웬즈데이(시즌 1)

덤프버전 : (♥ 0)

파일:웬즈데이 로고(화이트).png
웬즈데이 시리즈
시즌 1
(2022)
시즌 2
(2024)


NETFLIX 시리즈
웬즈데이 (2022)
WEDNESDAY [1]
파일:넷플릭스 웬즈데이 국내 포스터.jpg
장르미스터리, 느와르, 범죄, 호러, 다크 판타지, 블랙 코미디, 학원
방송 기간2022년 11월 23일
방송 횟수8부작
총 러닝 타임389분 50초 (6시간 29분 50초)
촬영 기간2021년 9월 13일 ~2022년 2월
촬영 장소
파일:미국 국기.svg

제리코 시, 치텐든 군
제작MGM 텔레비전


크리에이터앨프리드 고프, 마일스 밀러
극본
제작팀 버튼
감독팀 버튼, 제임스 마샬, 간디아 몬테이로
음악대니 엘프먼 & 크리스 바콘
원작찰스 아담스, 아담스 패밀리
출연제나 오르테가
그웬돌린 크리스티
리키 린드홈 외
독점 스트리밍[[넷플릭스|
NETFLIX
]]
시청 등급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 15세 이상 관람가[2]
관련 링크파일:넷플릭스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
2. 공개 정보
2.1. 예고편
2.2. 포스터
6. 음악
6.1. OST
6.2. 미니앨범
7. 에피소드 목록
8. 흥행
9. 평가
10. 기타



1. 개요[편집]


파일:넷플 웬즈데이.jpg

MGM 텔레비전이 제작해 2022년에 공개된 미국의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 드라마 웬즈데이의 첫 번째 시즌이다.

팀 버튼이 제작을 맡고 일부 에피소드를 연출 했으며[3] 팀 버튼 영화의 OST를 주로 맡았던 대니 엘프만도 참여했다.

2023년 1월 6일, 시즌 2 제작이 확정되었다.


2. 공개 정보[편집]



2.1. 예고편[편집]


해외 티저 예고편국내 티저 예고편
해외 공식 예고편국내 공식 예고편[4]
오프닝 영상네버모어 소개 영상


2.2. 포스터[편집]




3. 등장인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웬즈데이(드라마)/등장인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설정[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웬즈데이(드라마)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줄거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웬즈데이(드라마)/줄거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 음악[편집]



6.1. OST[편집]


WEDNESDAY
(Original Series Soundtrack)
파일:웬즈데이 사운드트랙.jpg
발매일: 2022.11.23.
트랙제목아티스트재생시간듣기비고
1Wednesday Main Titles대니 엘프먼1:09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Thing Follows Rowen대니 엘프먼 & 크리스 바콘2:16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Morticia and Wednesday대니 엘프먼3:09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Secret Library2:33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Scorpion Flashback2:07파일:유튜브 아이콘.svg
6The Monster크리스 바콘2:26파일:유튜브 아이콘.svg
7Family Day대니 엘프먼 & 크리스 바콘1:18파일:유튜브 아이콘.svg
8Burning Outcasts4:50파일:유튜브 아이콘.svg
9Wednesday on the Case3:31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0Dress Shopping2:00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1Gomez Accused of Murder1:50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2A Dove and a Raven1:56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3Gomez’ Story2:46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4A More Than Adequate Father1:33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5It’s A Snood크리스 바콘0:48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6Morticia’s Yearbook대니 엘프먼 & 크리스 바콘1:28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7Devious Plan1:29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8I Will Find You2:56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9Searching the House5:19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The Monster Is Here!크리스 바콘3:04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1Uncle Fester0:54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2Annoying Distractions대니 엘프먼 & 크리스 바콘3:23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3Fester and Wednesday Stakeout크리스 바콘1:28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4Let’s Roll0:29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5Stabbed in the Back대니 엘프먼 & 크리스 바콘3:28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6First Kiss대니 엘프먼 & 크리스 바콘1:34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7Wednesday Packs Up3:33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8Crackstone Rises2:43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9Goody Heals Wednesday1:55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0Enid To The Rescue3:22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1The Hug3:36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2The End…?3:06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3Wednesday End Titles대니 엘프먼1:30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4Meet Wednesday0:56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5Fencing대니 엘프먼 & 크리스 바콘1:46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6Secret Symbols1:46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7Poe Cup Fanfare크리스 바콘1:14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8Poe Cup Race대니 엘프먼 & 크리스 바콘4:57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9One More Chance1:27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0A Safe Cracking Thing1:36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1Nightshades대니 엘프먼1:52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2Wednesday and Pugsley대니 엘프먼 & 크리스 바콘0:57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3Xavier and Wednesday2:07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4Morticia’s Story3:26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5The Gates Mansion2:13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6Roomies No More0:53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7Crackstone Defeated2:44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8Wednesday Addams (End Titles)대니 엘프먼1:34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전체 재생목록


