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버스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구미에서 운행하는 시내버스에 대한 내용은 구미시 시내버스 문서
구미시 시내버스번 문단을
구미시 시내버스#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구미버스
본사
경상북도 구미시 선기로 135-8 구미공영차고지 내 (舊선기동 747-33)
설립일자
1980년 1월 4일
업종
시내버스 운송업
보유대수
107대

1. 개요
2. 역사
3. 특징
4. 면허 체계
5. 운행 노선
6. 현재 보유 차량
7. 과거 보유 차량



1. 개요[편집]


구미시 지역의 시내버스 운행 업체로, 일선교통과 구미시 시내버스를 양분하고 있다. '구미'라는 사명은 구미시에서 유래되었다.


2. 역사[편집]


  • 1980년 1월 4일, 경북여객(현 코리아와이드 경북)에서 구미시내버스 일부를 분리 독립하여 경상북도 구미시 선기동에서 설립하였다.[1] 당시에는 경북여객에서 가지고 나온 아시아버스가 주력이었다.

  • 초반에는 아시아, 현대버스도 출고했으나[2] BF101, BF101Q, BS105, BS106 하이파워를 출고한 이후로는 2010년경까지 한동안 대우버스만을 고집하였다.[3]

  • 2008년, 구미시 첫 저상버스인 BS110CN F/L을 출고했다.[4] 또한, 구미시 공통 도색이 제정되면서 이후 출고되는 신차를 대상으로 신도색을 적용중이다. 참고로 2007년까지 일반버스는 경상북도 시내버스 공용 구도색, 좌석버스는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일반좌석버스 구도색을 사용하였다.[5]

  • 2010년, 칠곡군 소속[6]을 제외한 전 차량이 현재의 도색으로 바뀌었다.


  • 이 무렵이 마침 자일대우버스의 품질 문제가 가장 심각했던 때라, 좌석버스를 시작으로 현대버스로 전향하기 시작하여, 2012년 무렵에는 입석노선에도 본격적으로 현대차를 투입하였다. 또한 공단순환버스차량을 출고할 때도 자일대우버스 레스타를 거르고 현대 카운티를 출고하였다.

  • 2014년 3월, 일선교통과 동시에 세계 3번째로 무선충전 전기버스를 도입하였다.[7] 프리머스 OLEV모델로, 이 차량 전용 노선으로 7번을 신설하여 운행했으며, 180번으로 개편된 후에도 운행한다.

  • 2014년 8월에는 CNG 하이브리드 저상버스인 현대 블루시티경북 최초로 2대 출고했다.[8]

  • 전국에서 마지막 1대 남은 서울특별시 일반좌석버스 도색이 2016년 2월까지 2004년식 전중문형 로얄시티 차량으로 존재했으나 현재는 대차되었다. 이 차량은 구미를 찾는 버스 동호인들이 전기버스와 함께 가장 많이 관심을 갖던 차량으로 알려져 있었다.

  • 2016년 5월에는 일선교통과 동시에 전국 2번째로 무선충전 전기버스를 도입하였다.[9] 이번 차종은 자일대우버스의 NEW BS110 OLEV. 이 차량 전용 노선으로 195번을 신설하였다. 참고 현재는 말소되었으며 이로서 구미에 있는 무선충전식 전기버스는 전멸했다.

  • 2016년 6월, 5대의 대우 좌석버스 중 2대가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로 대차되어 이 회사에서 굴리고 있는 대우 BS106 좌석버스는 딱 3대 남아있었으나 2대가 2020년 2월에, 마지막 1대도 2021년 3월에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F/L 개선형 차량으로 대차되면서 대우 좌석버스는 전멸하였다.

  • 2022년 7월, 2대 남은 BS106 F/L을 말소시키면서 구미에 있던 자일대우버스는 모두 전멸하였고, 현대자동차 원메이크 업체가 되었다.

  • 2023년 3월, 유니버스가 뉴 슈퍼 에어로시티 좌석으로 대차되어 사라졌다.[10]


3. 특징[편집]


  • 구미시에서 마지막으로 4대 남은 경상북도 시내버스 입석 공용 구도색을 적용한 2007년식 로얄시티를 보유하다가 2018년에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로 대차되면서 이후로 경북 입석 공용 구도색 차량은 의성, 상주, 문경에서만 볼 수 있게 되었다.

