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란드 크로네

덤프버전 :





Koruuni (그린란드어) / Grønlandsk Krone (덴마크어)

1. 개요
2. 지폐 ~ 굴욕의 역사(?)
3. 동전


1. 개요[편집]


과거 그린란드의 자체 통화. 식민지 300주년이 되는 2021년까지는 덴마크로부터 독립하겠다고 하였으나, 대국민 투표 결과를 근거로 시기상조라 판단하여 경제 독립은 무기한 연기되었다.

기존에 존재하던 그린란드 크로네는 덴마크 크로네의 파생통화. 덴마크와 너무 멀리 떨어져있는 특성상 페로 크로네와 마찬가지로 덴마크 은행의 인가를 받아 자체적으로 생산한 것이다. 따라서 1:1 교환이 가능하고, ISO 4217코드가 지정되어 있지 않으며 인플레나 환율도 산정되지 않는다. 하지만 이것도 엄밀히는 1968년까지의 이야기.[1]

그린란드 크로네는 덴마크 크로네와 거의 모든 역사를 공유하지만, 세부적으론 나라의 규모자체가 다른 만큼 은근히 너프되어있다.

2. 지폐 ~ 굴욕의 역사(?)[편집]


1874년에 처음 도입되었고, 발행주체는 그린란드 무역은행(Handelsstederne i Grønland)이다. 기존에 사용하던 릭스달러(Rigsdaler)를 1/2비율로 교환해주며 등장. 종류는 25외레, 50외레, 1크로네, 5크로네의 4종류이다.[2] 이 시리즈는 1905년까지만 생산되었다.


그러다 1911년, 발행주체가 왕립 그린란드 무역은행(Kongelige Grønlandske Handel)으로 바뀌면서 신권이 나왔다. 구성은 거의 똑같으나 디자인만 약간 변경되었다. 이 이름은 2년 후에 그린란드 식민총독부(Styrelse af Kolonierne i Grønland)로 또 바뀌었다.


막판으로 1926년에는 아예 "그린란드 총독부(Grønlands Styrelse)"라는 이름으로 발행되었다. 이때 고액권인 10크로네와 50크로네가 추가.


그러다 폭풍의 20세기 초를 넘기고, 덴마크에 신 정부가 생기면서 약간 늦은 1953년에 그린란드에도 한번 더 화폐개혁을 하였다. 명칭도 왕립 그린란드 무역은행(Kongelige Grønlandske Handel)으로 복귀. 5, 10, 50크로네 3종과 특수화폐인 약속지불권(Kreditsedler) 100크로네까지 합쳐져 4종류가 출시. 1967년까지 간간이 쓰이다가 불편함을 느끼고 덴마크 크로네로 전향하였다.


앞면
파일:attachment/그린란드 크로네/greenland01.jpg
5Kr
북극곰
파일:attachment/그린란드 크로네/greenland02.jpg
10Kr
북극고래
파일:attachment/그린란드 크로네/greenland03.jpg
50Kr
범선
파일:attachment/그린란드 크로네/greenland04.jpg
100Kr
크누드 라스문센[3], 터틀 락
뒷면엔 모두 그린란드 지도가 들어가 있다.

여담으로, 현재 잔존수량이 없다시피한 통화라서 진품은 경매에 매우 비싸게 출품된다. 깨끗하고 상대적으로 값싼 이 지폐가 있다면 그건 반드시 재현품이다. [4]


3. 동전[편집]


지폐에 비해선 한참이나 늦은 1926년에 첫 등장. 25외레/50외레/1크로네의 3종이 출시되었는데, 덴마크것과 거의 유사하다. 전반적으로 북극곰이 그려진 것이 특징. 하지만 오래가지 못해 구멍이 뚫리면서 폐기된다. 이후론 1944년, 1957년, 1960년에 걸쳐 미국 필라델피아 조폐소에서 기념권인마냥 간간히 주조했으나 이 역시 실질적으로 통용되지 못했다.

2010년경 이 동전들이 이베이에 올라왔고 전 세계의 수집가들에게 세트당 3 ~ 8만원 정도에 팔았다. 그러나 사실 이 주화들은 짝퉁이다. 엄밀히는 패턴주화라는 것으로 실제로 발행했다면 이렇게 나왔을 것이란 가정 하에 만들어낸 일종의 레플리카와 같은 주화이다. 당연히 실제 통화는 아니며, 그린란드 당국과는 무관하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4 22:48:20에 나무위키 그린란드 크로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그린란드가 자치정부를 출범시키기 전까지는 덴마크의 속령으로 있으면서 상당한 액수의 크로네를 덴마크로부터 지원받아왔다. 그러다보니 비교적 자급자족이 가능한 페로 제도와는 달리 자연스럽게 자체통화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게 된 것.[2] 25외레는 1년, 5크로네는 3년 늦게 나왔다.[3] Knud Johan Victor Rasmussen, 그린란드계 덴마크인 극지 탐험가.[4] 재현품이 싸다고는 하나 아주 싼 것은 아니다. 기본 1만원을 넘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