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시 제14선거구

덤프버전 :




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 경상남도의회선거구
파일:지방의회 휘장.svg
창원시 제14선거구>
충무동, 여좌동, 태백동, 경화동 등
昌原市 第十四選擧區
Changwon District 14
선거인 수55,126명 (2022년)
상위 행정구역경상남도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진해구 일부
충무동, 여좌동, 태백동, 경화동, 병암동, 석동
도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박동철 (초선)




1. 개요[편집]


경상남도의회의 선거구로 진해구의 서부 지역을 관할한다.

상권이 발달한 석동 정도를 제외하면 대부분 원도심으로 이루어져 있어 진해구에서 가장 국민의힘 지지세가 강한 지역구에 속한다.

2. 역대 선거 결과[편집]


대수당선자당적임기비고
진해시 제1,2선거구
제5대황장춘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1][2]
신경상[3][4]
제6대김종율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5]
박우하1998년 7월 1일 ~ ?[6]
홍상식1999년 11월 ~ 2000년 10월[7]
정판용2001년 4월 27일 ~ 2002년 6월 30일
제7대김종율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5]
배종량[6]
제8대정판용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5]
배종량[6]
창원시 제12선거구
제9대정판용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8]
제10대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제11대심상동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창원시 제14선거구
제12대박동철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2022년 7월 1일 ~ 현재[9][10]

2.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진해시 제1선거구
충무로1가동, 충무로2가동, 충무로3가동, 충무로4가동, 충무로5가동, 충무로6가동, 여좌1가동, 여좌2가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황장춘(黃長春)14,8741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65.98%당선
2조재규(趙在奎)7,6682위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34.01%낙선
선거인 수29,976투표율
78.71%
투표 수23,597
무효표 수1,055

진해시 제2선거구
여좌3가동, 태백동, 경화1가동, 경화2가동, 경화3가동, 석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신경상(申京相)7,4281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41.81%당선
2김종률(金種律)4,6623위

[[무소속|
무소속
]]
26.24%낙선
3김진철(金鎭喆)4,3032위

[[무소속|
무소속
]]
24.22%낙선
4오진수(吳振水)1,3724위

[[무소속|
무소속
]]
7.72%낙선
선거인 수23,237투표율
79.51%
투표 수18,478
무효표 수713

2.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진해시 제1선거구
중앙동, 태평동, 충무동, 여좌동, 태백동, 경화동, 병암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종율(金鍾律)15,402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46.79%당선
2김석곤(金石坤)6,4223위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19.51%낙선
4황장춘(黃長春)11,0922위

[[무소속|
무소속
]]
33.69%낙선
선거인 수51,308투표율
66.25%
투표 수33,992
무효표 수1,076

진해시 제2선거구
석동, 이동, 자은동, 덕산동, 풍호동, 장암동, 웅천동, 웅동1동, 웅동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우하(朴又夏)10,154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37.10%당선
3김정법(金楨法)4,6803위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17.09%낙선
4강중일(姜中日)3,1614위
11.54%낙선
5배종량(裵鍾亮)9,3742위
34.25%낙선
선거인 수41,433투표율
68.56%
투표 수28,407
무효표 수1,038

2.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진해시 제1선거구
중앙동, 태평동, 충무동, 여좌동, 태백동, 경화동, 병암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종율(金鍾律)16,4271위
54.61%당선
3황장춘(黃長春)13,6502위
45.38%낙선
선거인 수49,396투표율
62.74%
투표 수30,992
무효표 수915

진해시 제2선거구
석동, 이동, 자은동, 덕산동, 풍호동, 장암동, 웅천동, 웅동1동, 웅동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배종량(裵鍾亮)-1위
-무투표 당선

2.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진해시 제1선거구
중앙동, 태평동, 충무동, 여좌동, 태백동, 경화동, 병암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석광호(石光鎬)3,8533위
13.48%낙선
2정판용(鄭判龍)16,3871위
57.35%당선
6김창일(金昌一)8,3292위
29.15%낙선
선거인 수48,326투표율
60.63%
투표 수29,303
무효표 수734

진해시 제2선거구
석동, 이동, 자은동, 덕산동, 풍호동, 장암동, 웅천동, 웅동1동, 웅동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배종량(裵鍾亮)24,2581위
60.56%당선
4김태웅(金泰雄)7,4513위
18.60%낙선
6임재범(林載範)8,3432위
20.83%낙선
선거인 수69,785투표율
58.62%
투표 수40,914
무효표 수862

