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4 FIFA 월드컵 유치전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2034 FIFA 월드컵

역대 FIFA 월드컵 유치전
2030 FIFA 월드컵 유치전

2034 FIFA 월드컵 유치전

2038 FIFA 월드컵 유치전

1. 개요
2. 2030년 월드컵 개최지(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확정 이후, 유치에 관심을 보인 나라
3. 2030년 월드컵 개최지 확정 전에 유치에 관심을 보인 나라
4. 유치를 철회한 국가




1. 개요[편집]


2034 FIFA 월드컵의 개최지 결정 과정을 담은 문서이다.


2. 2030년 월드컵 개최지(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확정 이후, 유치에 관심을 보인 나라[편집]


2030 FIFA 월드컵이 스페인 포르투갈 모로코 월드컵 공동 개최 확정 이후, FIFA에서 2034년 월드컵은 지역 안배를 고려해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에서 개최된다고 했기 때문에 그 외 다른 대륙들의 개최 가능성은 소멸되었다.

FIFA에서는 공식적으로 AFCOFC 국가의 개최 의향서를 받는다고 밝힌 만큼 한중일(동아시아 국가) vs 호주,뉴질랜드(오세아니아) vs 사우디(서남아시아)의 3파전 또는 2파전(오세아니아 제외)으로 흐를 양상이 크다.

  • 사우디아라비아: 2030 월드컵 개최국이 확정되자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도 나섰다. 2023년 10월 4일, 사우디아라비아 축구연맹은 4일(현지시간) 성명을 통해 "사우디에서 진행 중인 사회 경제적 변신과 뿌리 깊은 축구에 대한 열정의 영감을 끌어내 세계 수준의 대회를 개최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 다만 인접국인 카타르에서 2022 FIFA 월드컵이 열린 것이 큰 단점으로 보인다.

제이크 살만 AFC 회장은 사우디에 지지를 선언했으며, 전인도 축구 연맹(AIFF) 회장 역시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사우디의 개최를 환영한다는 글을 올렸다. #

  • 한국, 일본, 중국, 호주 등이 연합해서 공동 개최하는 방향으로 유치전에 나설 가능성이 매우 크다.


3. 2030년 월드컵 개최지 확정 전에 유치에 관심을 보인 나라[편집]


이 문단은 2030 FIFA 월드컵 스페인 포르투갈 모로코 개최지 확정 이전 시점으로 서술되었다.


3.1. 아시아(AFC)[편집]


현재 유치에 관심을 보이는 나라는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이다.

  • 2017년 7월에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가 먼저 유치를 선언했으며, 9월에 태국 축구 협회가 아세안 축구 협회를 통해 인도네시아와 공동 유치 선언했다. 이후 2019년 10월 기존의 태국-인도네시아 공동유치 선언에서 태국을 중심으로 해서, 태국-싱가포르-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베트남아세안 5개국 공동 유치를 선언하는 걸로 확대되었다. 이렇게 되면 아시아의 지역 예선이 그야말로 피 튀길 승부의 연속으로 채워질 것으로 보인다.

  • 2017년 6월에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이 월드컵 유치에 관심이 보인다고 기사가 나왔다.[1]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3개국의 한중일 공동 개최도 거론되고 있다. 중국쪽에서 흘리는 것으로 보이는데, 2026년 월드컵부터 진출국이 48개국이 되고, 2026년 월드컵과 2030년 월드컵도 공동 개최가 확정되었다. 따라서 2034년 월드컵도 공동 개최로 추진해야 유치 지지를 받기 쉽다는 판단 하에 인접국과 같이 유치를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더군다나 사우디아라비아에 비해 마지막 개최가 32년 전이므로 개최 명분이 충분하다는 장점이 있다.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파일:북한 국기.svg 북한의 공동개최도 거론되고 있다. #[2]

  • 영국 스카이스포츠는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가 2034 FIFA 월드컵 공동 유치에 관한 회담을 가졌다고 보도했다. #

  • 2023년 7월,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이 공동개최를 원한다는 기사가 나왔다. # 하지만 2030 월드컵 개최국이 확정되자 UEFA 소속인 카자흐스탄이 2034 월드컵 개최가 힘들어졌다.


3.2. 오세아니아(OFC)[편집]


현재 유치에 관심을 보이는 나라는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이다.

  •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2032 브리즈번 올림픽에 이어 2034년 FIFA 월드컵을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나 다른 오세아니아 국가들과 함께 개최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 문제는 오세아니아에서 제대로 경기장 인프라를 갖춘 나라는 호주와 뉴질랜드 뿐이라는 거다.


3.3. 유럽(UEFA)[편집]


  • 직전대회를 스페인과 포르투갈이 가져감에 따라 개최가 불가능해졌다.


3.4. 아프리카(CAF)[편집]


  •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짐바브웨의 관광부가 2034년 월드컵 유치를 계획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

  •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가 올림픽이나 월드컵 유치를 계획 중이라는 기사가 나왔다. #

  •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가 월드컵 유치를 계획하며, 온라인 스포츠의 인기가 이를 이뤄낼 수 있을지에 대한 기사가 나왔다. #

  • 다만 직전 대회를 모로코가 가져감에 따라 개최가 불가능해졌다. 애초에 상술한 나라들은 비대해진 경기 규모에 단독 개최를 하기에는 경제 수준이 너무 부족했다.


3.5. 남미(CONMEBOL)[편집]


  • 직전 대회의 일부 경기를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파라과이가 가져감에 따라 개최가 불투명해졌다.


4. 유치를 철회한 국가[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25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25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8 00:46:57에 나무위키 2034 FIFA 월드컵 유치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유치가 된다면 상당한 논란들이 일어날 것으로 보인다. 역대 월드컵 개최국 중 최약체로 예상되거니와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처럼 국수주의와 편파판정으로 얼룩진 대회로 전락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편파판정으로 이득을 볼 수 있으려면 그래도 어느 정도의 실력은 받쳐줘야 하는데, 판정이 따라주면 금메달도 강탈할 수 있는 쇼트트랙과 달리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전력은 전패라도 당하지 않으면 다행일 정도로 세계 수준에 크게 못 미치기 때문이다. 그나마 대한민국, 일본 등 인접국에게는 되려 긍정적인 측면도 있는데, 시차가 거의 없어 시청도 용이하고 원정 응원을 가기도 편하며 대표팀의 현지 시차적응 부담도 거의 없다. 그리고 중국을 상대할 가능성이 거의 없기에 적어도 홈팀을 상대로 겪는 편파판정에서는 자유로울 수 있다. 대신 중국과 같은 조에서 상대하는 팀들이 편파판정, 중국 축구 특유의 거친 플레이로 인한 부상 등으로 피해를 볼 가능성이 높다지만 실력이 실력인지라... 2008 베이징 올림픽을 봐도 중국은 16개국 본선 16강 조별리그에서 광탈(13등)했다.[2] 다만 이것은 잠시 개선을 꾀하던 시기에 잠깐 거론되던 이야기로, 위 3개국 공동 개최보다 훨씬 가능성이 떨어지는 상황이다. 당장 북한이 공동 개최를 감당할 수준과 여력이 되는지부터 의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