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타이지구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지급행정구
지급시 4, 지구 5, 자치주 5
현급행정구
시할구 13, 현급시 28, 60, 자치현 6
우루무치시

성도
乌鲁木齐市

天山
사이바커구>
沙依巴克区

신스구
新市

수이모거우구
水磨沟

터우툰허구
头屯河

다반청구
达坂

미둥구
米东

우루무치현
乌鲁木齐县
카라마이
克拉玛依市
카라마이구>
克拉玛依区
두산쯔구>
独山子

바이젠탄구
白碱滩

우얼허구
乌尔禾区
투르판
吐鲁番市
가오창구
高昌
산산현
鄯善

퉈커쉰현
托克逊县
하미시
哈密市

이우현>
伊吾县
아크수지구
阿克苏地区
아크수
阿克苏市
쿠처시
库车市

원쑤현
温宿县

사야현
沙雅县

신허현
新和

바이청현

우스현
乌什县

아와티현
阿瓦提县

커핑현
柯坪县
카슈가르지구
喀什地区
카슈가르시>
喀什市
수푸현>

수러현
疏勒县

잉지사현
英吉沙县

쩌푸현
泽普县

예청현

마이가이티현
麦盖提县

웨푸후현
岳普湖县

가스현
伽师县

바추현
巴楚县
호탄지구
和田地区
호탄시>
和田市
호탄현>
和田县

모위현
墨玉

피산현
皮山

뤄푸현
洛浦县

처러현
策勒县

위톈현
于田

민펑현
民丰
창지 후이족 자치주
昌吉回族自治州

昌吉市
푸캉시>
阜康

후투비현
呼图壁县

마나쓰현
玛纳斯县

치타이현
奇台

지무싸얼현
吉木萨尔县

모리 카자흐 자치현
木垒哈萨克自治县
보얼타라 몽골 자치주
博尔塔拉蒙古自治州

博乐市
아라산커우시>
阿拉山口

징허현
精河

원취안현
温泉
바인궈렁 몽골 자치주
巴音郭楞蒙古自治州
코를라
库尔勒市
룬타이현
轮台县

위리현
尉犁县

뤄창현
若羌

체모현
且末

허징현
和静

허숴현
和硕县

보후현

옌치 후이족 자치현
焉耆回族自治县
키질수 키르기스 자치주
克孜勒苏柯尔克孜自治州
아르투슈시>
阿图什市
아커타오현>
阿克陶县

아허치현
阿合奇县

우차현
乌恰县
일리 카자흐 자치주
伊犁哈萨克自治州
쿨자
伊宁市
쿠이툰시
奎屯市

훠얼궈쓰시
霍尔果斯市

쿨자
伊宁县

훠청현

궁류현
巩留

신위안현
新源

자오쑤현
昭苏

터커쓰현
特克斯县

니러커현
尼勒克县
타청지구
地区

우쑤시>
乌苏市

사완현
沙湾

어민현
额敏县

퉈리현
托里县

위민현
裕民

허부커싸이얼 몽골 자치현
和布克赛尔蒙古自治县
알타이지구
阿勒泰地区
알타이시>
阿勒泰市
부얼진현>
布尔津县

푸윈현
富蕴

푸하이현
福海

하바허현
哈巴

칭허현

지무나이현
吉木乃县
자치구직할
현급행정구
스허쯔시>
石河子
아라얼시>
阿拉尔市

툼슈크
图木舒克市

우자취시
五家渠

베이툰시
北屯

톄먼관시
铁门关

솽허시
双河

커커다라시
可克达拉市

쿤위시
昆玉

후양허시
胡杨河

신싱시
新星
{{{-2 ※
부지급시
>
※ 한글 지명: 표준중국어 음차와 다를 경우 밑줄 표기.(예시로 우루무치는 표준중국어 음차, 우룸치(Ürümqi)는 위구르어 음차다.)
※ 한자 지명: 소수민족어의 한자 음차가 아닌 순중국어 지명은 밑줄 표기, 고대 국명은 기울임 표기.
표기: 신장생산건설병단 소속 도시.


파일:중국 국기.svg 중화인민공화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지구
阿勒泰(Ālètài地区(Dìqū | ئالتاي ۋىلايىتى
알타이지구 | Altai Prefecture

행정공서 소재지신장 위구르 자치구 알타이지구
알타이시 제팡루8호
新疆维吾尔自治区阿勒泰地区
阿勒泰市解放路8号
지역시베이
면적117,699.01km²
하위 행정구역1현급시 6현
시간대UTC+8
인문 환경
[ 펼치기 · 접기 ]
인구668,587명 (2020)
인구밀도6명/km²
민족 구성카자흐족 54.39% | 한족 38.55%
후이족 3.92% | 위구르족 1.44%
서기장옌(张岩)
전원아이딘 퇴레하누리 (카자흐족)
(艾丁·圖勒哈努利)
GRDP전체$49억 1,600만 (2019)
1인당$7,469 (2019)
상징구화없음
구목없음
차량번호新H
행정구역 약칭
행정구역코드654300
지역전화번호0901
우편번호834300
ISO 3166-2CN-XJ-43
홈페이지
1. 개요
2. 역사
3. 교통
4. 기타



1. 개요[편집]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 내 지구. 중국어로는 아러타이지구라고 부른다. 물론 지명 어원은 알타이 산맥이다. 인구는 2007년 기준 645,057명으로, 인구의 50%는 카자흐족, 40%는 한족, 나머지는 후이족, 위구르족, 몽골족, 둥샹족, 타타르족 등이다. 신장 내에서 위구르족 비율이 제일 낮은 지구로, 위구르족 비율이 고작 1.4%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서쪽으로 카자흐스탄, 동쪽으로 몽골의 바잉울기 아이막, 북쪽으로 알타이 공화국과 접해있다.

인근 타청지구와 함께 지급행정구의 신분을 가지지만 상위에 성급행정구가 아닌 지급행정구인 일리 카자흐 자치주에 소속되어있다.


2. 역사[편집]


고대 흉노가 거주하였던 지역이었으며 흉노 이후 선비족이 이 지역에서 거주하였으며 선비족이 건국한 유목제국인 유연이 이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하였다. 선비족이 물러난 이후에는 튀르크인돌궐 제국이 차지하였으며 당나라가 돌궐을 정벌한 이후 이 지역에 사타주도독부(沙陀州都督府), 대막주도독부(大漠州都督府), 금부주도독부(金附州都督府)를 설치하였다.

당나라가 물러난 이후 위구르 제국, 고창회골 등의 위구르인 국가가 세워졌다가 준가르를 거쳐 청나라가 이 지역을 장악하였으며 1929년에 아산전구(阿山专区)가 이 지역에 설치된다.

아산전구는 1954년에 알타이전구(阿勒泰专区)로 변경되었고 1971년에 알타이지구로 명칭이 변경된다. 그리고 1976년, 신장생산건설병단 소속 베이툰시(北屯市)가 알타이지구에서 독립한다.


3. 교통[편집]


관내에 알타이 쉐두 공항(阿勒泰雪都机场)이 존재하며, 국내선 전용이다. 철도역은 없으나 베이툰역을 통해 주민들이 철도 이용을 한다.


4. 기타[편집]


바이탁 복드 전투와 국공내전 당시 중국국민당 소속으로 참전한 카자흐 저항군 지도자인 오스만 바투르(Оспан батыр)가 이곳 출신이다.

동북아역사재단에서 신장 알타이지구의 역사와 문화를 다룬 서적 #을 출간하였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알타이 문서의 r10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알타이 문서의 r10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8 04:08:18에 나무위키 알타이지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