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송군 농어촌버스

덤프버전 :



파일:청송부남감연.png
파일:안덕노래리.png
구도색.[1]
현재 도색.[2]

1. 개요
2. 요금
3. 운행 노선
4. 특징
5. 타 지역 버스와의 연계


1. 개요[편집]


청송군농어촌버스에 관한 문서로, 청송버스가 단독 운영한다.


2. 요금[편집]


2023년 1월 1일부터 모든 승객들을 대상으로 전면 무료화됐다. 따라서 전국에서 최초로 버스 요금이 없는 지자체이다.[3]

청송군 거주여부를 전혀 따지지 않으며 외국인도 당연히 무료다. 이런식으로 노선버스를 전면 무료화 하는곳은 국내뿐 아니라 전세계적으로도 흔한일은 아니다.[4] 차량 내부에 있던 요금통도 아예 철거해버렸기 때문에 차내에서 요금을 낼 방법 자체가 없다.

한때 교통카드 도입과 환승제 실시를 검토했으나 아예 방향을 틀어 무료탑승으로 변경했다. 과거부터 청송군은 인구감소로 버스 운영비의 상당수를 군에서 보조하고 있고, 교통카드와 환승시스템을 구축하는데도 비용이 상당한데다가 이렇게 구축을 해놔도 수혜를 받는 인원이 많이 없기 때문에 이왕 돈을 쓸 거 아예 무료탑승 쪽으로 방향을 전환한 것이다. 따라서 셔틀버스 승차하듯 버스를 이용하면 된다. 이를 통해 대구에서 진보까지 잘만 이용하면 무려 1,250원이라는 요금으로 갈 수 있으며,[5] 부산에서 진보까지도 4,350원으로 갈 수 있다.[6][7]


2월부터 요금 무료화의 효과가 나타났다. 청송군 시내버스 이용객 수가 20% 증가했다. 청송군청은 관광객 수 증가와 경제 활성화 등의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과거에는 청송군내에서만 움직이는데도 구간요금을 받았으며 2014년도에 군내구간에 단일요금제를 실시했었다. 교통카드제 실시전 이었음으로 현금 승차만 가능했다. 아래는 단일화가 된 2014년 1월 1일부터 무료화 전인 2022년 12월 31일까지 요금표다.

성인
청소년
어린이
1,300원
1,000원
650원


3. 운행 노선[편집]


  • 청송 ↔ 진보[8]
  • 청송 ↔ 이전, 내룡
  • 청송 ↔ 신흥, 지경
  • 청송 ↔ 신흥, 지경, 구수 ↔ 길안
  • 청송 ↔ 부곡, 옹점
  • 청송 ↔ 부남
  • 청송 ↔ 안덕
  • 청송 ↔ 약수탕
  • 청송 ↔ 병부
  • 청송 ↔ 주왕산
  • 청송 ↔ 신점, 이전
  • 청송 ↔ 월외, 교동
  • 진보 ↔ 교정A
  • 진보 ↔ 도평
  • 진보 ↔ 부곡, 추현, 기곡
  • 진보 ↔ 세장
  • 진보 ↔ 괴정
  • 진보 ↔ 어천, 지동
  • 진보 ↔ 병옥, 교동[9]
  • 진보 ↔ 약수탕, 주왕산
  • 진보 ↔ 주왕산
  • 진보, 청송 ↔ 주산지
  • 진보 → 옥계
  • 부남 ↔ 중기
  • 부남 ↔ 신점, 이전
  • 부남 ↔ 이현, 내룡, 옥계
  • 도평 ↔ 눌인
  • 도평 ↔ 상사리[10]
  • 안덕 ↔ 수락, 갈천
  • 안덕 ↔ 장전, 도평
  • 안덕 ↔ 고와, 노래
  • 안덕 ↔ 신성, 도평
  • 안덕 ↔ 화목
  • 이전 ↔ 주왕산
  • 약수탕 ↔ 주왕산
  • 화목 ↔ 갈천, 상바산
  • 화목 ↔ 사촌
  • 부남 ↔ 도평
  • 부남 ↔ 하속


4. 특징[편집]


안덕,도평,화목 쪽의 버스 시간표는 군청과 실제 운행정보가 많이 다르다. 최소 시간표에서 5분 전에는 있자. 오죽하면 군청보다 카카오맵이 시간표 측면에서는 더 정확하겠는가.

