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상현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대한민국의 법조인에 대한 내용은 송상현(법조인) 문서
송상현(법조인)번 문단을
송상현(법조인)# 부분을
, KBS 2TV 드라마 〈태양의 후예〉의 등장인물에 대한 내용은 송상현(태양의 후예) 문서
#s-번 문단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
2. 생애
2.1. 초반
2.2. 외교관이 된 이후
3. 평가
4. 시설
4.1. 송상현 광장
4.2. 송공단
5. 여담
6. 대중매체



1. 개요[편집]


파일:external/www.jbknews.com/%EC%86%A1%EC%83%81%ED%98%84%20%EC%84%A0%EC%83%9D.jpg[1]

파일:attachment/송상현광장/3.jpg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송상현광장에 있는 그의 동상.

宋象賢
1551년 (명종 6년) 2월 12일 ~ 1592년 (선조 25년) 5월 23일 (향년 41세)[2]

戰死易假道難 (전사이 가도난)

싸워서 죽기는 쉬워도 길을 빌려주기는 어렵다.


본관은 여산(礪山). 자는 덕구(德求). 호 천곡(泉谷)·한천(寒泉). 시호 충렬(忠烈). 임진왜란 당시 조선의 문관으로, 전쟁 초기 부산 동래성에서 고니시 유키나가의 일본군에 맞서 동래성 전투로 성을 지키며 방어하다가 전사했다.


2. 생애[편집]



2.1. 초반[편집]


1551년 전라북도 정읍군, 현 정읍시에서 사헌부 감찰 송복흥의 아들로 태어났다. 1570년(선조 3년) 진사에, 1576년 별시문과(別試文科)에 급제하여 경성판관(鏡城判官)을 지냈다.


2.2. 외교관이 된 이후[편집]


1584년 종계변무사(宗系辨誣使)의 질정관(質正官)으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귀국 뒤 호조·예조·공조의 정랑(正郞) 등을 거쳐 동래부사(東萊府使. 오늘날의 부산광역시장)가 되어 전란에 대비했으며 동래성 주변에 나무를 최대한 많이 심는 등[3] 방어 준비를 철저히 했다.

하지만, 10배 많은 병력이 조총으로 무장한 채 덤벼드느라, 이러한 노력은 크게 빛을 보지 못했다.


2.3. 임진왜란[편집]



4월 14일 고니시 유키나가 군은 첨사 정발이 지키고 있던 부산진성을 함락시키고 하루만에 동래성에 도달했다. 제승방략에 규정된 대로 양산 군수 조영규와 울산 군수 이언성의 병력이 도착했고 경상 좌병사 이각과 경상 좌수사 박홍이 동래성을 구원하러 왔지만, 병력이 열세였던 탓에 딱히 큰 도움이 되지 못했다. 심지어 이각은 동래성을 구한답시고 산에 진을 치겠다며 빠져 버렸다. 사실상 도망간 것. 양산 군수 조영규도 동래성을 구원하러 왔지만 공성전시 외곽에 별도의 병력을 배치해 구원군을 차단하는 일본군의 전술에 밀려 후퇴하고 만다.

고니시 유키나가가 동래성에 도착하자 전투를 하기에 앞서 다음과 같은 글귀를 적어서 송상현에게 보여주었다.

戰則戰矣 不戰則假道 (전즉전의 부전즉가도)
싸우고 싶으면 싸우고, 싸우기 싫으면 길을 비켜달라.
즉 지나갈 테니 길 좀 열어달라는 소리.

하지만 송상현은 다음과 같이 답변했다.

戰死易假道難 (전사이 가도난)
싸워서 죽기는 쉬워도, 길을 빌려주기는 어렵다.
즉 길을 빌려주느니 싸우다 죽겠다는 소리.

이에 양군 사이에 동래성 전투가 벌어졌는데, 초반에는 일본군이 패하고 후퇴했으나 곧 전열을 재정비한뒤 동래성의 약점인 동문(인생문)을 집중 공략. 중과부적으로 인해 일본군을 막지 못하고 성이 함락되었다.

파일:external/2.bp.blogspot.com/%EC%A0%9C%EB%AA%A9+%EC%97%86%EC%9D%8C55-1.jpg
송상현은 자신의 죽음을 직감하게 되자 부채에 아버지에게 보내는 편지를 쓴 뒤[4] 조복을 갈아입고 북향 사배[5]를 올리고 항전을 이어가다 전사했다. 송상현의 관기 출신 한금섬은 담을 넘어서까지 그에게 달려가 함께 죽임을 당해 절개를 지켰다. 참고문헌

고니시 유키나가는 송상현이 비록 적수이긴 하나 그의 용기에 감탄하였고, 전투가 끝난 후 정중한 예를 갖추어 송상현의 장례를 치러주었고 추모비를 세웠으며, 부하들에게 그의 충직함을 본받으라고 훈시했다.[6]

그러나 동래성 주민들은 무참히 처형당해 해자에 파묻혔고 이는 2005년에 수안역 공사 도중에야 발견된다. 사후에 이조 판서, 찬성에 추증되었고, 동래 안락서원(安樂書院)과 충렬사에 제향되었다.

