


김훈
金訓

배우
류성현 扮
[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
-
거란의 침략을 막아낸 영웅. 그러나 군사 최고 지휘관이 무장이 아니라 문관들이 되는 것에 불만을 품어간다. 그는 최질과 함께 반란을 모의하게 된다.




3.3.20. 최질[편집]


최질
崔質

배우
주석태
[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
-
거란 침략 당시 중랑장으로 참전해 통주성을 지켜냈다. 그 공으로 상장군에 올라 황궁과 개경을 지키는 막중한 임무를 맡았지만, 그는 더 많은 권력을 원하게 되는데...




3.3.21. 이현운[편집]


이현운
李鉉雲

파일:고려거란전쟁_이현운.jpg

배우
김재민 扮
[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
-
강조의 깊은 신뢰를 받은 장수. 본의 아니게 반역자가 된 강조의 심정을 헤아리며 그를 위로하기도 했지만 거란의 포로가 된 후로 강조를, 그리고 이 고려를 배신하게 된다.




3.3.22. 노전[편집]


노전
盧戩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배우
김태한[2]
[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
-
소개




3.3.23. 하공진[편집]


하공진
河拱辰

배우
이도국 扮
[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
-
동북면에서 여진족을 물리치던 하공진은 분란을 일으켰다는 이유로 유배당하지만, 거란의 침입 이후 복직하여 고려를 구하기 위해 몸소 거란의 수중으로 들어간다.




3.3.24. 원종석[편집]


원종석
元宗奭

배우
곽민석 扮
[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
-
서경 백성의 안위를 책임지는 서경의 문관이었으나, 거란의 침입에 고려의 군사들까지 항복시켜 거란 황제에게 잘 보이려는 음모를 자행한다.




3.3.25. 노의[편집]


노의
盧顗

====박진 ====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배우
강지운 扮
[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
-
소개




3.3.26. 준필[편집]


준필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배우
윤승훈 扮
[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
-
소개




3.3.27. 박진[편집]


박진

배우
이재용
[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
-
고려 조정이 일으킨 전쟁에 아들을 잃고, 황실에 증오만 남은 지방 호족. 황제를 무너뜨려서라도 자신의 왕국을 지키려 한다.



피난 중이던 현종을 위협한 절도사 조용겸과 현지 관리 일파를 섞어 만든 가상인물로 추정된다.

3.4. 내관[편집]



3.4.1. 양협[편집]


양협
良叶

배우
김오복 扮
[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
-
전전승지의 직을 수행하며 황제 곁에서 시중을 드는 내관.




3.5. 강감찬 일가[편집]



3.5.1. 강감찬 처[편집]


강감찬 처

배우
윤복인
[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
-
열다섯 살 사내아이처럼 자기 하고 싶은 말만 다 하고 다니는 강감찬에게 늘 꾸중하지만, 누구보다도 강감찬을 사랑하고 있는 강인한 성품의 여인.




3.6. 양규 일가[편집]



3.6.1. 양규 처[편집]


양규 처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배우
권아름 扮
[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
-
소개




3.6.2. 양대춘[편집]


양대춘
楊帶春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배우
한창민
[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
-
소개





3.7. 김치양 일가[편집]



3.7.1. 황주소군[편집]


황주소군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배우

[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
-
소개




3.8. 승려[편집]



3.8.1. 진관스님[편집]


진관
津寬

배우
강신일
[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
-
왕순(현종)이 대량원군이던 시절, 천추태후에 의해 신혈사에 출가당했을 때 그를 보필하던 신혈사의 주지스님.




3.8.2. 기타 승려[편집]


  • 진관의 제자[3] (배우 불명)

  • 동자승 (유지완 扮)


3.9. 그 외[편집]


  • 고려 기병 (김수호[1인3역] 扮)


  • 백성 (배용기 扮)

  • 백성 (김나인 扮)

  • 백성 (김승현 扮)

4. 거란[편집]



4.1. 황실[편집]



4.1.1. 야율융서[편집]


야율융서
耶律隆緒

배우
김혁
[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
-
거란에게 고려는, 송나라를 완전히 정복하기 위해 반드시 굴복시켜야 하는 나라였다. 어린 나이에 거란제국의 황제가 된 야율융서는 친히 40만 대군을 이끌고 고려를 침략하기 위해 압록강을 건넌다.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야율융서(고려거란전쟁)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2. 관료[편집]



4.2.1. 소배압[편집]


소배압
蕭排押

배우
김준배
[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
-
현종에게 현명하고 영민한 신하 강감찬이 있다면, 야율융서에게는 전장과 상대를 꿰뚫고 있는 소배압이 있다. 고려와 거란의 늙은 두 장군은 귀주대첩에서 다시 마주한다.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소배압(고려거란전쟁)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2.2. 야율분노[편집]


야율분노
耶律盆奴

배우
이상홍[4]
[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
-
급급한 승리에 미쳐 삼수채에서 고려 진영을 급습하지만, 끝내 고려를 항복시키지 못하게 되는 근원을 만드는 인물.




4.2.3. 야율적로[편집]


야율적로
耶律敵魯

배우
박정환 扮
[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
-
고려의 성을 쉽게 무너뜨리며 고려군을 잔인하게 말살시키는 장군.




4.2.4. 한기[편집]


한기
韓杞

배우
김구택 扮
[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
-
거란의 사신으로서 거란 황제(야율융서)의 명을 고려에 전한다.




4.2.5. 야율홍고[편집]


야율홍고
耶律弘古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배우
조하석 扮
[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
-
소개




4.2.6. 그 외[편집]


  • 거란 사신 (김수호[1인3역] 扮)


  • 거란 부족장 (김수호[1인3역] 扮)


5. 기타 인물[편집]




  • 배역 불명 (반상윤 扮)

  • 배역 불명 (이흥윤 扮)


  • 배역 불명 (양혜인 扮)[5]

  • 배역 불명 (박원석 扮)

  • 배역 불명 (김하진 扮)

[1] A B C D SBS 2015년 사극 육룡이 나르샤에서 하륜 역을 맡았다.[2] 태종 이방원에서 민무구 역을 맡았다.[3] 메이킹 영상에서 공개된 검은 승복을 입은 어린스님.[4] 육룡이 나르샤에서 여진족 추장을 연기했고, 안시성에서 이도종을 연기했다. [5] 김산호가 인스타그램 댓글로 양혜인이 본작에 출연한다고 밝혔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11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5;"
, 5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11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5;"
, 5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6 00:31:08에 나무위키 고려거란전쟁/등장인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