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운선(무인시대)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배역의 실존인물에 대한 내용은 자운선 문서
자운선번 문단을
자운선#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
2. 극중 행적



1. 개요[편집]


KBS 대하드라마 <무인시대>의 등장인물. 실존인물 자운선을 바탕으로 한 배역이다. 배우 류현경 (소년기: 선지현 분)가 맡았다.


2. 극중 행적[편집]


최충헌을 위해 일하는 기녀. 양수척 출신이다.

최충헌이 미인계의 도구로 쓰기 위해 고향에서 뽑아올렸다. 홍련화의 밑에서 기생으로서 성장, 후일 이의민의 차남 이지영의 애첩으로서 미인계를 성공시킨 후[1] 최충헌의 곁으로 돌아가며, 이의민의 죽음으로 떠날 때임을 직감한 홍련화에게 기방을 물려받기도 한다. 이 과정에서 스승이자 어머니의 연을 맺었던[2] 홍련화를 가차없이 비난하는 모습이 인상적이다.

그러나 아량이 넓은 홍련화는 비난에 아랑곳하지 않고 자운선에게 기방을 인수인계하며 '뜻이 깊은 남자를 연모하는 것은 위험한 일이니 너도 조심해라' 라는 뼈 있는 조언을 주는데, 후일 최충헌에게 토사구팽당하면서 그것이 실제로 일어나게 된다.

아이러니하게도 자운선은 그보다 먼저 최충헌에게 다른 이를 가차없이, 심지어 피를 나눈 형제일지라도 베어릴 수 있는 냉혹한 인물이라고 평가한 바 있었고, 최충헌 또한 만약 자신이 그렇게 냉혈한이라고 한다면, 너(자운선) 또한 효용 가치가 다 되게 된다면 버림 받을 것이라는 경고를 한 바 있었는데, 자신은 그것을 잘 알기에 그런 일을 절대 당하지 않을 것이라고 자신있게 되받아쳤던 적이 있었다. 하지만, 정작 진정한 의미에서 토사구팽[3] 당한 이는 최충헌 경고 그대로 그녀 자신이 되고 말았다.

희종 즉위 이후 홍련화가 선평왕후의 부름을 받아 상경할 때 일시 은퇴하였다가, 희종이 최충헌을 도모하려다 실패한 이후 이를 조력했던 홍련화가 다시 물러나면서 복귀하였고, 이후 자신을 학대하다 버린 부모에게 복수하듯 양수척들을 핍박[4]하는데, 거란족의 침범 당시 양수척들이 불만 세력[5]으로 성장하자 최충헌이 그들을 무마하기 위해 자운선을 토사구팽하게 된다. 결국 고향으로 내려가다가 불만을 품었던 양수척들에게 발각, 그대로 그 자리에서 돌팔매에 린치를 당하면서 사망했고,[6] 사실상 최충헌을 보좌하던 사람 가운데서는 가장 마지막으로 죽임을 당한 사람이 되고 말았다.

극중 언급에 의하면 양수척들에게 인간 대접도 받지 못하고 비참하게 살았다고 한다. 그 때문인지 최충헌과 홍련화는 어린 시절 그녀의 눈에 세상에 대한 원망과 증오가 서려 있다고 평가했으며 그 때문에 홍련화는 그녀에게 기생 교육을 하고 싶어하지 않았으나, 원래 용도가 미인계로 쓸 도구였던만큼 최충헌의 명에 따라 훈육을 하게 된다.

의외로 자운선이 이의민을 유혹할려다 거부당한 적이 있었다. 김사미의 난이 벌어졌을 때 여러 의미로 마음이 심란했던 이의민은 홍련화와 같이 술을 마시며 마음의 안정을 찾고자 했는데, 이때 자운선은 이의민을 유혹하여 그와 이지영 간의 내분을 일으키고자 했다. 그러나 홍련화에게서 마음의 위로를 받아 마음의 안정을 찾고자 한 것이지[7] 향락을 즐기고자 한 게 아니었던 이의민은 일체의 망설임도 없이 유혹을 거부하고는 자운선을 방에서 내보낸다.[8] 이 때 무언가 불길함을 느낀 바가 있었는지, 이의민은 홍련화에게 자운선은 남자의 마음을 흐리는 경국지색이니 절대로 기방에 들여서 고관대작들을 접대하게 하지 말라고 경고를 한다.

