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시/정치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평택시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평택시 갑

[ 펼치기 · 접기 ]
-2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c84d; font-size: .8em" {{{#fff '''본'''}}}}}} 본청 관할 시군 {{{#fff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aa4b5; font-size: .8em" {{{#fff '''북'''}}}}}} 북부청사 관할 시군
[[고양시/정치|파일:고양시 CI.svg

]]
파일:수원시 CI.svg
[[경기도청|

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c489d 21%, #80c84d 21%, #80c84d); font-size: 1em"
{{{#fff
]] 수원시
[[용인시/정치|파일:용인시 CI.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c84d; font-size: .8em"
용인시]]

[[과천시/정치|파일:과천시 CI.svg
과천시]]
[[광명시/정치|파일:광명시 CI.svg>
광명시]]
[[광주시/정치|파일:광주시 CI.svg>
광주시]]
[[구리시/정치|파일:구리시 CI.svg>
구리시]]
[[군포시/정치|파일:군포시 CI.svg>
군포시]]
[[김포시/정치|파일:김포시 CI.svg>
김포시]]
[[남양주시/정치|파일:남양주시 CI.svg>
남양주시]]
[[동두천시/정치|파일:동두천시 CI.svg>
동두천시]]
[[부천시/정치|파일:부천시 CI.svg>
부천시]]
[[성남시/정치|파일:성남시 CI.svg>
성남시]]
[[시흥시/정치|파일:시흥시 CI.svg>
시흥시]]
[[안산시/정치|파일:안산시 CI.svg>
안산시]]
[[안성시/정치|파일:안성시 CI.svg>
안성시]]
[[안양시/정치|파일:안양시 CI.svg>
안양시]]
[[양주시/정치|파일:양주시 CI.svg>
양주시]]
[[여주시/정치|파일:여주시 CI.svg>
여주시]]
[[오산시/정치|파일:오산시 CI.svg>
오산시]]
[[의왕시/정치|파일:의왕시 CI.svg>
의왕시]]
파일:의정부시 CI.svg>
[[경기도청|
도청 >
]] 의정부시
[[이천시/정치|파일:이천시 CI.svg>
이천시]]
[[파주시/정치|파일:파주시 CI.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aa4b5; font-size: .8em"
파주시]]
[[평택시/정치|파일:평택시 CI.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c84d; font-size: .8em"
평택시]]
[[포천시/정치|파일:포천시 CI.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aa4b5; font-size: .8em"
포천시]]
[[하남시/정치|파일:하남시 CI.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c84d; font-size: .8em"
하남시]]
[[화성시/정치|파일:화성시 CI.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c84d; font-size: .8em"
화성시]]

[[가평군/정치|파일:가평군 CI.svg

가평군]]
[[양평군/정치|파일:양평군 CI.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c84d; font-size: .8em"
양평군]]
[[연천군/정치|파일:연천군 CI.svg

연천군]]




1. 기본 정보[편집]



1.1. 선거구 정보[편집]


파일:평택시 CI.svg 경기도 평택시 국회의원/도의원 선거구
국회의원도의원지역
평택시 갑평택시1진위면, 서탄면, 지산동, 송북동, 신장1동, 신장2동
평택시2중앙동, 서정동, 송탄동, 통복동, 세교동
평택시3비전1동, 동삭동
평택시 을평택시4비전2동, 용이동
평택시5안중읍, 포승읍, 청북읍, 오성면, 현덕면
평택시6팽성읍, 고덕면, 신평동, 원평동, 고덕동


1.2. 시의회[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평택시의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펼치기 · 접기 ]
제9대 의회
2022.7.1. ~ 2026.6.30.
[[더불어민주당|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svg

10석, 시장 소속 정당
]]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svg

8석
재적

18석


2. 지역 특성[편집]


평택시는 송탄에 위치한 미군부대 및 전형적인 경기 외곽 농촌지역으로 보수 성향이 뚜렷한 지역이었다. 특히 송탄 ↔ 평택 + 안중 지역으로 나뉜 갈등은 정치에서 드러난다. 주한미군 기지를 낀 송탄 지역은 전통적인 보수정당 텃밭이지만, 쌍용자동차 문제 같은 사안으로 뜨거웠던 평택을 지역은 민주당계 국회의원인 정장선이 국회의원 3선을 했을 만큼 갑구보다는 민주당 지지율이 높은 편이다.