2.5.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창원시 제12선거구
중앙동, 태평동, 충무동, 여좌동, 태백동, 경화동, 병암동, 석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정판용(鄭判龍)18,3881위
52.14%당선
7임재범(林載範)16,8762위
47.85%낙선
선거인 수59,006투표율
61.96%
투표 수36,566
무효표 수1,302

2.6.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창원시 제12선거구
중앙동, 태평동, 충무동, 여좌동, 태백동, 경화동, 병암동, 석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정판용(鄭判龍)19,7101위
56.00%당선
4허인숙(許仁淑)15,4812위
43.99%낙선
선거인 수62,924투표율
58.20%
투표 수36,624
무효표 수1,433

2.7.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창원시 제12선거구
중앙동, 태평동, 충무동, 여좌동, 태백동, 경화동, 병암동, 석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심상동(沈相東)17,6871위
48.37%당선
2정판용(鄭判龍)14,5492위
39.79%낙선
3김주석(金珠錫)4,3273위
11.83%낙선
선거인 수58,612투표율
64.00%
투표 수37,513
무효표 수950

2.8.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창원시 제14선거구
충무동, 여좌동, 태백동, 경화동, 병암동, 석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심상동(沈相東)9,7392위
34.80%낙선
2박동철(朴東鐵)18,2451위
65.19%당선
선거인 수55,126투표율
52.09%
투표 수28,716
무효표 수732
도의회 의석이 증원되면서 2021년 7월 용지동을 비롯한 의창구 일부 지역이 성산구로 넘어가면서 1석이 증원되고, 마산합포구도 1석 증원되면서 관할 구역에 아무런 변화가 없음에도 창원시 제12선거구에서 창원시 제14선거구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더불어민주당에서는 현역 심상동 도의원이 그대로 단수공천을 받아 출마한다.

국민의힘에서는 이 지역에서 오랫동안 도전한 정판용 전 도의원이 불출마하면서 새 후보를 찾아야 한다. 경선에는 20대 총선에서 시흥시 을 후보로 나섰다 낙선한 김순택 전 도당 부위원장, 박동철 진해문화원 이사, 옆 지역구에서 도의원을 오랫동안 지낸 배종량 전 도의원이 참가하였고 박동철 후보가 승리하였다.

다른 정당이나 무소속 후보가 출마하지 않아 양당 1:1구도로 치러진다.

선거 결과 국민의힘 박동철 후보가 30%p 가량의 넉넉한 격차로 완승을 거뒀다. 동별로 보면 상권이 형성되어있는 석동에서만 59.4% : 40.6% 정도로 심상동 후보가 40%를 넘으며 선전했을 뿐, 나머지 동에서는 박동철 후보가 65%를 넘으며 압승하였다. 해군부대가 있는 경화동병암동에서 각각 65%와 65.8%, 해군사관학교가 있는 구 상권 중심 충무동에서 68.4%, 여좌동태백동에서 각각 71.6%, 71.9%를 기록하며 높은 득표율을 기록하였다.


[1] 진해시 제1선거구 (충무로1가동, 충무로2가동, 충무로3가동, 충무로4가동, 충무로5가동, 충무로6가동, 여좌1가동, 여좌2가동)[2] 이후 충무로1,4가동을 합쳐 중앙동, 충무로2,3가동을 합쳐 태평동, 충무로5,6가동을 합쳐 충무동, 여좌1,2가동을 합쳐 여좌동으로 개편되었다.[3] 진해시 제2선거구 (여좌3가동, 태백동, 경화1가동, 경화2가동, 경화3가동, 석동)[4] 이후 여좌3가동과 태백동을 합쳐 태백동, 경화1,2가동을 합쳐 경화동, 경화3가동은 병암동으로 개편되었다.[5] A B C 진해시 제1선거구 (중앙동, 태평동, 충무동, 여좌동, 태백동, 경화동, 병암동)[6] A B C 진해시 제2선거구 (석동, 이동, 자은동, 덕산동, 풍호동, 장암동, 웅천동, 웅동1동, 웅동2동)[7] 금품수수 혐의로 법정구속된 후 사퇴[8] 중앙동, 태평동, 충무동, 여좌동, 태백동, 경화동, 병암동, 석동[9] 충무동, 여좌동, 태백동, 경화동, 병암동, 석동[10] 중앙동, 태평동이 충무동에 통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