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조협려(2014년 드라마)

덤프버전 : r (♥ 0)



후난위성TV 드라마
신조협려 (2014)
神雕侠侣
The Romance of the Condor Heroes
파일:신조협려 드라마 2014 메인 이미지.jpg
별칭신조협려 2014
神雕侠侣 2014
장르시대극[1], 무협물, 가상역사물
방송 기간2014년 12월 3일 ~ 2015년 3월 11일
방송 횟수52부작[2]
제작우정상해영시문화공작실(于正上海影视文化工作室)
채널
파일:중국 국기.svg

후난위성TV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CHING


연출리훼이쭈(李慧珠 / 총감독), 덩웨이언(邓伟恩)
극본위정(于正)
원작김용 저,
소설 《신조협려(神鵰俠侶)
출연
천샤오(陈晓), 천옌시(陈妍希), 장신위(张馨予), 쩡궈린(郑国霖), 양밍나(杨明娜), 헤이즈(黑子), 리밍순(李铭顺), 치우신즈(邱心志), 장쩌한(张哲瀚), 마오샤오통(毛晓彤), 자오잉즈(趙櫻子), 쑨야오치(孙耀琦), 쏭양(宋洋), 장첸(张茜), 지첸(季晨), 왕마오레이(王茂蕾), 장쉐잉(张雪迎), 우징징(邬靖靖)
타이틀곡
오프닝
浩瀚 - 장지에(张杰)
ㅤㅤㅤ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음원
엔딩
你我 - 천샤오&천옌시>
ㅤㅤㅤ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음원
스트리밍[[왓챠|
WATCHA
]]
| [[TVING|
TVING
]]
시청 등급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5세 이상 시청가 (폭력성, 선정성, 모방위험)
1. 개요
2. 공개 정보
2.1. 예고편
2.2. 오프닝
2.3. 포스터
3. 등장인물
4. 평가
5. 여담



1. 개요[편집]


2014년에 방송한 후난위성TV드라마.

홍콩의 소설가 김용이 쓴 소설 《신조협려》를 원작으로 한 작품으로, 주인공 양과가 자신의 사부이자 연인인 소용녀와 현실 속 고비와 그에 따른 이별 끝에 재회하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영함 주연(领衔主演)만 총 18명으로, 양과 역의 천샤오(陈晓)소용녀 역의 천옌시(陈妍希), 이막수 역의 장신위(张馨予), 곽정 역의 쩡궈린(郑国霖), 황용 역의 양밍나(杨明娜), 금륜국사 역의 헤이즈(黑子), 황약사 역의 리밍순(李铭顺), 공손지 역의 치우신즈(邱心志), 야율제 역의 장쩌한(张哲瀚), 곽부 역의 마오샤오통(毛晓彤), 정영 역의 자오잉즈(趙櫻子), 육무쌍 역의 쑨야오치(孙耀琦), 견지병 역의 쏭양(宋洋), 구천척 역의 장첸(张茜), 단지흥 역의 지첸(季晨), 조지경 역의 왕마오레이(王茂蕾), 곽양 역의 장쉐잉(张雪迎), 공손녹악 역의 우징징(邬靖靖)이다.

시간적 배경은 CE 1237년에서 1260년 사이의 송말원초 시기이며, 공간적 배경은 몽골중원남송강남이다.

제작 기간은 2013년 8월 30일부터 2014년 1월 2일까지이며, 촬영지는 중국 저장성 진화시에 소재한 '헝뎬 월드 스튜디오(横店影视城)'과 중국 저장성 닝보시 샹산현에 소재한 '샹산 글로벌 스튜디오(象山影视城)'이다.


2. 공개 정보[편집]



2.1. 예고편[편집]


공식 예고편


2.2. 오프닝[편집]


공식 오프닝 영상


2.3. 포스터[편집]


파일:신조협려 드라마 2014 공식 포스터.jpg파일:신조협려 드라마 2014 공식 포스터2.jpg
공식 포스터



3. 등장인물[편집]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 드라마의 남자 주인공. 양강목염자의 아들.

이 드라마의 여자 주인공. 고묘파의 장문인.