실제로 이의민이 경국지색이라 칭해왔고, 최충헌과 우봉 최씨 가문에 무서우리만큼 충성했던 여인이었던만큼, 최충헌에게 했던 여러가지 조언들 중에는 실로 무서운 조언들이 많았고, 실제로 대부분은 그녀의 조언 및 예언대로 움직이면서, 최충헌 가문에 어마무시한 긴장감을 불어넣은 인물이기도 한데, 대표적인 것들 몇 가지만 들면 아래와 같다.

  • 홍련화를 내치듯이 황제도 내치십시오.
  • 장군께서는 천하 권세를 위해서라면, 피를 나눈 형제 분들도 베어 버릴 것입니다.
  • 장군께서 조심하셔야 할 인물은 장자가 아니오라, 그의 장인이십니다.
  • (아버지로부터 황도를 떠나 있으라는 지시를 받아 내려온 최우에게 한 말) 장군께서 황도로 돌아가신다면, 가친보다는 아우분께 마음을 쓰셔야 할 것입니다. 아우분도 가친의 핏줄을 이어받았으니, 언젠가는 다투셔야 할 것입니다.

[1] 미인계를 위해 관계를 가졌다고는 하나 이지영에게 정이 아주 없던 것은 아닌지, 이지영이 최후를 맞이하는 순간 눈물을 흘리는 모습을 보여주었다.[2] 딱히 자운선을 주목해서라기보다, 기생 교육을 받는 자와 훈육을 총감독하는 자의 관계가 곧 모녀 관계가 되는 것으로 묘사된다.[3] 최충헌을 그 동안 보좌해 왔던 최충수, 만적, 박진재, 그리고 홍련화 등은 처음에는 최충헌이 대의를 이룰 것이라 생각해서 최충헌을 따랐지만, (본인이 권세를 누리려 했던 동생 최충수는 예외이지만,) 점차 권세에 타락해 가는 최충헌에게 실망해서 스스로 최충헌과 적이 되어버린 사람들인데 반해, 자운선은 유일하게 마지막까지 최충헌 뿐만 아니라, 우봉 최씨가문의 (심지어 자기 양어머니인 홍련화마저도 적대시했을 정도로) 절대적 충성을 했던 사람이었는데도, 최충헌이 권세를 유지하기 위해 가차없이 자운선을 직접 버렸다는 점에서 최충헌 일족들 가운데 유일하게 최충헌에게 토사구팽을 당한 사람이 되고 말았다.[4] 양수척들에게 큰 연못을 파게 하고, 모두 다 팠으면 다시 메우라고 하는 등의 거의 갑질에 가까운 명령을 하기에 이른다.[5] 거란족들이 고려와의 싸움에서 승승장구하는데 고려의 지리와 성곽 등의 지리적 지식을 갖고 있던 것이 승리의 원동력이었고, 이것을 양수척들이 제공해 준 것이라 한다. 이후 양수척의 일부를 잡아다가, 문초한 결과 자운선에 대한 분노로 인한 것이라 자백했고, 최충헌의 부장들은 자운선을 양수척에게 내다 바치는 것으로 그들의 분노를 무마시킬 수 있다고 간언한 것이다.[6] 더욱 놀라운 것은 이들 중에 어린아이들까지 돌을 던지고 있었다![7] 이의민은 원래 부용 부인에게 정신적으로 의존하면서 힘들 때마다 마음의 위로를 받고는 했는데, 부용이 떠난 후에 아란은 야심만 가득하기에 그 역할을 전혀 해주지 못하고 오히려 스트레스를 주로 안겨주었다. 그러다 보니 홍련화를 통해서 정신적으로 위로를 받고 의지하게 됐고, 홍련화는 그런 이의민의 악명과 달리 어린아이 같이 약한 모습에 진심으로 반해버리고 만다.[8] 최충헌은 당연한 것이라면서 이의민은 홍련화의 따뜻한 마음에 위로를 받고자 하는 것이니 자운선의 유혹이 거부당한게 이상하지 않다고 평가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13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10;"
, 10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13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10;"
, 10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5 09:27:33에 나무위키 자운선(무인시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