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반

덤프버전 : (♥ 0)

분류

1. 개요
2. 원인 및 특징
3. 사례
4. 관련 문서


/ out of print


1. 개요[편집]


폐반은 생산과 판매가 중단된 음반을 말한다.

과 같은 가요계의 역사는 비교적 짧고, 적용되는 법이 저작권법으로 적용되지만, 녹음의 역사가 길고 적용 범위도 심하게 제각각인 클래식 계통의 사람들에게서 가장 많이 쓰이는 말이다. 현대의 작품이 아닌 한 저작인접권이 적용된다.

도서 쪽에서는 절판이라는 말을 많이 쓰고 포괄적으로는 단종으로 통한다.


2. 원인 및 특징[편집]


원인은 크게 아래와 같이 나눌 수 있다.
  1. 지휘자나 연주자가 재출시를 원하지 않을 경우.
  2. 폐반될 음반을 대체할 연주가 있는 경우.
  3. 음반사가 사정상 재출시를 할 수 없거나, 의도적으로 재출시를 안 하는 경우.
  4. 음악가 혹은 음악 자체에, 표절을 비롯해 사회 규범에 문제가 될 만한 논란이 일어난 경우.

2번 같은 경우가 굉장히 주관적인데, 저작인접권이 만료가 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더 이상 찍어내지 않는 경우가 이에 속한다.

3번은 클래식 시장이 불황에 접어들면서 메이저나 준 메이저급 레이블까지 이리저리 인수합병되는 바람에 어른의 사정이 생겨서 재발매가 안 되는 경우가 되겠다. EMI-워너 클래식이나 필립스-데카처럼 레이블만 떼고 재발매 되는 경우도 있긴 하지만.

또한 메이저 음반사에서는 저작인접권이 만료된 음반을 기피하기 때문에 내놓을 거면 전집류로 재출시를 하거나[1], 단품으로 내놓을 거면 아예 내놓지를 않는다. 즉 옛날 지휘자이라면 이 꽉 깨물고 을 많이 모아야 한다는 것. 불행하게도 저작인접권이 만료됐음에도 불구하고 발매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하고 빌어야 된다(...) 뭔가 크게 주객이 전도된 듯하다...

그리고 음반사 내에서 그냥 안 팔릴 것 같거나 팔리긴 할 것 같은데 상업적인 가치가 떨어진다고 판단되면 안 내놓는다. 애호가의 시각과 일반인 또는 업계인의 시각이 다르다는 것을 참고하도록 하자.

2000~2010년대 들어 음반사에서도 내부의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서 MP3무손실 음원을 판다. CD를 복각한 건지 마스터링 테이프에서 바로 뽑아낸 건지는 알 수 없지만 CD로 찍어내지 않는 음반을 구매할 수 있다는 점은 큰 메리트로 보인다.[2] 단, 이것도 서버 용량이나 유지비 등의 사유로 언제든지 폐반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그런데 아직까지는 저작인접권이 지난 음원도 팔고 있다. 하지만 만료됐다고 해도 가격은 그대로다. 게다가 결제통화가 미국 달러, 유로, 파운드 스털링(!!)인 경우가 허다하니 잘 생각하고 사자. 우리에겐 고클래식 다운로드가 있지 않은가. 그 외에 국립중앙도서관도 소장 중인 옛날 음반을 디지털 파일로 변환하기도 하며 기증도 받아주고 있으나, 관내 공개인 경우가 많아 접근성 면에서 장벽이 생긴다.


3. 사례[편집]



3.1. 대한민국[편집]


6집은 1996년 발매된 앨범으로 015B 음악이 매우 실험적으로 변한 데다가 발매사였던 LG미디어가 1997년 LG소프트로 합병된 후, 음반 사업을 정리하면서 문자 그대로 폐반되었다. 중고시장에서도 앨범 자체 물량이 얼마 없다 보니 7집과 더불어 구하기 매우 힘든 앨범으로 꼽힌다.
2006년 015B 재결성 후 발매된 앨범으로, 초판은 만월당에서 1만장 한정판매가 된 앨범이라 6집보다도 구하기 힘들다라는 평이 있었으나 후에 오이일이뮤직이라는 곳에서 재발매를 하여 그나마 중고 물량이 조금 풀렸다.

