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즈 시절/목록/방송

덤프버전 : r20180326

분류


1. 방송사
2. 장르
3. 방송 프로그램
3.1. SBS
3.2. KBS
3.3. MBC
3.4. 기타



1. 방송사[편집]


  • MBC - 1991~1994년: 뉴스, 교양, 드라마, 예능까지 거의 전 부문에서 타 방송사를 압도했던 시절.

  • KBS - 1980년 언론통폐합 이후~종합편성채널 개국 이전: 통폐합 덕분에 규모가 눈덩이처럼 불어 종편 개국, 케이블 채널들의 성장 이전까지 지상파 방송사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 JTBC - 2015~2017년: 박근혜 게이트 뉴스 방영으로 비지상파 뉴스 시청률 1위를 찍고, 예능은 아는 형님, 한끼줍쇼, 효리네 민박 등이 제작되어 상승세를 탄 시기. 한편 편파 보도 논란으로 몸살을 앓은 적이 있다.

  • tvN - 2012~2017년: 드라마는 응답하라 시리즈와 도깨비, 예능은 꽃보다 시리즈, 삼시세끼 시리즈, 윤식당 등이 만들어져 지상파를 위협하는 방송사로 성장한 시절.



  • 애니플러스 - 2011~2014년: 격적으로 동시방영을 시작한 2011년부터 신작 대다수를 국내에서 독점 방영했으며, 특히 2013년 10월부터 2014년까지는 최대 30작이나 되는 애니메이션 신작을 동시방영하면서 투니버스가 어린이 채널이 되고, 애니맥스는 기존 더빙작의 속편을 자막으로 방송하면서 시청자들에게 외면받고, 대원방송전속 시리즈 계열 더빙작을 많이 내놓으면서 욕을 바가지로 먹는 등 타 방송국이 안 좋은 모습만 계속 보여준 것과 대비되었고, 오죽하면 한국 성우팬들과 더빙 선호자들 입장에서는 신작을 독점한다며 리즈 시절이 아니라 흑역사로 취급받기도 했다. 하지만 2015년부터는 애니맥스, 대원방송, 2016년부터는 넷플릭스, 아마존에서 신작을 동시방영하기 시작하고 여러 신작들의 전체적인 판권료도 올라가면서 애니플러스에서 가져가는 신작의 수가 리즈 시절에 비해 줄어들기 시작하더니 기야 2017년 7월, 신작 갯수가 동시방영 초창기였던 2011년 1월 이전 수준으로 크게 줄어들면서 최초로 애니맥스 코리아에서 가져간 신작 갯수와 비슷한 분기가 되었다.

  • 동양방송 - 1970년대 ~ 1980년 언론통폐합 때까지

2. 장르[편집]


  • 대한민국 시트콤 - 1995~2006년: LA 아리랑이 그 포문을 열면서 시트콤의 전성기가 열렸으나 그 뒤 막장 드라마로 인해서 인기가 떨어졌다.
  • 지상파 방송 3사의 아동 애니메이션 방영 시절 - 1960~2000년대 : 1995년 케이블 채널 개국과 후발주자 애니메이션 채널들의 잇따른 개국 이전까지는 주로 이들 지상파 방송 3사에서 어린이 시청시간대에 애니메이션을 많이 방영해 주었던 적이 있었다. 사실상 이 때가 전성기였으며 2000년대 들어서는 주로 생활정보 및 연예프로 등으로 채우는 편.
  • 대한민국 코미디 프로그램 - 1970~80년대, 2000년대
  • 대한민국 막장 드라마 - 2008~2009년: 그 뒤에도 시청률 면에서는 10~20%를 유지하고 있으나 드라마에 대한 평가는 떨어지는 편이다.
  • 대한민국 어린이 드라마 - 1990년대 후반 ~ 2000년대 중반: 지구용사 벡터맨, 요정 컴미를 시작으로 매직키드 마수리, 마법전사 미르가온 등이 인기를 끌었다.
  • 가요대상 - 초창기~2005년: 2006년부터는 각종 음반 시장 불황과 지속적으로 제기된 공정성 논란 등으로 인해 KBS와 MBC가 시상식 형태를 없앴고 SBS가 계속 이어가다가 2007년에는 방송 3사가 모두 시상식 형태를 없애고 공연 형태로 갔다. 그리고 2017년 현재에는 주요 대중음악시상식이 골든디스크 시상식, 서울가요대상, 엠넷 아시안 뮤직 어워드, 멜론 뮤직 어워드 등으로 넘어갔다.
  • 연예대상 - 2007~2010년: 본격적으로 유재석-강호동 투톱체제가 시작된 시기이자 2007년에 SBSSBS 연예대상을 신설해 지상파 3사 모두 연예대상을 실시하게 되어 자연스럽게 관심이 높아지게 되었고, 유재석강호동의 라이벌 구도가 1년 중 가장 잘 드러나는 행사였다. 실제로 역사가 더 오랜된 연기대상연말 가요제보다 더 높은 시청률을 자랑했다. 하지만 2011년에 강호동이 탈세 논란으로 연예계를 잠정 은퇴한 이후부터 연예대상에 대한 관심은 전성기 시절보다 줄어들었고, 시청률도 2011년을 기점으로 하락세를 타고 있다. 또한 그 동안 가려져 있었던 공동수상과 나눠주기 수상의 남발, 코미디부문의 약세 등의 문제점들이 노출되기 시작하면서 시상식 직후에는 비판과 논란이 끊임없이 나오고 있는게 현실이다.


