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5627 (r1판)

편집일시 :

>
서울특별시
{{{#fff,#1f2023
[[틀:서울특별시의 공항버스|

{{{#white 공항
ㆍ[[틀:서울특별시의 광역버스|
광역
]]ㆍ[[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
간선
]]ㆍ[[틀: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

지선
]]ㆍ[[틀:서울특별시의 순환버스|

순환
]]ㆍ[[틀:서울특별시의 심야버스|

심야
]]ㆍ[[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

마을
]]ㆍ[[틀:서울시티투어버스|

투어
]]
[ 펼치기 · 접기 ]
50125413551155135515[a]
551655175519[a]55225523
55245525552855305531
5535553655375611[a]5615
56165617561856195620
5621[a]5623562556265627
56305633563457125713
57148541855185528561
[a] 차등요금 적용 노선
{{{#fff,#1f2023
[[틀:서울 0권역 지선버스|

{{{#fff 0권역
ㆍ[[틀:서울 1권역 지선버스|
1권역
]]ㆍ[[틀:서울 2권역 지선버스|

2권역
]]ㆍ[[틀:서울 3권역 지선버스|

3권역
]]ㆍ[[틀:서울 4권역 지선버스|

4권역
]]ㆍ[[틀:서울 6권역 지선버스|

6권역
]]ㆍ[[틀:서울 7권역 지선버스|

7권역
]]


파일:서울5627.png
파일:범일5627번_뉴비저상탄소.pn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5627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기점경기도 광명시 노온사동(노온사동차고지)종점서울특별시 구로구 구로동(구로디지털단지역환승센터)
종점
첫차04:30기점
첫차05:20
막차23:30막차00:20
평일배차14~18분주말배차토요일 15~18분 / 공휴일 17~20분
운수사명범일운수인가대수11대(예비 1대)[1]
노선노온사동차고지 - 온신초등학교 - 원가학 - 서독터널 - 광명역 (→ 광명역데시앙 → 호봉골 → /← 코스트코광명점 ← 이케아.롯데아울렛광명점 ←) - 기형도문학관.황용사 - 소하2동행정복지센터.광명동굴길입구 - 소하성당 - 가리대사거리.소하상업지구 - 시흥대교 - 시흥사거리 - 시흥초등학교.금천구보훈회관 - 현대시장.시흥4동주민센터 - 독산초등학교 - 문성초등학교 - 구로디지털단지역환승센터(2번 승강장)


2. 개요[편집]


범일운수에서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35.91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구 107-2번 도시형버스(소하동 - 영등포역)가 전신이다. 1980년대에 소하동 교통 편의를 위해 신설된 노선으로, 당시에는 양평동까지 갔으나 이후 영등포구청과 영등포역 순으로 단축되었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노온사동 - 광명역 - 소하동' 구간이 연장되었고, 번호도 5627번으로 바뀌었다.

  • 2005년 8월 9일에 5625번과 중복되는 '구로디지털단지역 - 영등포역' 구간이 단축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 2010년에 소하지구 입주가 시작되면서 수요가 늘어나기 시작으로 2대 증차 되었다.

  • 2017년 2월 1일에 505번과 통폐합하여 노선이 폐선될 예정이었으나, 금천구민들 민원 문제로 인해 취소되었다.

  • 안건이 수정되어 폐선은 취소되었고, 대신 2017년 4월 1일에 '시흥대교 - 금천구청 - 말미고개 - 금천우체국' 구간이 '시흥대교 - 금빛공원 - 독산동정훈단지 - 독산초등학교 - 금천우체국'으로 변경되었다. 본래는 해당 구간에 507번을 변경하여 투입하려 했으나, 민원이 많아서 505번과 5627번 간 구간을 맞교환한 선에서 마무리한 것. 공지사항

  • 2018년 2월 21일 광명역 환승체계 개편에 따라, 서울 방향은 서편에 정차하며 호반베르디움을 추가로 경유한다. 노온사동 방향은 현행 유지. 관련 공지사항

  • 2019년 7월 중순 즈음에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최소 배차간격은 줄어들었고, 최대 배차간격은 늘어나는 형태로의 상세 배차 조정이 실행되었다. 관련 공문

  • 2020년 2월 21일을 기해 본래 13~17분이던 평일 배차간격이 14~18분으로 늘고, 공휴일 최대 배차간격이 22분에서 20분으로 줄었다.[2]관련 공문

  • 2021년 6월 7일을 기해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1일 총 운행횟수가 평일/토요일의 경우 각각 3회씩, 공휴일의 경우는 2회 감회되었다. 또한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따라 평일/공휴일의 배차간격이 각각 14~17분/15~20분에서 14~18분/16~21분으로 늘었다.관련 공문1관련 공문2

  • 2021년 9월 6일을 기해 상세 배차 조정으로 토요일/공휴일 각각의 최소/최대 배차간격이 14~19분/16~21분에서 15~18분/17~20분으로 조정되었다.(단, 토요일/공휴일 각각의 1일 총 운행횟수는 변동 없음)관련 공문


4. 특징[편집]


  • 이곳저곳에서 확실한 굴곡이 있어서 전 구간을 종주하는 수요는 없고, 노온사동 및 학온동 등 광명 서남부 외곽 ~ 광명역, 광명역 ~ 소하동 ~ 시흥사거리[3], 독산로 ~ 말미사거리(홈플러스, 금천우체국) ~ 구로디지털단지역의 구간별 수요가 철저하게 갈린다.