묘와 신도비는 청주IC 부근에 위치해 있으며, 그의 후손들은 청주에 모여 살고 있다. 여담으로 경부고속도로가 송상현 묘소 및 신도비를 피하여 건설되었기 때문에 옥산 ~ 남이JC 부근이 곡선으로 휘어지게 되었다.


3. 평가[편집]


무관으로의 능력을 평가하는 것은 전쟁 초기에 너무나도 빠르게 전사한 탓에 해낸 일이 없어 어렵다. 허나 임진왜란 개전 초기 그 어려운 상황속에서 일본군에 당당히 맞선 것은 높이 평가받을 만 하다. 전술했듯, 일본군마저 그의 정신을 높게 평가했을 정도.

특히 동래의 후신인 부산광역시에서는 부산진정발, 다대포윤흥신과 더불어 부산을 지킨 위인으로 추앙받고 있다. 부산시 양정동에는 송상현의 동상이 있으며 동상이 있는 삼거리를 송공 삼거리라고 불리는데 '송공(宋公)'이 바로 송상현이다. 동상이 설치되고 부터 그렇게 불려졌다. 초등학교 때 배우는 지역을 빛낸 위인들 중에 동래구 출신이었던 장영실과 같이 꼭 꼽히는 인물이며 2014년 6월에 송공 삼거리 일대에 송상현의 이름을 딴 송상현 광장이 개장한다. 53사단의 별칭인 '충렬 부대'의 충렬 역시 송상현의 시호인 충렬에서 따온 것이다.


4. 시설[편집]



4.1. 송상현 광장[편집]


파일:attachment/송상현/song.jpg

부산광역시 부전역 인근 부산진구 부전동 삼전 교차로 ~ 양정동 송공 삼거리 일대에 조성한, 충신 송상현의 이름을 딴 광장이다.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송상현광장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2. 송공단[편집]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동에 위치한, 송상현을 비롯하여 임진왜란 당시 동래성에서 순절한 여러 선열을 모신 제단. 부산 광역시 기념물 제11호. 동래 읍성 임진왜란 역사관이 위치한 수안역 인근에 있다.


4.2.1. 충렬사[편집]


부산광역시 동래구 안락동에 위치한 사당. 지금은 정발, 윤흥신임진왜란 전사자들의 합동 사당처럼 되어 있지만 본래 그 시작은 송상현의 충혼을 기리는 송공사(宋公祠)였다. 안락 교차로에 바로 맞닿아 있는 탁월한 입지 덕에, 부산 도시철도 4호선동명의 역이 있기도 하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항목으로.


5. 여담[편집]


아우로 송상인이 있는데 그 역시 첨령강직하다는 평가가 많았다. 광해군때 옥사에 걸려 죽을 뻔 했을 때 자신은 송상현의 아우로 4대에 걸쳐 과거에 나가 충성을 다했다고 항변했다. 송상현의 친구들이 그를 구원해 이후 목숨은 건져 제주도에 10년간 위리안치 됐다가 인조반정 이후 다시 등용되어 남원부사, 전라도 관찰사를 지내는 등 여러 방면에서 활약했다.#


6. 대중매체[편집]



  • 2004년KBS 대하드라마 불멸의 이순신에서는 배우 박희진[7]이 맡았다.

  • 2015년KBS 대하드라마 징비록에서는 배우 김동석[8]이 맡았다.

  •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에서는 선조실록에서 등장한다. 고니시 유키나가가 동래성으로 향해 길을 열어달라고 말할때 송상현이 戰死易假道難이 쓰인 푯말을 세우며 “싸워서 죽는 것은 쉬우나 길을 빌려주는 것은 어렵다!”라고 말하면서 동래성 전투가 시작된다. 그러나 적의 규모가 너무 많아서 패배해 결국 전사하면서 등장종료.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4 07:35:03에 나무위키 송상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흉배에는 문관은 학, 무관은 호랑이, 임금 및 왕자는 용이 그려진다, 이 초상화에서도 흉배가 학이라 송상현이 문관 출신임을 보여주고 있다.[2] 세는나이 42세.[3] 외부에서의 시야를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4] 부자(父子)의 관계 보다는 군신(君臣)의 관계가 더 중요하다며 성에서 싸우다 죽겠다라고 말했다고 전해진다.[5] 임금이 있는 북쪽 방향으로 절을 네 번 하는 것.[6] 일각에는 전쟁 전에 이미 송상현과 친분이 있었다는 이야기도 있다.[7] 나무위키에 개별문서가 있는 여성 배우와는 동명이인의 남성 배우로, 2002년작 SBS 드라마 야인시대의 58화에서 김두한에게 겁없이 덤볐다가 참교육당한 좌익 수감자 패거리의 두목 감방장 역할을 맡았다.[8] 2002년작 SBS 드라마 야인시대김형사 역할로 유명한 배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