총선의 경우 13대와 14대에선 당시 여당인 민주정의당 - 민주자유당이 의석을 휩쓸었다. 15대에서 평택시 갑에서는 무소속 원유철 후보, 평택시 을에서는 자유민주연합 허남훈 후보가 당선되었다. 16대에서는 갑/을 모두 민주당계 정당이 의석을 차지했다. 갑 지역구에서 원유철새천년민주당에 입당한 채로 재선에 성공했고, 을 지역구에서는 새천년민주당 정장선 후보가 당선되었다. 17대에서도 탄핵역풍으로 갑/을 모두 열린우리당이 차지해 2회 연속 민주당계 정당이 평택 지역구를 휩쓸었다. 노무현 정부 평가로 치러진 18대에선 갑 지역은 원유철이 3선에 성공하면서 지역구에 복귀하였지만, 을 지역구는 여전히 정장선의 3선 성공으로 마무리되었다.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선 평택을 지역에서 정장선 현역 국회의원의 불출마 선언과 함께 새누리당 이재영 후보가 당선되는 이변이 일어나며 갑을 지역 모두 새누리당이 석권했다. 이 기세는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이어져 새누리당의 총선 참패, 특히 수도권 대패에도 불구하고 갑, 을 두 지역 모두 석권하였다. 총선 참패의 주범 중 하나로 찍힌 원유철 당시 원내대표도 무난하게 재당선됐다. 이는 20대 총선 당시 국민의당 창당으로 인한 민주당 지지층의 분열, 전임 시장 출마자의 삽질로 인한 효과로 보는 것이 더 타당할 것이다. 20대 총선 을 지역은 아주 근소한 차이로 새누리당 유의동 후보가 당선되었다.

2017년 5월 9일 열린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가 38.4%를 얻어 2위와 약 15%의 큰 격차로 1위를 차지했다. 그동안 보수 강세지역이었던 평택의 정치 구도가 완전히 뒤집혔음이 확인된 선거로서, 자유한국당홍준표 후보는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여파로 인해 23%의 득표율에 머물러, 23.5%를 얻은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에게도 밀리며 3위로 떨어졌다.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도지사 선거에서도 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54.8%를 득표해 자유한국당 남경필 후보를 36,190표, 17.6% 차로 크게 꺾었다. 평택시장 선거는 민주당 정장선 후보가 출마하여 자유한국당 공재광 현직 시장을 무려 48,618표, 23.5% 차로 더블스코어 가까이 따돌리며 압승했다.

그러나 2020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선 수도권에서 더불어민주당이 의석을 싹쓸이하는 와중에도[1] 두 지역구 모두 3% 이내의 초박빙을 벌이며 양당이 한 석씩 가져갔다. 문재인 정부 중간평가로 치러졌기에 평택의 기존 보수 성향이 돌아온 것으로 해석할 수 있는 결과였으나...

고덕국제도시, 소사벌지구의 입주로 인구가 급격히 늘어나면서[2], 평택의 민심은 친 민주당에 가까워졌다. 2022년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 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에 9,400표 차, 2.8% 격차로 승리했다. 19대 대선과 비교했을 때, 전국적으로는 민주당 6.7%, 국민의힘 24.5% 득표율이 증가했고, 경기도에선 민주당 8.8%, 국민의힘 24.9% 증가했으나, 평택시에선 민주당 11.1%, 국민의힘 23.6%가 증가해 민주당 쪽에 무게추가 실렸다. 특히 구 평택시, 송탄시, 평택군 세 개 지역 모두 이재명 후보가 이긴 데다, 5년 전 대선에서 문재인이 30%도 못넘던 면 지역조차 이재명은 40%를 돌파했다. 이 점은 예전의 보수 강세지역에서 경합지로 민심이 완벽히 변화하였음을 시사한다.