청송 사과 축제 기간에는 그쪽으로만 차를 편성하고 있다.

2017년 3월 1일에 노선체계를 개편하면서, 일부 노선이 신설되거나 경유지가 변경되었다. 노선이 신설되면서, 일부 노선은 운행횟수가 줄어들었다. 청송군 보도자료 관련 게시물 청송~길안(안동) 노선도 생기고 삼자현을 넘는 청송~현동 노선도 신설되었다.[11]

2021년 2월 4일부터 2월 28일까지 BIS를 시범 운영하다가 3월 1일부터 정식 운영하기 시작했으며 또한 모두 LED 행선판을 장착했다.

2021년부터 번호제를 도입했지만 아직까지 노인들은 행선판을 보고 버스를 타고 있다.

시간표는 여기서 확인할 수 있다.


5. 타 지역 버스와의 연계[편집]




도보를 통한 연계는 지나친 도보 방지와 예시 범람을 방지하기 위해 해당 구간이 도보 외에는 연계가 불가능한 경우에만 작성한다. 단, 도보 거리가 1.5km 이내인 경우에는 대체 노선이 있어도 작성 할 수 있다.

  • 안동시 시내버스
    • 우선 청송버스는 287, 289번이 안동시 임동면 지리의 작은 마을인 '새밤'까지 들어가며, 새밤에서 611번, 임동1번과 연계된다. 지리에 들어오는 안동버스는 시경계인 원지마을까지만 들어온다. 그리고 청송읍내에서는 길안까지 190번, 260번이 1일 2회 운행하며, 1일 1회는 진보-청송-길안으로 운행한다. 그리고 지경리까지만 운행하는 170번, 176번도 있으며, 여기서 610번을 통해 안동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화목에는 610번이 길안-화목 식으로 1일 2회 들어온다. 한편, 도보 이동까지 포함하면 660번, 664번, 666번이 안덕에서 고와리까지 운행하며, 여기서 2.3km 정도 도보를 해서 나오는 대사2리.한절골 정류장에서 길안으로 가는 610번과 연계된다.

  • 영양군 농어촌버스
    • 영양-진보 노선이 1일 11회 정도 운행하며, 시간에 따라 경유지나 최종목적지가 다르니 반드시 확인이 필요하다. 일부 시간대는 입암을 거쳐 영양읍내까지 올라갔다가 다시 입암으로 내려와 산해4리까지 운행하며, 일부 시간은 양항리로 들어간다. 1회는 청기로 들어가며 2회는 무려 봉화군 재산면까지 가는데 이는 아래 참고. 그 외에는 영양읍내 외에 석보로 가는 노선이 존재하는데, 역시 시간에 따라 모두 종점이 다르니 반드시 시간표를 확인하도록 하자. 청송버스의 경우 청송-교동 노선이 있는데, 이 노선은 영양군 입암면 교리로 들어가는 노선이다. 하지만, 입암면 교리는 영양버스가 없는 지역이므로, 바로 연계는 불가능하고 도보가 필수다.

영덕버스영덕-진보를 1일 3회 운행해 직접 영덕읍내에서 청송의 중심지까지 운행한다. 이 노선의 시간이 안 맞는 경우에는 청송버스도 군경계인 괴정2리까지만 운행하는 노선이 있는데, 그 노선을 타고 3km 정도 도보하면 황장종점 정류장에서 더 많은 영덕버스 이용이 가능하다. 그 외 영덕으로 들어가는 노선은 청송버스는 진보-옥계간 226번, 부남-옥계간 420번이 있는데, 여기서 옥계는 영덕군 달산면 옥계리를 의미하며 옥계리에서는 장사-강구-영덕행 농어촌버스도 들어온다. 하지만 청송 측에서는 총 1일 3회만 운행하니 시간 확인이 반드시 필수다. 그외 항리까지만 운행하는 단축형인 진보-항리 노선도 있는데 1일 1회만 운행하고 종점인 항리까지 가서 1.1km 정도 걸으면 달산면 옥계리가 나온다.