LP 쪽에 관심 있는 사람들은 다 알겠지만, 김광석의 모든 앨범의 중고LP는 10만원 이상이 기본이며, 카세트테이프도 최소 8만원이다.(...) 그 중에서도 가장 희귀한 4집 초판은 2020년 12월 현재 90만원을 돌파했다!!! 사실 이 문제가 아니라, 품절이 되지 않은 거 자체를 찾아 보기가 힘든 게 김광석 LP판이였으나 22년쯤부터 전집을 CD와 더불어 LP까지 재발매함에 따라 옛말이 되었다.

2017년 현재 김동률의 음반 중 유일하게 공연 실황 DVD가 담긴 음반이다. 한정판과 일반판 둘 다 있는데, 둘 다 폐반 상태이며, 심지어 폐반된 다른 음반과는 달리 중고 거래 외에는 구할 방법이 아예 없다! 기본판이 최소 7만원이며, DVD 판은 30만원이 기본이다(...)

  • 김민종의 데뷔 초창기 음반 2장.
    • 1집 〈사랑, 이별 이야기〉 (1992)
    • 2집 〈하늘 아래서(김민종 II)〉 (1993)
3집 수록곡 〈귀천도애〉의 표절 사건의 영향인지 앨범 재발매도 안 될 뿐더러, 음원서비스도 제대로 안 되고 있고, 심지어는 중고에서도 흔적조차 찾기 힘들어진 앨범들.[3] 헌데 정작 3집은 음원서비스가 원활하게 되고 있다.(...) 참고로 1집의 대표곡은 〈또 다른 만남을 위해〉, 2집의 대표곡은 〈하늘 아래서〉.

  • 김연우 1집 〈그대 곁엔 나 밖에〉 (1998)
1집 자체가 IMF대망하면서(...) 2019년 현재 중고가가 30만원에서 35만원이 기본이며, 심지어 중고 카세트 테이프도 만원이 넘어간다(...)[4] 재발매 가능성이 아예 없는 것이, 김연우는 이 음반을 갖고 있지 않다(...).[5] 그래도 음원 서비스로 들을 수 있고, 6년 뒤에 나온 2집, 3집은 안테나 뮤직에서 재발매 되었고, 4집은 지금까지도 팔리고 있어 구하기 쉽다.

김형중의 다른 음반들과는 달리 일찍이 폐반되었고, 재발매도 아직 안 되고 있다.

애초부터 소량 발매가 된 데다가[6], 판권을 가지고 있던 레코드사가 도산하면서 마스터 CD가 분실되었다. 여기에 적혀 있는 일부 폐반 앨범들과 마찬가지로 재발매 가능성이 아예 없는 음반. 국내 중고음반 거래 가격 중 당시 최고가였던 30만원을 찍은 적이 있었다만, 중고나라에서는 요즘엔 30만원이 기본가격이고 45만원 ~ 50만원대도 종종 보이는 수준. Reflection of와는 달리, 다행히도 인디 2집은 재발매되어서 쉽게 살 수가 있다.

  • 박효신의 일부 음반들: 그의 1집부터 3집까지는 전 소속사의 욕심 덕분에 재발매가 되었는데 유독 이 두 앨범만 현재까지도 재발매가 안 되고 있는 중.
    • 3집 〈Time Honored Voice〉의 일반판 (2002)
상당히 특이한 케이스로, '일반판'은 나오고 몇 년 만에 절판되어서 굉장히 희귀한데, 정작 박효신의 브로마이드가 있는 3집 '한정판'은 지금까지도 성황리에 판매중인 참으로 괴이한 현상(...)을 보여주고 있다. 원래는 당연히 일반판보다 한정판이 희귀했었지만, 2007년도쯤에 3집이 재발매가 될 때 한정판으로 재발매가 되면서 전세 역전(...)
  • 4집 〈Soul Tree〉 (2004)
  • 5집 〈The Breeze of Sea〉 (2007)
이 두 앨범은 엄청나게 희귀하기도 해서 4집의 경우는 최소 6만원이고, 5집은 최소 10만원인데다가 상태가 좋으면 20만원을 넘어간다(...)[7]