6.2. 미니앨범[편집]


WEDNESDAY
(Original Series Soundtrack) - EP
파일:wednesdayEP.jpg
발매일: 2022.11.30.
트랙제목아티스트재생시간듣기비고
1Paint It BlackWednesday Addams2:22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Don’t StopNevermore Academy Orchestra1:00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Four Seasons – Winter: I. Allegro Non Molto (Vivaldi)0:56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Concerto in E Minor for Violoncello and Orchestra (Elgar)1:36파일:유튜브 아이콘.svg

Wednesday (Original Soundtrack from the Netflix Series)
파일:Wednesday Original Soundtrack from the Netflix Series.jpg
발매일: 2023.07.21.
트랙 제목아티스트 재생시간 듣기 비고
1Paint It Black웬즈데이 아담스2:22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Goo Goo MuckThe Nevermores3:04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Nothing Else MattersNevermore Academy Orchestra4:46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Don't Stop1:00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Four Seasons – Winter: I. Allegro Non Molto (Vivaldi)0:56파일:유튜브 아이콘.svg
6Concerto in E Minor for Violoncello and Orchestra (Elgar)1:36파일:유튜브 아이콘.svg
7Wednesday Main Titles대니 엘프먼1:09파일:유튜브 아이콘.svg


7. 에피소드 목록[편집]


회차제목공개일러닝 타임각본감독
1Wednesday's Child Is Full of Woe
수요일의 아이는 울적하다
2022. 11. 23.59분알프레드 고프
마일스 밀러
팀 버튼
2Woe Is the Loneliest Number
가장 외로운 사람
48분
3Friend or Woe
친구냐 고독이냐
48분케일라 알퍼트
4Woe What a Night
우울하고 멋진 밤
49분
5You Reap What You Woe
불행 심은 데 불행 난다
52분에이프릴 블레어Gandja Monteiro
6Quid Pro Woe
못되게 굴 때 생기는 일
50분
7If You Don't Woe Me by Now
아직도 나를 모른다면 너의 손해
47분알프레드 고프
마일스 밀러
맷 램버트
제임스 마샬
8A Murder of Woes
어둠의 무리
52분알프레드 고프
마일스 밀러

  • 회차의 제목의 모두 'Woe'가 들어가며, 전래 동요 가사에서 따온 1화 제목을 제외하면 전부 발음이 비슷한 단어를 치환한 언어유희이다. 2화 제목부터 각각 One, Foe, Oh, Sow, Quo, Know, Crow를 치환한 것.


8. 흥행[편집]


전 세계 넷플릭스 시청수 순위
[ 펼치기 · 접기 ]
작품 공개 후 91일간 시청수를 집계한 상위 10위
영화부문TV부문
순위제목시청수순위제목시청수
1위레드 노티스2억 3090만 회1위오징어 게임: 시즌 12억 6520만 회
2위돈 룩 업1억 7140만 회2위웬즈데이: 시즌 12억 5210만 회
3위애덤 프로젝트1억 5760만 회3위기묘한 이야기 41억 4070만 회
4위버드 박스1억 5740만 회4위다머1억 1560만 회
5위그레이 맨1억 3930만 회5위 브리저튼: 시즌 11억 1330만 회
6위오늘부터 히어로1억 3730만 회6위퀸스 갬빗1억 1280만 회
7위내 이름은 마더1억 3640만 회7위종이의 집: 파트 41억 600만 회
8위나이브스 아웃: 글래스 어니언1억 3630만 회8위 뤼팽: 파트 19950만 회
9위익스트랙션1억 3570만 회9위종이의 집: 파트 59920만 회
10위익스트랙션 21억 3490만 회10위나이트 에이전트: 시즌 19820만 회
출처: Netflix Top 10