청송버스가 도평-상사리(591번) 노선을 일 3회 운행하며, 상사리에서는 죽장면으로 가는 죽장 희망버스가 들어오나, 이 노선과 시간이 안맞아 오래 기다려야 한다. 도평터미널에서 14:10 출발 591 탑승 - 상사리 종점에 내려서 20분 기다리면 죽장면 희망버스와 연계가 가능해서 죽장에서 770번을 이용해서 포항 시내로 갈 수 있다. 도보를 통한 연계는 도평-눌인3리 노선을 타고 눌인3리에서 내려 2.9km 정도 걸어 꼭두방재를 넘으면 '고평' 정류장이 나오며, 여기서 기계로 가는 포항 마을버스 기계지선 노선을 이용할 수 있다.

의성읍내에서 사곡면을 거쳐 화목으로 가는 140번과 탑리,가음,춘산을 거쳐 화목까지 들어가는 135번이 운행한다. 사곡경유는 40분, 탑리경유는 1시간 10분 정도 소요된다. 이 중 사곡경유가 훨씬 더 많이 운행한다. 그 외에는 화목정류장에서 5.6km 정도 걸어 금봉리 정류장까지 걸어가면 점곡면을 거쳐 의성으로 들어가는 153번을 이용할 수 있다.

청송, 군위, 영천은 붙어있지만 서로 바로 오가는 버스가 없다. 시외버스 동대구-청송 노선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편하다. 정 시내버스로 가겠다면 안덕 혹은 화목에서 사촌리 방면 버스를 이용해 '원사촌' 정류장에 내린 후 노귀재터널을 따라 4.3km 또는 노귀재를 넘어 5.5km 가까이를 걸으면 '상송도림주유소' 정류장이 나오며 여기서 영천으로 가는 버스를 탈 수 있다. 군위는 서로의 군을 잇는 도로가 없으며, 상송교차로에서 4.6km를 더 걸어야 군위 버스와 환승할 수 있다.
[1] 진보와 청송을 기점으로 북부지역을 주로 운행하는 좌석조 차량이다.[2] 안덕터미널을 기점으로 삼아 남부 지역을 주로 운행하는 시내B조 차량이다.[3] 완도군 농어촌버스도 동년 9월 1일부터 전국에서 2번째로 전면 무료화되며, 영주여객봉화군 농어촌버스 노선은 2024년 1월 1일부로 전면 무료화될 예정이다. 반면 같은 경상북도의 고령군 농어촌버스, 성주군 농어촌버스는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농어촌버스와 더불어 군계 내에서도 무제한 구간요금을 징수하는 3곳이다.[4] 설령 무료화를 하더라도 조건부 무료화를 하는 경우가 많다. 그나마 청송과 비슷하게 무료탑승을 실시했던 것이 대만 타이중시였는데, 이마저도 10km 이내의 거리를 교통카드로 이용할 경우에만 무료탑승이 되었다. 현재는 타이중시에 주소지가 있고 교통카드를 따로 등록해야 무료탑승 혜택이 적용된다[5] 대구~55,555번~영천~350번~상송~4km 도보~사촌~화목~안덕~도평~청송~진보로 가면 된다.[6] 명륜역~12번~통도사~13번~언양~355번~건천~300번을 비롯하여 아화로 가는 노선~아화~753번~영천~350번~상송~4km 도보~사촌~화목~안덕~도평~청송~진보로 가면 되며, 12번이 경유하는 녹동마을~범어사~남산동~구서동~온천장~명륜역까지의 구간에 한하여 해당요금으로 이동가능하며 명륜역에서 도시철도나 시내버스를 이용하여 부산의 다른 지역까지 이동할 경우 추가로 버스나 도시철도 요금을 내야 한다.[7] 2024년 1월부터 봉화군 농어촌버스도 전면 무료화를 실시하는데, 영양군 농어촌버스까지 무료화를 할 경우 앞서 말한 요금과 동일하게 봉화, 영양에서 대구, 부산까지 이동할 수 있다.[8] 이 노선 외에도 다양한 노선이 청송과 진보를 오간다.[9] 여기에서 교동은 영양군 입암면 교리다.[10] 여기에서 상사리는 포항시 북구 죽장면 상사리이다.[11] 다만 1일 2회 뿐이고(청송 ↔ 안덕, 진보 ↔ 현동), 청송에서 안덕 이서로 가는 농어촌버스 노선이 없어 동대구 ↔ 청송 시외버스가 여전히 애용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37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37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8 21:10:49에 나무위키 청송군 농어촌버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