  • 성시경의 2000년대 후반 음반들: 40만 장을 팔아 전설이 된 1, 2집과 6집, 7집은 재발매가 되고 있으나, 그 사이 앨범이 재발매 자체가 안 되고 있다.
정확히 말하면 재발매가 되고 있기는 한데, 재발매판이 사실상 원판하고 같다고 볼 수 없을 정도로 다르다. 심지어 제목마저도 다른데, 초판은 Double Life The Other Side이고, 재발매판은 Double Life The One Side(...) 같은 앨범 맞아?
폐반 된 음반이기는 하지만 초회 한정으로 나왔던 엽서가 실려있는 CD만 희귀반에 속한다. 일반반은 흔해서 쉽게 구할 수 있다.
6집 초판은 일찍 절판되긴 했으나 2014년부터 7집과 함께 재발매가 되고 있다. 하지만 6집 리패키지는 1만 장 한정판이었고 DVD 실황 공연까지 담겨있던 음반인지라 최소 20만원이며, 상태가 좋으면 40만원을 넘어간다!!! 앨범으로 재테크할 기세
음반사의 문제로 진작에 절판되어 중고로도 굉장히 구하기 힘든 앨범이며, 테이프와 CD의 트랙 순서가 다르다. 사실 중고가 자체는 그닥 비싼 편은 아닌데, 애당초 물량 자체가 얼마 없어 구하기 매우 힘든 게 이 9집이다.

에이핑크의 데뷔 앨범. 이 때 당시에만 해도 에이핑크가 지금처럼 폭발적인 인기를 얻기 전이라 그렇게 큰 재미를 보지 못하기도 했고 다른 아이돌 음반들과는 다르게 일찍 단종된 앨범이라 현 시점에서는 굉장히 희귀한 앨범. 중고가는 3~4만원이 기본이며, 이마저도 물량이 별로 없다.

  • 에픽하이 리패키지 3집 〈Black Swan Songs〉 (2006)
DJ 투컷이 마스터 CD를 분실하는 바람에 재출시가 불가능하다.

2023년 엔젤릭버스터 리마스터 기념으로 출시되었으나, 출시 후 단 이틀 만에 남성혐오 논란이 터지는 바람에 폐반되었다. 아울러 당시 보컬을 맡은 나래도 해당 논란에 연루된 탓에, 성우 교체가 불가피하다.

유희열의 정규 앨범 중 거의 유일하게 절판된 앨범이자 유일하게 재발매 계획이 없는 앨범. 그래도 다행히 네이버 뮤직 등에서 음원 서비스 제공을 한다.
애당초 프로젝트 음반이었고 당시 토이로도 나온 음반이 아니었기에 일찌감치 절판되었고, 구하기 힘든 음반이다.
LG 노트북 홍보 영화 삽입 음악용으로 만든 음반인지라, 1만 판 한정판으로 나와 구하기 힘들다.

정작 1, 2, 3집과 6집이 재발매가 됨에도 이 두 앨범은 어째선가 재발매가 안 되고 있다. 이 때문에 이 두 앨범은 최소 4만원을 전후한다.