전 세계 넷플릭스 시청 시간 순위 (~ 2023.06.11)
[ 펼치기 · 접기 ]
작품 공개 후 28일간 시청 시간을 집계한 상위 10위
(~ 2023년 6월 11일까지 기준, 이후 조회수 순위로 집계 변경)
영화부문TV부문
순위제목시청 시간순위제목시청 시간
1위레드 노티스3억 6402만 시간1위오징어 게임: 시즌 116억 5045만 시간
2위돈 룩 업3억 5979만 시간2위기묘한 이야기 413억 5209만 시간
3위버드 박스2억 8202만 시간3위웬즈데이: 시즌 112억 3715만 시간
4위나이브스 아웃: 글래스 어니언2억 7973만 시간4위다머8억 5622만 시간
5위그레이 맨2억 5387만 시간5위종이의 집: 파트 57억 9223만 시간
6위내 이름은 마더2억 3407만 시간6위 브리저튼: 시즌 26억 5626만 시간
7위애덤 프로젝트2억 3316만 시간7위나이트 에이전트: 시즌 16억 2697만 시간
8위익스트랙션2억 3134만 시간8위 브리저튼: 시즌 16억 2549만 시간
9위퍼플 하트2억 2869만 시간9위종이의 집: 파트 46억 1901만 시간
10위언포기버블2억 1470만 시간10위기묘한 이야기 35억 8210만 시간
출처: Netflix Top 10넷플릭스 분기별 실적 보고서



넷플릭스 글로벌 1위 TV
2022년 46주차2022년 47주차2022년 48주차
더 크라운: 시즌 5웬즈데이: 시즌 1웬즈데이: 시즌 1
2022년 47주차2022년 48주차2022년 49주차
웬즈데이: 시즌 1웬즈데이: 시즌 1웬즈데이: 시즌 1
2022년 48주차2022년 49주차2022년 50주차
웬즈데이: 시즌 1웬즈데이: 시즌 1웬즈데이: 시즌 1
2022년 49주차2022년 50주차2022년 51주차
웬즈데이: 시즌 1웬즈데이: 시즌 1웬즈데이: 시즌 1
2022년 50주차2022년 51주차2022년 52주차
웬즈데이: 시즌 1웬즈데이: 시즌 1웬즈데이: 시즌 1
2022년 51주차2022년 52주차2023년 1주차
웬즈데이: 시즌 1웬즈데이: 시즌 1지니 & 조지아: 시즌 2
Netflix Top 10 집계 기준

넷플릭스 시청 시간
날짜전체 순위영어 순위시청 시간
2022-11-21(월) ~ 2022-11-27(일)1위1위341,230,000시간
2022-11-28(월) ~ 2022-12-04(일)1위1위411,290,000시간
2022-12-05(월) ~ 2022-12-11(일)1위1위269,670,000시간
2022-12-12(월) ~ 2022-12-18(일)1위1위173,960,000시간
2022-12-19(월) ~ 2022-12-25(일)1위1위118,540,000시간
2022-12-26(월) ~ 2023-01-01(일)1위1위103,960,000시간
2023-01-02(월) ~ 2023-01-08(일)4위3위81,340,000시간
2023-01-09(월) ~ 2023-01-15(일)3위3위57,820,000시간
2023-01-16(월) ~ 2023-01-22(일)4위3위45,740,000시간
2023-01-23(월) ~ 2023-01-29(일)3위2위35,860,000시간
2023-01-30(월) ~ 2023-02-05(일)5위3위28,230,000시간
2023-02-06(월) ~ 2023-02-13(일)4위3위22,650,000시간
2023-02-13(월) ~ 2023-02-19(일)10위5위20,240,000시간
2023-02-20(월) ~ 2023-02-26(일)14위9위18,950,000시간
2023-02-27(월) ~ 2023-03-05(일)14위9위16,410,000시간
2023-03-13(월) ~ 2023-03-19(일)12위8위14,990,000시간
2023-03-20(월) ~ 2023-03-26(일)14위9위13,400,000시간
2023-03-27(월) ~ 2023-04-02(일)11위8위12,180,000시간
2023-04-10(월) ~ 2023-04-16(일)13위10위10,890,000시간
2023-04-17(월) ~ 2023-04-23(일)15위10위9,500,000시간
공개 후 28일간 시청 시간1,237,150,000시간
누적 시청 시간1,806,850,000시간
Netflix Top 10 집계 기준