  • 영등포까지 운행하던 시절에는 구로디지털단지역 이후로 5620번, 5625번, 5713번 등과 100% 중복이였다. 이 구간이 수요가 좋아서 무료환승 도입전까지는 나름 선전했지만, 무료환승이 도입된 이후에는 굳이 중복되는 구간을 함께 다닐 필요가 없어 단축되었다. 이후 그냥저냥 다니는 잉여노선이었지만, 지금은 '독산로 - 구로디지털단지역' 수요로 괜찮은 노선이 되었다.

  • 낮시간대에는 높은 확률로 광명역에 도착하기 전에 소하동CNG충전소에서 가스 충전을 하고 가기도 한다. 충전 시간은 4분 정도.[4] 범일운수의 광명 영업소에 충전소가 없기 때문이며, 광명동의 스피돔 쪽으로 올라가는 6637번을 빼면 모두 여기서 충전한다고 보면 된다.(6637번은 광명공영차고지 이용)

  • 구로디지털단지역 정류장은 환승센터 2번 홈에 정차한다.[5] 5617번과 혼동하면 난감하다. 5617번과 차이는 말미사거리에서 5617번이 시흥대로 중앙차로를 따라 직진하는 동안 5627번은 말미사거리에서 독산초등학교 방향으로 좌회전 한다.


4.1.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5627번
연도일평균 승차량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7,223명-
2014년7,435명△ 212
2015년7,776명△ 341
2016년7,678명▽ 98
2017년5,253명▽ 2,425
2018년4,567명▽ 686
2019년4,780명△ 213
2020년3,965명▽ 815
※ 하차 인원 미포함

  • 2017년 4월부터 시흥대로 구간을 505번과 맞바꿔 505번 기존 독산로 구간을 5627번이 대체하게 되면서 대당 일평균 500명 가까이 채우던 노선이 이제는 400명을 간당간당하게 넘기고 있다.


5. 연계 철도역[편집]




6. 둘러보기[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 경기도 진입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1, 2권역 | 의정부, 구리, 남양주
의정부시>
수락리버>

구리/남양주
201구리
202담터
>

1155담터
수락리버: 수락리버시티아파트 지역만 정차, 담터: 남양주방면 담터고개(구리시 소재)만 정차, 서울방면 담터고개는 서울시 소재.
3, 4권역 | 하남, 성남
성남시>

하남시>

341초이

370초이

3217위례

초이: 초이동 / 위례: 하남시위례도서관
4, 5권역 | 과천, 안양, 군포, 의왕
과천/안양/군포/의왕>

과천/안양/군포
541

안양/군포>
안양시 단독
152교대
6515교대
>

500석수

5618석수

과천시 단독>

서초08잔디

서초20잔디
교대: 경인교육대후문만 정차 / 잔디: 잔디마을만 정차 / 의왕시 경유 노선은 군포시 한솔테크노타운만 정차
5, 6권역 | 광명, 부천
광명시>
철산리버>
부천시>
철산리버: 철산리버빌아파트 정류장만 정차
7권역 | 고양, 양주, 파주
고양시>
동산동>
덕은동>

대덕동>

파주/양주
704송추
773교하

774파주읍

9714교하
동산동: 한국지역난방공사(舊 동산동) 정류장만 정차 / 덕은동: 덕은동종점 정류장만 정차 / 대덕동: 대덕동행정복지센터 정류장만 정차


>
파일:광명시 CI_White.svg 광명역 경유 버스
서측1번2번3번4번
>
동측5번6번7번8번
>
3002
1-3
22
미개통서측/동측 모두 경유하는 노선





[1] 토요일 10대 / 공휴일 9대 운행[2] 단, 운행횟수는 변동 없음[3] 구로디지털단지역으로 바로가는 505번으로 환승할려고 타는 수요다.(505번은 광명역 서편 미경유이다.)[4] 이때 승객이 있다면 모두 하차시키는데, 충전 중에는 승객을 대기시키거나, 먼저 충전하고 있던 505번/5633번 등으로 인계시킨다.[5] 1번 출구앞 기준 바로 앞 정류장이 아닌 건너편 정류장. 1번, 51번, 5624번, 5617번, 5616번이 하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