3. 방송 프로그램[편집]



3.1. SBS[편집]


  • 생방송 행복찾기 - 최선규, 김창숙 진행시절(1991~1999)
  • 미운 우리 새끼 - 현재진행형
  • 놀라운 대회 스타킹 - 2008~2011년: 한 때는 무한도전과 시청률 1위를 다퉜으나 2011년에 강호동의 탈세 논란 이후 하락세를 걷기 시작했다.
  • 일요일이 좋다 - 2004~2007년, 2012년
    • 런닝맨 - 2011년 9월 ~ 2013년 6월: 초반 침체기를 극복하고 승승장구하여 2012년에는 2부 코너로 바뀌어 1박 2일을 꺾고 동시간대 1위를 차지하고 나서 다시 진짜 사나이에게 1위를 빼앗기기 전까지. 그 뒤로 하락세를 겪다가 2017년에 종영 위기까지 갔지만 하반기부터는 다시 과거의 명성을 회복하고 있다.
    • 패밀리가 떴다 - 2008년 9월~2009년 6월: 이천희, 박예진 하차와 참돔 조작 사건 이후 하향세를 탔다.
    • K팝 스타 - 2011~2013년, 2016~2017년: 1~2기 시절, 6기 시절
    • X맨을 찾아라 - 2003~2005년
  • 웃음을 찾는 사람들 - 2004년 11월 ~ 2005년 4월[1]
  • 정글의 법칙 - 2011~2012년 - 1~3기 시절, 3기 이후로 조작 논란이 일어나면서 시청률이 떨어졌지만 지금도 10~20%를 호가하고 있다.
  • 힐링캠프 - 2011~2013년
  • SBS 8 뉴스 - 2011년~2013년, 2016년 12월 19일~2017년 5월

3.2. KBS[편집]


  • 가족오락관 - 초창기부터 2008년까지
  • 가요무대 - 초창기부터 케이블 방송이 들어오기까지: 지금도 10% 초반 대의 시청률을 기록하고 있다.
  • 가요톱텐 - 초창기부터 1997년까지
  • 개그 콘서트 - 1999~2014년 7월: 스크림, 사바나의 아침 등. 그 뒤 스타밸리 소속 개그맨들이 단체로 개그 콘서트에서 하차하면서 침체기가 오는 게 아닌가 싶었지만….. 2003~2004년에 갈갈이 삼형제, 박준형의 생활사투리, 도레미 트리오 등으로 스타밸리 소속 개그맨들의 이적 파동을 단숨에 극복한 다음 전성기를 누렸던 시기가 있었으나 2016년 이후에는 계속해서 프로그램 최저 시청률 기록을 갈아치우고 있다.
  • 대국민 토크쇼 안녕하세요 - 2011~2014년
  • 도전 골든벨 - 1999~2009년
  •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 2011~2012년 상반기
  • 스펀지 - 2003~2007년: 네모가 도입되었던 1기 시절에는 책까지 발간될 정도로 인기가 있었지만 소재 고갈 이후에는 하향세를 탔다.
  • 우리말 겨루기 - 2007~2013년
  • 유머 일번지 - 1980년대 중후반: 1991년 12월에 SBS가 개국하고 난 뒤 KBS 개그맨들이 SBS로 대거 이탈하면서 몰락한 뒤 1992년에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 전국 노래자랑 - 현재진행형
  • 해피선데이 - 2007~2011년: 1박 2일과 남자의 자격으로 전성기를 누렸던 시기.
    • 남자의 자격 - 2009년 하반기~2011년
    • 불후의 명곡 - 2007~2008년
    • 슈퍼맨이 돌아왔다 - 2013~2014년: 2014년에는 시청자가 뽑은 최고의 프로그램이라는 호칭을 받았으나, 그 이후로는 10% 미만으로 떨어지면서 과거의 위상을 되찾지 못하고 있다.
    • 1박 2일 - 2007년 가거도 편~2010년 경북 경주 편: 강호동, 김C, 이수근, 은지원, MC몽, 이승기의 6인 체제가 완성된 때부터 김C의 출연 중단 직전까지.
  • 해피투게더 - 2002~2007년
  • 1대 100 - 2009~2011년
  • KBS 대하드라마 - 1996~1998년[2], 2000~2007년[3]
  • TV는 사랑을 싣고 - 1994년 ~ 2000년 대 초반