  • 사명 폰트는 과거 대우자동차의 붓글씨 폰트를 지금까지도 적용하고 있다.

  • 전국 마지막 저상형 블루시티를 2018년 12월에 출고한 회사다. 이 차량이 출고된 이후의 블루시티는 경주 새천년미소 2019년식 일반형 밖에 없다가 단종되었다.

  • 모든 차량이 아래와 같은 문구를 붙이고 운행한다.

우리는 무정차,신호위반

난폭운전을 하지않습니다


  • 위에 문구는 거의 거짓말이고 험하게 운전하는 기사들도 많다

  • 초기부터 좌석버스에 전용도색을 적용했던 일선교통과 달리 90년대 초까지는 남색 줄 아래에 빨강색 줄이 있는 경북 공통 좌석버스 도색을 사용했다. 이후 서울 좌석버스 구도색을 도입한다.


4. 면허 체계[편집]


  • 경북 7050##호 ~ 51##[11]


5. 운행 노선[편집]


시내/좌석/리무진 노선에는 모두 일선교통과 함께 공동 배차에 참여하고 있으며, 66개의 시내/좌석/리무진버스/공단순환버스가 일선교통과 함께 2주 간격으로 순환하면서 배차에 참여중이다.


6. 현재 보유 차량[편집]



6.1. 현대자동차[편집]




7. 과거 보유 차량[편집]



7.1. 자일대우버스[편집]



7.2. 현대자동차[편집]



7.3. 한국화이바[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4 05:00:59에 나무위키 구미버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참고로 일선교통보다 5년 일찍 경북여객에서 분리되었으며, 뿌리는 같다.[2] 과거 현대 FB500, RB520, 에어로시티 520/540 무냉방 입석형 및 하부냉방 전비형 좌석형을 굴렸다.[3] 반면 일선교통의 경우, 분사 당시부터 현대차가 주력인 상태로 지금까지 온다.[4] 참고로 이 차량은 출고시에는 경북 전체를 통틀어서도 딱 1대 뿐이었던 경상북도 공용 구도색이었으나 이후에 신도색으로 재도색 되었으며, 2017년 4월에 현대 블루시티로 대차되었다. 동시기에 일선교통에서도 경북 전체를 통틀어서 딱 1때 뿐인 경상북도 공용 구도색을 적용한 뉴 슈퍼 에어로시티 초저상버스를 1대 운행하다가 2018년 8월에 울산 학성버스에 이어 전국 2번째로 블루시티 개선형 저상버스로 대차했다.[5] 더 이전에는 경북 일반버스 구도색에 붉은색 가는 줄이 추가된 경북 공통 좌석버스 구도색을 사용하기도 했다.[6] 한동안 구미시 소속이 앞면/옆면/뒷면 모두 LED 행선판을 설치한 것과 달리 앞면에만 LED 행선판이 설치되어 있었다. 최근에는 옆/뒷면에도 설치.[7] 세계 최초로 상용화(일반 대중이 자유롭게 이용 가능)된 사례는 2013년 5월 스위스 제네바에서 있었다.# 상용화 전 사례까지 하면 2009년부터 KAIST 에서 운행중인 구내 셔틀이 세계 최초. 버스가 아닌 자동차로서의 기술 개발 자체는 1997년에 독일에서 이미 이루어졌다.[8] 참고로 경북 2호차는 경주시 시내버스 업체인 새천년미소에서 출고했으며, 경주시, 구미시 업체를 제외한 다른 경상북도 시내버스 업체는 블루시티를 보유하지 않는다.[9] 자일대우버스 기반 차량으로는 최초이다.[10] 동년 4월 일선교통에도 유니버스를 뉴 슈퍼 에어로시티 좌석으로 대차해 구미 시내버스로 유니버스가 완전히 사라졌다.[11] 5001호부터 사용한다, 2020년 6/19 기준 5107호까지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