2022년 11월 24일
오픈 첫 날 82개국에서 1위로 진입을 하였고 플릭스패트롤기준 871점을 달성했다.#[5]

2022년 11월 21일 ~ 2022년 11월 27일
첫 주 시청 시간 3억 4123만 시간을 기록해 역대 넷플릭스 드라마 공개 첫 주 가장 높은 시청 시간을 달성했다. 또한 기묘한 이야기 4와 동일하게 83개국에서 1위를 달성했다고 공식 발표했다.#[6]

2022년 11월 28일 ~ 2022년 12월 4일
2주 차에 4억 1129만 시간을 기록하며 영어권에서는 최초로 주간 4억 시청 시간을 넘었으며 비영어권까지 포함시켜도 오징어 게임 이후로 처음이다. 그리고 2주 차만에 넷플릭스 역대 TV 프로그램 흥행에서 5위를 달성하면서 엄청난 흥행을 일으키고 있다.

2022년 12월 7일
공개된 지 2주가 지났음에도 플릭스패트롤에서 880점대에서 내려가지 않고 계속 유지하며 압도적 흥행을 이어나가고 있는 중이다. 또한 이 이후에 공개될 드라마 기대작이 없는 상태로 2022년에는 기묘한 이야기 4와 함께 가장 흥행된 드라마 시리즈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2022년 12월 5일 ~ 2022년 12월 11일
3주 연속 1위를 달리며 3주차에 269,670,000시간을 기록했고 총 10억 시간을 돌파했다. 10억 시간을 기록한 작품으로는 역대 3번째이다.

2022년 12월 12일 ~ 2022년 12월 18일
4주 연속 1위를 기록하면서 총 11억시간을 돌파했다.

2022년 12월 19일 ~ 2022년 12월 25일
넷플릭스 최초로 5주 연속 TV 전체 순위 1위 기록.[7] 최총 28일 공식 기록 1,237,120,000시간 역대 TV 순위 3위 달성.


9. 평가[편집]










[[IMDb|

파일:IMDb 로고.svg
]]
( XXX위{{{-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20XX-XX-XX 기준
)

























2000년대부터 슬럼프에 빠져 부진하던 팀 버튼 감독이 간만에 과거의 폼을 되찾고 재미있는 작품을 만들었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팀 버튼의 감성과 아담스 패밀리의 분위기가 자연스럽게 어울린다. 네버모어 학교 또한 미스 페레그린과 이상한 아이들의 집해리 포터 시리즈호그와트 톤이 적절하게 섞인 느낌이다. 원작에 대한 오마쥬도 쏠쏠한 편.[8]

작품 자체보다 캐릭터성이 더 화제인 작품인데, 주인공 웬즈데이 역의 제나 오르테가와 이니드 역의 엠마 마이어스의 연기력이 대호평을 받으며 두 캐릭터가 명실상부 작품을 캐리했다는 것에 이견이 없다. 웬즈데이는 항상 포커페이스를 유지하는 만큼 모든 감정 표현을 눈빛으로 해야 하는데, 제나 오르테가는 시청자가 한 눈에 웬즈데이의 감정을 알 수 있을 정도로 훌륭한 눈빛 연기를 해냈고, 엠마 마이어스는 웬즈데이에 완전히 대비되는 발랄하고 천진난만한 10대 소녀를 완벽히 연기해냈다.[9][10]

다만 후반부로 갈수록 학교 내에서의 케미는 줄어들고 사건 추리에 집중하는 넷플릭스식 스토리 전개는 아쉽다는 평도 있다.[11] [12]

떡밥을 많이 뿌려놓고 회수하지 못했다는 비판도 있다. 다만 결말에서 드러나지 않은 흑막을 암시해 사실상 시즌2를 예고하고 끝났으므로 여기서 남은 떡밥이 회수될 수도 있다.