  • 윤종신의 1990년대 후반에 나온 음반들: 90년대 초중반 음반과 9집, 10집의 경우 일부 재발매가 되고 있는 데다가 중고 물량도 나름 있어 구하기 쉬운 편이고, 12집 이후는 월간 윤종신 컴필레이션 앨범에 가까워 음반 시장에서 나름 쉽게 구할 수 있는데, 6집~8집의 경우 후술할 전속계약 문제 등으로 인하여 재발매는 커녕 일부는 음원 서비스도 안 되고 있다.
    • 6집 〈六年(육년)〉 (1996)
1996년 4월 5집 〈우(愚)〉가 히트친 이후 1997년 군입대를 하게 되자 급하게 낸 음반인데, 10곡 중 6곡이 예전 곡을 편곡해서 부른, 사실상 베스트 앨범 형식의 앨범이었다(...) 어쨌든 이런 특성 때문에 일찌감치 절판되었다. 다만 중고로는 나름 쉽게 구할 수 있는 편.
윤종신이 전역한 후 낸 음반인데, 윤종신 최고의 명반 중 하나로 꼽힐 만큼 앨범 평은 좋았음에도 6집 대비 판매량이 1/3으로 폭망했던 앨범이다. 이 정도였으면 단순히 폐반에 올라가지는 않았겠지만, 이 앨범은 2017년 현재 윤종신 음반 중 유일하게 소속사 문제[8]로 소송이 걸리면서 판매금지 가처분신청이 되어버렸는데, 이후 저작권+판권이 꼬일대로 꼬이면서 절판되었고, 음원 사이트에서도 서비스가 안 된다.(...) 저작권은 윤종신에게 귀속되긴 했으나, 판권이 문제가 된 셈.[9] 막말로 윤종신이 김광수를 쫓아내고 MBK를 인수, 미스틱에 합병시키지 않는 이상 재발매 및 음원 발매가 사실상 불가능한 앨범. 근데 웃긴건 이 목록중에서 가장 희귀한 음반 중 하나인데도 중고가격이 그리 비싸지 않다(...) 뭐 일단 윤종신 음반 중 최고 명반으로 꼽히는 음반 중 하나니...애당초 물량 자체가 거의 없어서 구하기 힘든 것에 가깝다.
한때 이 음반 역시 음원 서비스가 안 되던 시절이 있었으나 2013년 중반에 해금되었다. 다만 재발매는 안 되고 있다. 사실 윤종신의 정규 앨범 대부분이 재발매가 잘 안되는 편이긴 하다. 그나마 구하기 쉬운 앨범이 9집 〈그늘〉, 10집 〈Behind The Smile〉과 더불어 12집 이후의 앨범...인데 12집부터는 월간 윤종신이라...앨범 자체가 비싼 편이다(...)

2011년 이후 소속사 소송 문제도 있고, 승소 이후 독립한 개인 소속사를 통해 나온 4집 역시 소량 발매되었다. 따라서 윤하 정규 앨범을 중고로 구하려면 최소 4~5만원은 각오 해야 하며, 특히 4집은 물량도 거의 없어서 7만원 이상이 기본이다(...) 사실, 윤하의 앨범 중에서 중고가 아닌 상태로 구할 수 있는 앨범은 미니2집 〈Just Listen〉과 Lost In Love, Audition 등 얼마 없으며, 이 앨범들도 재발매가 되고 있는게 아니라 그저 물량이 좀 남아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언제 절판될지 모르는 상황.

동물원의 멤버였던 이성우가 1990년에 낸 원맨밴드 앨범. 프로그레시브 록을 기반으로 한 음반으로, 여담으로 CD는 소량 발매되어, 최근에 50만에도 거래됐던 음반이다. 테이프 또한 중고거래가로 비싸게 거래되는 편이다. 그나마 LP가 구하기 쉬운 편.

인디계에서 산울림 열풍이 불었음에도 현재까지 모든 음반이 폐반 상태였으나 22년 김창완 주도하에 공식적으로 전집 LP 재발매를 발표하였고 23년 3월 기준 1~6집은 이미 발매 된 상태이다.

  • 이무하[10]의 음반
1991년 하나음악에서 발매한 이무하의 데뷔 음반. 한국 대중음악 음반 중에서 돈이 있어도 매물이 없어서 못 사는 희귀CD로 알려져 있는 정혜선 2집, 김두수 약속의 땅 초판 CD보다 매물이 정말 안 보이는 편이며, 한국 대중음악 음반 CD계열에서는 최고가에 거래되는 앨범이다. 중고거래에서 CD 기준 상태 안 좋은 매물이 130만원, 민트급 매물이 230만원에서 팔릴 정도로 비싼 가격을 자랑한다. 보통 80만원에서 90만원 정도에 많이 거래되는 편이다. 헤비 컬렉터 세계에서는 이무하 고향 CD가 있냐 없냐에 따라 컬렉터의 수준을 볼 정도로, 잘 안 보이는 음반 중 하나이다. LP도 개봉이 20만원에서 30만원, 미개봉은 50만원에 거래되는 편이고, 테잎은 미개봉 기준 12만원에 거래 될 정도로 LP, CD, 테잎 다 레어한 편이다.

