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견

덤프버전 :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개국공신

[ 펼치기 · 접기 ]
1392년 8월 20일 태조에 의해 책록
좌명개국공신 (1등)
김사형
남 은1,2
남 재
배극렴
오몽을1
이 제1, 2
이지란
이 화
장사길
정도전1, 3
정 총
정 탁
정희계
조 박4
조인옥
조 준
김인찬5
이방간6, 7
이방원6
이방의6
협찬개국공신 (2등)
박 포8
유 창
윤 호
이민도
장 담9
정용수10
조 기
조 반
조영규
조 온
홍길민
조 견11
황희석12



익대개국공신 (3등)
고 여
김 균
김 로
손흥종13
심효생1
안경공
오사충
유원정
이 근1
이백유
이 부
이 서
이 직14
장지화1
함부림
황거정13
민여익11
임언충11
장사정11, 15
조영무11
한상경11
한 충11


1 1409년 1차 왕자의 난으로 인한 제명
2 1421년 태종 때 복권
3 1865년 고종 때 복권
4 1409년 친척의 아들을 정종의 아들로 속인 혐의로 인한 제명
5 1392년 9월 16일 태조에 의해 책록
6 1398년 2월 15일 정종에 의해 책록
7 1416년 2차 왕자의 난으로 인한 제명
8 1400년 2차 왕자의 난으로 인한 제명
9 1422년 2차 왕자의 난으로 인한 제명
10 1418년 조사의의 난으로 인한 제명, 1437년 세종 때 복권
11 1392년 9월 27일 태조에 의해 책록
12 1392년 11월 19일 태조에 의해 책록
13 1411년 이숭인, 이종학을 죽인 혐의로 인한 제명
14 1415년 민무회, 민무휼의 옥으로 인한 제명, 1422년 세종 때 복권
15 1417년 회안군의 첩과 간통한 혐의로 인한 제명




조선 개국공신
평성부원군(平城府院君) 평간공(平簡公)
조견
趙狷

출생
1351년(충정왕 3)
사망
1425년(세종 7)
봉호
평성부원군(平城府院君)
시호
평간(平簡)
본관
평양 조씨
이름
윤(胤) → 견(狷)

거경(巨卿), 종견(從犬)

송산(松山)

1. 개요
2. 생애
3. 대중매체



1. 개요[편집]


조선개국공신으로 형인 조준과 함께 이성계를 추대하였으며, 세종 때까지 여러 벼슬을 지냈다.

조선왕조실록에서는 형과 같이 조선의 건국에 참여하였으나, 조선 중기 일부 사서 및 야사에서는 형과 달리 고려의 충절을 지키는 신하로 알려지기도 하였다.

여말선초 배경을 한 사극에서는 후자를 채택하여 고려에 대한 충절을 지키는 절개있는 신하로 그리는 경우가 많다.


2. 생애[편집]


1351년, 판도판서 조덕유와 오씨 사이에서 6남 중 막내로 출생하였다.

형들과 달리 유년기에 출가하여 승려 생활을 하다가 30대 초반에 환속하여 벼슬길에 올랐으며, 몇년 지나지 않아 고려가 멸망하고 조선이 건국되자 조준과 함께 이성계를 추대하여 개국공신 2등에 책록이 된다.

태조 시기에는 경상도 도절제사, 지중추원사를 정종 시기에 삼사우복야 등을 역임 하였으며, 태종 집권 초에 사헌부의 탄핵을 받아 유배 되었다가 사면되었다.

이후 명나라 사신, 충청도 도절제사, 수군 도절제사를 거쳐 평성군에 봉해졌다.

세종 초에 판우군도총제부사에 부임 하였고, 세종에게 궤장을 하사 받았으며 평성부원군으로 진봉되었다.

여기까지가 실록에서 전해져오는 조견의 이야기 이며, 조선 중기 시기에 기술된 사서에서는 형과 달리 지리산으로 숨어들어가 조선의 벼슬을 거부하면서 고려의 충절을 지켰다고 적혀있다. 다만 사서의 내용의 신빙성의 문제가 있어서 논란이 있는 편이다.


3. 대중매체[편집]


매체에서는 대부분 후대의 역사서에서 나오는 기술에 따라 고려의 충신으로 나오는 경우가 많다.

용의 눈물에서는 맹호림이 분하였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7 00:11:16에 나무위키 조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