[회수하지 못한 복선들]
  • 제이비어 소프는 어떻게 하이드의 환영을 보게 되었는가?
제이비어 소프는 어느 시점부터 하이드와 영혼이 연결되어, 직접 본 적도 없는 하이드의 모습을 여러 점 그림으로 남기게 되고, 이는 웬즈데이에게 소프가 괴물이라는 의심을 받게 되는 근거가 된다. 소프는 그림을 자의대로 움직일 수 있는 데 반해, 하이드 그림은 자신의 의지와 상관 없이 움직이며, 심지어 소프 자신을 공격하기도 한다. 소프는 이 문제를 킨벗 박사에게 털어놓기도 하지만 어떤 이유로 그런 현상이 일어났는지에 대해서는 8화가 끝나는 시점까지도 실마리가 주어지지 않는다.

  • 모닝송
비앙카의 엄마 가브리엘과 새아빠가 관련된 사이비 종교 + 다단계 조직인 모닝송은 다음 시즌이 제작된다면 크랙스톤과 게이츠 일가에 이은 새로운 빌런으로 등장할 확률이 높다.

  • 스토커
작 중에서 하이드와 로렐 게이츠 하고는 별도로 웬즈데이의 행적을 지켜보고 있는 누군가의 존재가 나왔는데, 이 사람은 8화 마지막에서도 타일러와 제이비어 하고 같이 있던 모습을 사진으로 찍어서 웬즈데이에게 보내왔다. 시즌 2가 나온다면 시즌 2의 빌런중 하나가 될 가능성이 있다.



10. 기타[편집]


  • 1화에 이니드가 듣는 노래가 'Can't stop'이라는 한국 노래인데[13] 조악한 음질의 유튜브 영상이 전부인데다 원작자로 소개된 리듬킹도 거의 알려지지 않은 인물이고 앨범 커버 디자인은 한자가 섞인 2010년경의 분위기라서 기괴함을 증폭시켰다.[14] 댓글창에서 뒤늦게 상황을 인지한 원작자가 12월 1일 자기 개인 유튜브 채널에 오리지널 사운드 트랙을 업로드했다.# 개인적으로 작업한 노래 사용원을 해외 업체에 판매했는데, 그게 이 드라마로 간 것 같다고 밝혔다.

  • 15세 관람가치고는 고어한 장면이 자주 등장한다. 다만 기존의 팀 버튼 영화보다 약간 더 잔혹할 뿐이지, 적절하게 청불을 받지 않도록 수위를 조절했기 때문에 미성년자가 충격을 받을 정도의 고어씬은 전혀 없다.[15]

  • 작중 에드거 앨런 포와 관련된 요소들, 팀 버튼 감독의 크고작은 취향[16]과 오마주들, 아담스 패밀리실사영화 시리즈에서 따온 요소들[17]이 적지 않게 등장한다.


  • 본래 락커였던 대니 엘프먼의 영향인지 종종 록 음악이 스트링으로 편곡되어서 쓰인다. 1화에서 웬즈데이가 옥상에서 첼로로 연주하던 곡은 예고편에서도 쓰인 롤링 스톤즈Paint It Black이고 3화의 엔딩에서는 메탈리카의 Nothing Else Matter[19]가 편곡되어 쓰였다.

  • 인터뷰에 따르면 배우 제나 오르테가 자신의 성격도 웬즈데이처럼 무뚝뚝하고 어두운 면이 있으며, 어릴 적엔 외형적으로 웬즈데이를 닮았다는 소리도 들었다고 한다. 그래서 그런지 팀 버튼 감독은 제나 오르테가를 보자마자 웬즈데이로 낙점했다고 하며, 화상 대화를 통해 바로 캐스팅했다고 한다.