2000년대 초반 소니뮤직에서 발매한 Space Fantasy, Pak-Sa Revolution & Emotion 등의 앨범이 현재 절판 상태이며 음원사이트에서도 청취할 수 없다. 유튜브에 팬들이 CD에서 추출한 음원을 올려놓고 있다.

3.2. 일본[편집]


  • 사운드 호라이즌의 메이저 데뷔 전 음반들: 음반 회사를 통하지 않고 자주적으로 만들어 팔았던 것들이다. 200~300장만 찍었던 1집 음반 Chronicle은 원래 1500엔짜리였지만, 폐반된 이후에는 중고 시장에서 10만엔 가까이에 팔리고 있다. 그래서 정교하게 짝퉁을 만들어 미개봉품으로 속여 파는 사기사건이 일어나기도 한다.

  • fripSide의 메이저 데뷔 전 초창기 음반 3장: 위의 사운드 호라이즌과 마찬가지로 음반 회사를 통하지 않고 자주적으로 만들어 팔았던 것들인데, 3장 전부 합쳐서 6천장이 팔렸다고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는 폐반되어 부르는 게 값이 되었는데, 그렇다 해도 위의 사운드 호라이즌의 메이저 데뷔 전 1집 앨범에 비하면 2~3만엔 정도의 중고 시세로 가끔 물량이 들어오곤 한다.

  • X JAPAN의 〈DAHLIA〉: 판권이 꼬인 건지 1996년 발매되고 나서 일찌감치 절판되었고, X 시절까지 포함해서 유일하게 재발매가 안 되어 구하기가 어려운 음반이다.

  • THE ORAL CIGARETTES의 新月と牡羊座 (신월과 양자리) THE ORAL CIGARETTES의 과거 활동을 담은 음반이다. 공식적으로는 폐반되었지만, 라이브 콘서트장에서 판매하고 있다고 한다.

4. 관련 문서[편집]



[1] 보통 기획 전집류로 내놓는데, 예외도 있지만 보통은 저작인접권이 만료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섞어서 재발매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몇십 장 묶어서 2장~3장 가격에 떨이 판매를 하기도 한다.[2] 또한 HRA급의 음질도 존재한다.[3] LP로는 장당 만원쯤 하는 저렴한 가격에 매우 쉽게 구할 수 있다[4] 현 시점에서 카세트 테이프가 미개봉도 웬만하면 5천원대를 넘어가지 않는다는 걸 감안하면 이건 엄청 비싼 거다.[5] YTN 인터뷰를 보면 김연우가 이 음반을 한 장 가지고 있다고 말을 하였다.[6] 현재 약 3000장 정도가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7] 그렇다고 이 두 앨범이 안 팔려서 희귀해진 건 절대 아닌게, 4집은 집계상 17만장이 팔렸고, 5집은 6만장이 팔렸다. 적다고 생각할 수 있는데 4,5집이 각각 발매되었던 2004년2007년은 음반시장의 붕괴가 시작되었던 때라 상황에 비해 잘 팔린 편이라 할 수 있다.[8] EMI와 대영AV의 전속 계약 문제였다. 문제는 소송 와중에 만악의 근원 김광수가 우회상장을 통해 대영AV를 인수하면서 판권이 꼬여버린 것.[9] 이 때문에 2016년말 손석희가 진행하는 JTBC 뉴스룸에 이 앨범 타이틀곡인 〈배웅〉을 틀 때, 이 앨범 버전이 아닌 2014년 〈Just Piano〉 버전으로 틀었다.[10] 김광석의 곡으로 유명한 끊어진 길의 작곡가이자 원곡자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10-04 12:54:27에 나무위키 폐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