3.3. MBC[편집]


  • 개그야 - 2006년 7월 ~ 2007년 3월
  • 놀러와 - 초창기부터 2011년까지
  • 나는 가수다 - 임재범 합류(2011년 5월) ~ 김범수, 박정현, YB 하차(2011년 8월).
  • 나 혼자 산다 - 2013~2014년, 2015년~현재: 2015년에 시청률이 떨어진 적이 있었으나 그 뒤 다시 전성기를 찾고 있다.
  • 무한도전 - 형돈아 놀자(2006년 10월) ~ 하하 게릴라 콘서트(2008년 2월): 스펀지를 역전한 뒤부터 하하가 군대갈 때까지. 시청률로는 리즈 시절, 재미와 화제성은 2010.3 ~ 2014.4 7인체제가 더 강하다고 느끼는 사람도 있으므로 취존.
  • 뽀뽀뽀 - 1981 ~ 90년대
  • 세바퀴 - 2008~2010년
  • 오늘은 좋은날 - 1995~1997년: 허리케인 블루, 귀곡산장 등으로 소속 개그맨들이 대거 SBS로 빠지는 바람에(유머 일번지 참조) 침체에 빠졌던 KBS를 제치고 외환위기 때문에 수많은 가요, 오락프로그램들이 일방적으로 대거 종영될 때까지 코미디 프로그램의 본좌 자리를 먹었던 그 시절.
  • 우리 결혼했어요 - 2008년 3월~10월[4], 2009년 8월~2010년[5].
  • 일밤 - 1990~1994[6], 1997[7], 2000~2004[8].
    • 몰래카메라 - 1기 전체(1991~1992년): 2005년에 2기로 부활했지만 과거의 명성은 되찾지 못했다.
    • 복면가왕 - 첫방송부터 2016년 상반기까지: 현재도 10% 초반의 시청률을 유지하고 있으나 이전에 비해서 화제성은 떨어진 편. 최전성기를 꼽자면 클레오파트라, 코스모스, 캣츠걸, 음악대장 때라고 볼 수 있다.
    • 아빠! 어디가? - 2013년 1기 전체
    • 진짜 사나이 - 2013년 중반 ~ 2013년 12월(1박 2일 시즌 3으로 부활하기 전까지), 2014년 8월~9월, 2015년 1월~3월 여군특집
  • 코미디하우스 - 2001년[9], 2004년[10].
  • 황금어장 - 2007년 1월 무릎팍도사 첫 방영 ~ 2010년 9월 라디오스타 신정환 하차
    • 라디오 스타 - 2007년 9월 김국진 합류 ~ 2010년 9월 신정환 하차
    • 무릎팍도사 - 2007년 1월 첫 방영 ~ 2009년 타블로 편까지: 이후 타블로 학력논란이 불거졌고 프로그램 컨셉에 지루함을 느끼는 시청자들이 많아지면서 내리막길을 탔다.
  • MBC 표준FM 별이 빛나는 밤에 - 1985~1996[11]
  • MBC 표준FM 정오의 희망곡 - 1999~2001[12]
  • MBC 뉴스데스크 - 이득렬, 엄기영 진행 시절

3.4. 기타[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09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09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1] 컬투의 "그때그때 달라요", 리마리오의 느끼 개그, 신인들의 활약으로 개그 콘서트와 시청률 경쟁을 하던 시절.[2] 용의 눈물 방송 기간.[3] 경우에 따라서는 2004년, 즉 무인시대의 종영과 함께 리즈 시절이 막을 내렸다고 본다.[4] 일밤 시절 일요일 예능을 천하삼분하던 시절.[5] 독립 후 아담커플의 대활약이 있었다.[6] 주병진의 배워봅시다, 이경규의 몰래카메라, 이문세-이홍렬-이휘재 트리오를 배출한 최고의 전성기.[7] 이경규가 간다로 전국에 정지선 지키기 운동을 일으켰다.[8] 게릴라 콘서트, 건강백서, 신동엽의 러브하우스, 브레인 서바이벌, 대단한 도전 등.[9] 허무개그 방송 기간.[10] 노브레인 서바이버 방송 기간.[11] 이문세 별밤지기 시절.[12] 김현정의 정오의 희망곡 시절. 싱글벙글쇼를 청취율로 이긴 유일한 정오의 희망곡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