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문(군인)

덤프버전 : r (♥ 0)

한미연합군사령부 >>{{{#!wiki style="margin: -3px 0px;"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참모장
유엔군사령부 군사정전위원회 수석대표
[ 펼치기 · 접기 ]
해군 출신}}}
해병대 출신}}}

파일:major general_white.png
제57대}}}
황원탁
제58대}}}
이석복
제59대}}}
파일:external/flagspot.net/kr%5Em3.gif
차기문
제60대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제15대}}}
송영근
제16대}}}
제17대}}}
제18대}}}
제19대}}}
김용기
제20대}}}
장용구
제21대}}}
제22대}}}
권태오
제23대}}}
제24대}}}
장경욱
제25대}}}
전인범
제26대}}}
서형석
제27대}}}
장광현
제28대}}}
조영진
제29대}}}
신상범
제30대}}}
김종문
제31대}}}
강인순

※ 초대~현임: 소장(58대: 중장)




김종문
Kim Jong-moon
파일:김종문.jpg
복무대한민국 육군
기간1986년 ~ 2020년
임관육군사관학교 42기
최종 계급소장
최종 보직한미연합군사령부 부참모장[1]
유엔군사령부 군사정전위원회 수석대표
주요 보직합동참모본부 신연합방위추진단장
제2보병사단
한미연합군사령부 작전처장
합동참모본부 연습훈련부장
제1포병여단

1. 개요
2. 내용
3. 여담



1. 개요[편집]


대한민국 육군의 전 군인. 최종 계급은 소장이며, 제2보병사단장을 역임했다.


2. 내용[편집]


한영고등학교(서울)(30회)을 졸업하고 1982년 육군사관학교(42기)에 입교하여[2] 1986년 졸업과 함께 육군 포병 소위로 임관했다.

준장 진급 후 22사단 부사단장, 제1포병여단장, 합동참모본부 연습훈련부장[3], 한미연합사령부 작전처장을 역임했다

2015년 4월 소장으로 진급하여 제2보병사단장에 취임하였다.사단장에 취임하며 포병연대는 주특기 임무에 충실하라며 유격훈련에서 제외했다. 당시 제3군단장이었던 김병주 장군(육사 40기)이 대장 진급 및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으로 영전하면서, 3군단장 직무대리를 맡았다가 안타깝게 진급을 못하고[4] 이후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 신연합방위추진단장, 유엔군사령부 군사정전위원회 수석대표를 차례대로 역임하고 정전위 수석대표직을 강인순 장군(육사 44기)에 이임하였고 2020년 5월 34년간의 군생활을 마치고 전역하였다.

3. 여담[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6 20:22:31에 나무위키 김종문(군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한미연합사령부는 모든 보직이 정·부로 나뉘며 정 보직에는 미군이, 부 보직에는 대한민국 국군이 보직된다. 이는 사실이 아니다. 정, 부 보직을 한국군과 미군이 나누어 갖는다. 정보참모부장, 군수참모부장은 한국군이고 차장이 미군이다 [2] 고교 1년 후배인 조한규 장군과 육사에 동기로 입학했다.[3] 육해공 소장이 모두 보임가능한 보직이나 최근에는 공군 소장이 주로 보임된다. 공군 소장들의 중장 진급 사례가 많은 보직이기도 하다.[4] 당시 동기이자 본인처럼 제27보병사단장으로서 제2군단장 직무대리를 하던 김정수 장군은 중장 진급과 동시에 수방사령관에 임명되었다. 그리고 직속상관인 제3군단장에는 육사 동기인 김승겸 중장이 취임하여 본인의 사단장 이임식을 주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