  • 작중에 웬즈데이 아담스가 무도회에서 흐느적리거며 기괴하게 추는 춤은 팀 버튼 감독의 대표작 중 하나인 영화 비틀쥬스에서 등장인물들이 유령에 단체로 빙의되어 추는 춤을 오마쥬 한것으로 보인다. 제나 오르테가가 직접 안무를 만들었다고.

  • 틱톡유튜브쇼츠에서 '웬즈데이 챌린지'가 2022년 연말에 흥하고 있다. 웬즈데이의 기괴한 춤을 레이디 가가2집 수록곡 Bloody Mary를 스피드업한 버전으로 추는 것. 사실 가가 팬들만 알던 곡일 뿐이었는데 웬즈데이 챌린지, 패러디 영상에 이 노래가 쓰이면서 역주행까지 거쳤고, 이에 가수 본인이 직접 등판해 챌린지에 참여하기도 했다. # 그리고 시즌 2 발표 영상 BGM으로 사용되면서[20] 드라마의 정식 OST도 아니었던 곡이 사실상 웬즈데이 대표곡이 되어버렸다.[21]

[1] 트레일러에는 Wednesday Addams라고 표기되어 있다.[2] 등급분류 결정내용: 이 작품은 <아담스 패밀리>의 캐릭터 웬즈데이가 기숙학교인 네버모어 아카데미에 보내지면서 일어나는 일을 다룬 공포 코미디 시리즈로, 전체적으로 주제, 폭력성, 공포 항목에서 15세 이상이 수용할 수 있어 15세 이상 관람가 등급으로 결정함.[3] 사실 팀 버튼은 예전에 아담스 패밀리의 실사 영화 1편의 감독직을 제의받았으나 거절했고, 이후 2010년에 일루미네이션 엔터테인먼트과 함께 스톱 모션 장편 애니메이션으로 리부트할 계획도 추진했지만 안타깝게 무산되었다. 팀 버튼 감독의 아담스 패밀리 시리즈 작품의 연출이 30년만에 드디어 이루어진 셈.[4] 사용된 음악은 롤링 스톤스Paint It Black을 편곡한 곡이다. 참으로 적절한 선곡.[5] 플릭스패트롤 사이트 오류로 24일이 아닌 25일에 기록되었다.[6] 둘다 아이러니하게도 한국에서만 1위를 못했다. 한국에서 국산 시리즈의 흥행이 압도적이기 때문이다.[7] 오징어 게임기묘한 이야기 4 4주 연속 1위 [8] 서재의 까마중회의 비밀공간에 들어갈 시의 암호가 핑거 스냅 두번인데, 이게 원작 시트콤의 오프닝곡을 오마주.[9] 이게 정말 어려운 연기인 게, 이런 발랄하고 천진난만한 소녀는 자칫하면 너무 오버스러워서 시청자들에게 거부감을 느끼게 하여 비호감 캐릭터가 되기 쉽다. 실제로 작품 초반에는 이니드의 발랄한 모습이 비호감이라고 의견을 내는 사람들도 있었다.[10] 특히 팬들은 웬즈데이가 이니드 옆에 있을 때 평소보다 좀더 감정적인 느낌이 든다고 한다.[11] 이게 문제가 되는 것은 초반부에 캐릭터들끼리 갈등 구조를 잡아놨음에도 작품 후반이 되면 어물쩡 갈등이 다 해결되어 있거나 갈등 구조 자체를 어물쩡 넘어가 버리기 때문이다. 초반에 앙숙이였다 갑자기 친해진 비앙카와 웬즈데이의 관계가 대표적. 일부는 비앙카가 일련의 사건을 겪으면서 유해졌기 때문에 관계가 풀어진 것이라 주장하지만, 정작 중요한 당사자인 비앙카와 웬즈데이가 서로의 앙금을 푸는 장면은 한 컷도 나오지 않았다. 해봤자 댄스 파티에서 몇 마디 나누면서 서로의 본심을 약간씩 털어났다는 정도. 웬즈데이와 관계 없이 비앙카 혼자 사건을 겪으면서 유해진 것이기 때문에 비앙카가 웬즈데이의 생일 파티에 웃으면서 참여한 것에 대해 웬즈데이는 "너는 왜?"라는 반응이 나와야하는게 당연했다. 나와 앙숙이던 친구가 갑자기 내가 좋다고 다가와서, 그 사실 하나만으로 나도 다 잊고 걔가 좋아진 상황인 것. 비앙카보다 심각한 경우로는 제이비어와의 관계를 들 수 있다. 