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병호

덤프버전 :

조선귀족
朝鮮貴族


【 펼치기 ・ 접기 】
수작
후작
백작
완순군 · 의양군 · 창산군 · 청풍군 · 박영효 · 윤택영
민영린 · 이완용 · 이지용[1]
자작
고영희 · 권중현 · 김성근 · 김윤식 · 민병석 · 민영규 · 민영소 · 민영휘 · 박제순 · 송병준 · 윤덕영 · 이근명 · 이근택 ·이기용 · 이병무 · 이완용[2] · 이용직 · 이재곤 · 이하영 · 임선준 · 조민희[3] · 조중응
남작
김가진[4] · 김병익 · 김사철 · 김사준 · 김영철 · 김종한 · 김춘희 · 김학진 · 남정철 · 민상호 · 민영기 · 민종묵 · 민형식 · 박기양 · 박용대 · 박제빈 · 성기운 · 윤웅렬 · 이건하 · 이근상 · 이근호 · 이봉의 · 이용원 · 이용태 · 이윤용 · 이재극 · 이정로 · 이종건 · 이주영 · 이항구 · 장석주 · 정낙용 · 정한조 · 조동윤 · 조동희[5] · 최석민 · 한창수
습작
후작
백작
이달용 · 이덕용 · 이덕주 · 윤의섭 · 박찬범 · 이병길
고중덕 · 고흥겸 · 송종헌 · 이영주
자작
고희경 · 권태환 · 김호규 · 민병삼 · 민충식 · 민형식 · 민홍기 · 박부양 · 윤강로 · 이규원 · 이종승 · 이창훈 · 이충세 · 이택주 · 이해국 · 이홍묵 · 임낙호 · 임선재 · 조대호 · 조용호 · 조원흥 · 조중수[3]
남작
김교신 · 김덕한 · 김세현 · 김석기 · 김영수 · 김정록 · 남장희 · 민건식 · 민영욱 · 민철훈 · 민태곤 · 민태윤 · 박경원 · 박서양 · 박승원 · 성주경 · 윤치호 · 이규환 · 이기원 · 이능세 · 이동훈 · 이범팔 · 이병옥 · 이원호 · 이인용 · 이장훈 · 이중환 · 이풍한 · 장인원 · 정주영 · 정천모 · 조중구 · 조중헌 · 최정원 · 한상기
승작
후작
백작
이완용
고희경 · 송병준
반납
김석진 · 민영달 · 유길준 · 윤용구 · 이용구 · 조경호 · 조정구 · 조희연 · 한규설 · 홍순형
[1] 1912년 도박죄로 구속되어 일시적으로 예우 정지.[2] 1872년생 이완용(李完鎔)으로 1858년생 이완용(李完用)과 동명이인임. [3] 1927년 파산자로 선고되어 조선귀족령 제8조 1항에 따라 1928년 2월 29일부로 자작의 예우가 정지되었지만 자식이었던 조중수에게 자작 작위가 승작됨.[4] 1919년 중국 상하이로 망명하여 독립 운동에 협조해 습작 불능 처리됨.[5] 재산 분쟁으로 일시적으로 예우 정지.※ 오등작일제강점기 조선귀족에 공작은 없었으며, 그에 준하는 작위와 관련한 정보는 왕공족 문서 참고.※ 취소선 표시는 작위를 박탈당한 인물을 뜻함.
작위 박탈 사유 [ 펼치기 · 접기 ]
  • 윤치호 : 1913년, 105인 사건에 연루되어 구속됨에 따라 작위 박탈
  • 김사준 : 1915년, 조선보안법 위반 사건에 연루되어 작위 박탈. 신한혁명당의 간부 중 하나인 성낙형이 고종을 망명시키고자 했는데, 김사준이 이를 수락하고 실행에 옮기려다 일제에 발각되어 김사준을 비롯한 고종 망명 사건 관련자들 다수가 검거
  • 김윤식 : 1919년, 독립 청원서 제출로 인해 작위 박탈
  • 이용직 : 1919년, 독립 청원서 제출로 인해 작위 박탈
  • 민영린 : 1919년, 아편 흡입죄로 구속되어 작위 박탈
  • 김병익 : 1919년, 아편 흡입죄로 구속되어 작위 박탈
  • 민태곤 : 1941년 12월, 도쿄에서 조선민족독립운동 사건으로 구속되어 작위 박탈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조선후기, 대한제국, 일제강점기 초기의 정치인이다. 본관은 임천(林川). 자는 덕경(德卿)이다. 시호는 문헌(文獻)이다.


2. 생애[편집]


1866년에 문과에 급제했다. 1869년 서장관(書狀官)으로 청나라에 다녀왔으며, 1870년 홍문관 응교가 되었다. 1872년 동부승지, 1879년 성균관 대사성, 1880년 이조참의를 거쳐, 1881년 수신사로 일본에 가서 관세문제를 논의하고 돌아와 개화 사상을 갖게 되었다.

1882년 도승지·이조참판에 올라, 임오군란 당시 일본공사 하나부사(花房義質) 일행을 장악원으로 피신시켜 보호조처하였다. 민비의 국상 발표에 반대하였고, 청군(淸軍) 입성시에는 오장경(吳長慶)의 영접관(迎接官)이 되어 안내하였다.

1883년 안동부사가 되어 동래민란과 성주민란의 안핵사(按覈使)를 겸임하며 민란을 진압하였다.

1884년에 김옥균, 박영효, 서광범, 서재필, 홍영식 등이 일으킨 갑신정변이 진압당하고 홍영식, 박영교 등이 청군에게 살해당한 뒤 박영효, 서광범, 서재필, 김옥균, 이규완 등이 일본으로 망명하자 서상우와 함께 일본 정부에 이들을 소환할 것을 요청하기도 하였다.

1885년 공조판서예조판서, 한성판윤을 역임하고, 1886년 다시 예조판서가 되었다. 1889년 의정부 우참찬과 한성부판윤을 지내고, 이듬해 다시 예조판서를 역임한 뒤, 1892년 충청도 관찰사가 되었다.

1894년 경상도 관찰사가 되고, 1895년 장례원경(掌禮院卿)·궁내부특진관을 거쳐 1897년 탁지부대신·학부대신이 되었다. 1904년 내부대신을 역임하고, 1906년 의정부의정대신이 되었다. 시호는 문헌(文獻)이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7 01:46:36에 나무위키 조병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