4. 평가[편집]


[[IMDb|

파일:IMDb 로고.svg
]]
( XXX위{{{-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20XX-XX-XX 기준
)





















캐스팅 라인업이 매우 화려하다. 김용 무협소설을 원작으로 한 2차 창작물을 즐겨본 사람들은 누구나 "어! 그 배우다!"라고 말할 정도로 단골로 출연하는 유명 배우(장신위, 양밍나, 헤이즈 등)를 잔뜩 투입했다. 당시에는 신인이었으나 이후에 관련 작품들에 출연하면서 낯이 익은 배우들(자오잉즈, 우징징 등)도 있기도 해서 보는 맛은 확실히 있다.

하지만 스토리 플롯은 상당히 문제가 있는데, 기본적으로 극 전개가 너무 느리다. 시청자들의 몰입도를 끌어올리려면 선택과 집중을 했어야 했는데, 오히려 그 반대로 종합선물세트처럼 꾸며 놓으니 보다가 지쳐서 질릴 수밖에 없다. 대다수의 시청자들은 황약사의 러브스토리라든지 공손지구천척이 어떻게 처음 만났는지 같은 이야기는 그다지 관심이 없다. 빠른 전개 속도로 양과소용녀의 이별과 재회를 그리는 게 가장 좋은 선택이었음에도, 18명씩이나 영함 주연으로 올려놓고 시작하니 그 배우들이 맡은 배역에 장면 몇 개씩 넣어주려고 하니 전개가 더뎌졌다. 그 뿐만 아니라 홍칠공, 구양봉, 단지흥, 독고구패의 러브스토리 등 원작에는 없는 이 드라마의 오리지널 이야기도 넣는 데 주저하지 않는다. 원작에 충실한 묘사는 같은 작품을 몇 년에 한 번씩이나 다시 우려먹는 김용 소설 원작 드라마 및 영화의 특성상 힘들기는 하나, 그렇다고 해도 치밀하고 섬세한 묘사가 아니라 극 전개의 템포를 깨뜨리는 수준으로 갑자기 들이밀어 버리니 문제가 되는 것이다. 다만 이는 극 초중반까지만 그렇고, 오히려 드라마 중후반부터는 각색 없이 원작을 충실히 따라가는 편이다.

그리고 이 드라마의 주인공 양과가 원작 소설 속 양과가 아니다. 현대 기준으로 보자면 '이 아이는 소년원이 아니라 교도소에 바로 들어가야 할 정도'로, 청소년 시절의 양과는 막돼먹은 악랄한 소년이다. 이막수의 위협으로부터 벗어나려는 무씨 형제육무쌍, 정영을 모두 함정에 빠뜨려 재물을 갈취하려다 곽부에게 걸려서 혼나질 않나, 정영을 속여서 기루에 팔아먹고,[3] 또 곽부에게 도둑 누명을 씌우고,[4] 고묘에 들어갔다가 금괴를 도둑질을 하기까지 한다. 해도 해도 너무하다 싶은 묘사다.

소용녀 캐스팅 논란은 이막수 역의 장신위(1987년생)가 소용녀 역의 천옌시(1983년생)보다 4살 더 어리고, 또 천옌시에게는 굴욕적인 사진 논란까지 터지면서 벌어진 일이다. 물론 앞선 문제점에 비해서는 이 논란은 애교 수준이다.


파일:CC-white.svg 이 '평가'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신조협려 문서의 r31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평가'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신조협려 문서의 r31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5. 여담[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02 02:39:22에 나무위키 신조협려(2014년 드라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중국식 표현으로는 '고장극(古装剧)'으로 불린다.[2] 회당 45분 분량[3] 이것도 원작 소설에는 없는 내용이다.[4] 무씨 형제는 양과를 몇 번이나 괴롭히려다가 오히려 역관광을 당한다. 도화도를 떠나게 된 것도 양과가 구양봉 만나려다 벌어진 일이다. 곽부가 양과를 싫어하게 된 것도 곽부 탓만이 아니라 양과 지분이 꽤 크다. 2006년판에선 간략하게 나온 양과의 유년시절이 꽤 길게 나옴에도 전혀 암울하지 않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