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고려)

덤프버전 :

파일:고려 의장기.svg
고려 문하시중

[ 펼치기 · 접기 ]
고려 초기
(918~981)

광평시중
김행도 | 박질영 | 류덕영 | 공훤 | 왕철 | 권직
문벌귀족기
(981~1170)

문하시중
최승로 | 박양유 | 한언공 | 김승조 | 최숙 | 류윤부 | 위수여 | 유진 | 최사위 | 유방 | 강감찬 | 서눌 | 황주량 | 최제안 | 최충 | 이자연 | 김원충 | 왕총지 | 김원정 | 박성걸 | 최유선 | 이정 | 문정 | 이정공 | 소태보 | 최사추 | 위계정 | 윤관 | 김경용 | 이위 | 김인존 | 이공수 | 김부식 | 김약온 | 임원후 | 왕충
무신정권
(1170~1270)

정중부 | 두경승 | 이의민 | 조영인 | 최충헌 | 이항 | 이연수 | 김취려 | 최종준 | 최항 | 김준 | 이장용
원 간섭기
(1270~1356)

김방경
(도)첨의중찬 · 도첨의시중 · 도첨의정승
김방경 | 류경 | 송송례 | 원부 | 허공 | 김방경 | 홍자번 | 조인규 | 홍군상 | 홍자번 | 홍규 | 홍자번 | 조인규 | 정가신 | 조인규 | 김혼 | 송분 | 홍자번 | 설공검 | 염승익 | 송분 | 한희유 | 한강 | 한희유 | 송분 | 홍자번 | 한희유 | 채인규 | 한희유 | 안향 | 한희유 | 한희유 | 김혼 | 정인경 | 최유엄 | 김지숙 | 최유엄 | 최유엄 | 류청신 | 홍규 | 류청신 | 권부 | 김이용 | 김이용 | 민지 | 배정 | 김태현 | 윤보 | 최유엄 | 김심 | 민지 | 김이 | 김이 | 윤석 | 정방길 | 윤석 | 김심 | 한악 | 윤석 | 강융 | 권한공 | 조적 | 한악 | 윤석 | 채하중 | 이능간 | 기철 | 채하중 | 한종유 | 왕후 | 김륜 | 김영후 | 김영후 | 인승단 | 노책 | 김영돈 | 왕후 | 노책 | 노책 | 손수경 | 손수경 | 이암 | 이제현 | 손기 | 송서 | 조일신 | 정천기 | 송서 | 조일신 | 이제현 | 조익청 | 홍빈 | 조익청 | 인승단 | 채하중 | 염제신 | 염제신 | 류탁 | 채하중 | 채하중 | 이제현 | 홍언박 | 홍언박 | 윤환
여말선초
(1356~1392)

문하시중 · 도첨의정승 · 도첨의시중
홍언박 | 윤환 | 이제현 | 염제신 | 염제신 | 이암 | 홍언박 | 류탁 | 경복흥 | 경복흥 | 류탁 | 경복흥 | 김보 | 이춘부 | 이인임 | 김일봉 | 이춘부 | 이인임 | 윤환 | 경복흥 | 염제신 | 경복흥 | 이인임 | 윤환 | 이인임 | 홍영통 | 이자송 | 조민수 | 임견미 | 최영 | 이성림 | 임견미 | 이성림 | 이인임 | 이성림 | 반익순 | 반익순 | 이성림 | 최영 | 이성계 | 최영 | 우현보 | 조민수 | 이성계 | 이색 | 이성계 | 이림 | 심덕부 | 이성계 | 정몽주 | 이성계 | 이성계 | 심덕부 | 배극렴 | 이성계
고려 국왕 · 무신정권 집권자

고구려 (좌우보 · 국상 · 대막리지) · 백제 (좌우보 · 상좌평)
신라 (대보 · 시중 · 상대등) · 발해 대내상 · 태봉 시중 · 고려 문하시중
조선 영의정 · 대한제국 내각총리대신 · 대한민국 국무총리





1. 개요
2. 생애
3. 대중매체



1. 개요[편집]


庾方
(? ~ 1038)

고려의 인물. 정사에는 가족 내력에 대한 언급이 없으나 보통 유금필의 후손으로 알려져 있다.


2. 생애[편집]


993년 제1차 여요전쟁이 일어나 요나라소손녕이 안융진을 공격하였다. 그때 유방은 낭장으로 있었는데, 중랑장 대도수와 함께 요군을 격파했다. 이 안융진 전투를 기점으로 항복론과 할지론으로 기울던 조정 중론을 강화론으로 뒤집어졌고, 서희가 소손녕과 외교 담판을 짓게 하는 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 1차 여요전쟁에서 대도수와 더불어 알짜배기 공을 세운 셈.

1009년 1월 16일에 친종장군을 지내면서 궁궐의 화재[1]가 일어나 목종이 병이 들자 여러 사람과 함께 궁궐 안에 들어와 지켰으며, 1011년 5월 5일에는 병부상서 겸 상장군에 임명되었다가 10월 1일에 참지정사 서경유수 겸 서북면행영도병마사에 임명되었다.

1016년 11월 13일에는 형부상서 참지정사에 임명되고 1019년 12월 22일에는 천승현개국남에 봉해졌으며, 1020년 4월 26일에 요나라에 왕자의 책봉을 알리는 것에 반대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1021년 3월 7일에는 내사시랑평장사, 8월 28일에는 검교태보, 1022년 6월 7일에는 문하시랑평장사에 임명되었으며, 1023년 1월 12일에는 서북면행영도통사, 1023년 12월 20일에는 태자태보, 1025년 1월 12일에는 판상서병부사에 임명되었고 1027년 1월 25일에 사직을 요청해 허락받고 특진 문하시중이 더해졌다.

1036년 6월 25일에는 16명의 관리와 함께 10일에 한 번씩 얼음을 하사하라는 상소가 올라오면서 얼음을 하사받았으며, 1038년 6월 20일에 사망했다.

의외로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지만 나름 네임드이자 직접 1차 여요전쟁을 참여한 장수 중에서 1차~3차 여요전쟁을 모두 경험한 얼마 안되는 장수라고 볼 수 있다. 물론 일부 문신들이나 기록에 언급되지 않은 사람들 중에서도 1~3차 여요전쟁을 겪은 사람은 많겠으나 1차 전쟁에서 공을 세우고도 살아있는 사람들은 꽤나 드물다는걸 생각해보면 나름 여요전쟁의 산 증인이라고도 볼수 있는 인물이다.


3. 대중매체[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1 23:19:16에 나무위키 유방(고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김치양의 난 이전에 벌어진 천추전의 화재인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