웬즈데이(와 손힐)에 의해 누명을 쓴 뒤 모든 인생을 망쳤다고 분노에 차있는 상황에서, 씽이 구하러 와줬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바로 웬즈데이를 도우러 가는 부분은 클라이막스 연출을 위한 급전개로 지적받고 있다.[12] 하지만 비앙카와 웬즈데이가 앙숙이라고 볼 근거는 없다. 갈등 구조라고 해봤자 기껏해야 웬즈데이가 처음 입학해서 비앙카에게 대뜸 진검 펜싱 대결을 신청했다가 진 거, 식물 수업에서 비앙카보다 답변을 더 잘한 것, 포 컵 대회에 대타로 들어가서 이니드 팀이 우승하는데 공헌한 것 밖에 없는데, 이걸 앙숙 관계로 정의한다면 세상을 정말 피곤하게 사는 것이다. (그렇게 따지면 이니드와 비앙카도 앙숙이어야 하고, 포 컵 대회에 참가한 4 팀도 서로 다 앙숙이어야 한다.) 그냥 미묘한 라이벌 구도에다 웬즈데이가 네버모어 아카데미를 겉도는 이방인 같은 느낌에 불과했고, 따라서 댄스 파티에서 서로 본심을 털어넣는 정도로 갈등이 봉합되는 것은 별로 무리가 없다. 거기에 이들이 앙숙관계라고 해도 그 관계의 깊이 역시 해리포터 시리즈의 앙숙 관계들처럼 법만 없었으면 서로 죽이고 다녔을 정도로 험악한 것도 아니다.[13] "나 이렇게 내 맘 숨기고 있어" 라는 가사가 제대로 들린다.[14]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유명 게임 브롤스타즈의 공식 로어인 WKBRL 라이브에서 송출된 음악으로, 커버 디자인 또한 WKBRL의 사진일 뿐이다.[15] 팀 버튼은 의외로 괴짜 이미지와는 달리 고어 장면을 잘 넣지 않는 감독으로 유명하다.[16] 작중 등장하는 괴물 '하이드'의 모습이 팀 버튼 감독의 작품들에서 등장하는 인물들과 비슷하다. 한눈에 봐도 감독의 스타일대로 디자인되었음을 알 수 있는 부분.[17] 예를 들어, 순례자 월드에서 웬즈데이가 퍼지를 파는 일을 배당받자 독일어로 "퍼지는 이 테마파크가 주제로 하는 시기보다 248년 뒤에 나온 음식이며 이 음식을 판 수익금은 한심한 미국사 미화를 돕는 데 쓰인다" 며 한입 하겠느냐고 하는 부분은 아담스 패밀리 실사영화 2편에 나오는 연극에서 포카혼타스 역을 맡았던 웬즈데이가 무대를 불태우며 한, 미국 원주민에 대한 대우를 비판하는 대사가 있다는 부분에서 따온 것으로 추정된다.[18] 이런 이야기에서 부모님 강압으로 억지로 기숙학교에 입학하여 학교를 탈출하려 하나 정을 붙이고 정착하는 문제아 주인공은 클리셰일 정도로 흔하다.[19] 메탈리카답지 않은 잔잔한 발라드 곡으로, 메탈리카의 5집 Black Album에 수록된 곡이다.[20] 심지어 이 영상에는 댄스 장면과 함께 웬즈데이 본인의 내레이션으로 "나는 수백만 번이나 (댄스 장면의) 모방을 당했다"라는, 대놓고 제4의 벽을 깨는 말까지 나온다.[21] 덕분에 해당 곡은 앨범 발매 10여년만에 빌보드 41위까지 오르는 역주행을 거쳤다. 노래가 상당히 어둡고 매니악하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엄청난 성적.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아담스 패밀리 문서의 r25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아담스 패밀리 문서의 r25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2-09 18:54:35에 나무위키 웬즈데이(시즌 1)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