이후 3개월 만에 이어진 제8회 지선에서도 똑같은 결론에 도달한 것 같다. 더불어민주당 정장선 후보가 국민의힘 최호 후보를 약 9,000표 차이로 이기면서 대선과 비슷한 득표율 차이로 시장에 당선됐다. 그러나 평택시민 중 국민의힘 김은혜 후보를 찍은 사람이 더불어민주당 김동연 후보를 찍은 사람보다 약 8,000명 더 많이 나오면서 반대의 결과가 나왔다. 시의원도 전체 18석 중 더불어민주당이 10석, 국민의힘이 8석을 가져가면서 민주당이 과반을 차지했다. 그러나 도의원 6석 중 4석을 국민의힘이 가져가는 등 교차 투표가 많은 양상을 보였다.

다가오는 선거는 2024년의 22대 총선인데, 인구가 선거구 2석 상한을 사실상 돌파하였기 때문에 갑/을/병으로 선거구가 조정될 것으로 보인다.


3. 역대 선거 결과[편집]


평택시 국회의원
송탄시·평택시평택군
13대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권달수,(초선),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이자헌,(4선),
14대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김영광,(재선),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이자헌,(5선),
평택시 갑평택시 을
15대
[[무소속|
무소속
]]
원유철,(초선),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허남훈,(초선),
16대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원유철,(재선),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정장선,(초선),
17대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우제항,(초선),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정장선,(재선),
18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원유철,(3선),

[[통합민주당(2008년)|
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정장선,(3선),
19대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원유철,(4선),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이재영,(초선)[3],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유의동,(초선)[4],
20대원유철,5선,유의동,(재선),
21대홍기원,(초선),유의동,(3선),

파일:평택시 CI.svg 역대 평택시장 선거 결과
199519981999 재보궐20022006
민주자유당자유민주연합한나라당한나라당
김선기[5]송명호
2010201420182022
민주당새누리당더불어민주당
김선기공재광정장선
주요 후보 득표율
구분주요 후보 득표율
1995년1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김선기 28.70%

2위:
[[무소속|
무소속
]]
이주상 18.19%
3위: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이계완 15.19%
4위:
[[무소속|
무소속
]]
한양석 11.97%
5위:
[[무소속|
무소속
]]
이민호 11.82%
1998년1위: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김선기 73.29%

2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박정수 26.70%
2002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김선기 51.00%

2위: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허남훈 34.36%
3위:
[[민주노동당|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
김용한 14.63%
2004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송명호 50.99%

2위: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윤주학 43.14%
2006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송명호 53.72%

2위: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유성 20.97%
3위:
[[민주노동당|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
남정수 11.55%
2010년1위:
[[민주당(2008년)|
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김선기 48.70%

2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송명호 41.43%
2014년1위: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공재광 52.19%

2위:
[[새정치민주연합|
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김선기 44.94%
2018년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정장선 61.75%

2위: 공재광 38.24%
2022년1위: 정장선 52.08%
2위: 최호 47.91%
[1] 수도권에 걸린 121석 중 무려 103석을 민주당이 획득했다. 경기도에선 전체 59석 중 51석을 민주당이 가져갔다.[2] 실제로 2017년 47만 명이던 평택 인구는 2022년 불과 5년 만에 56만 명까지 늘었다. 중간에 있던 2020년 총선 때는 51만 명. 2년 만에 5만 명이 더 증가한 셈이다.[3] 14.1.16. 의원직 상실(선거법 위반)[4] 14.7.30. 재보궐선거[5] 03.12.16. 시장직 사퇴 (당선직 무효형 판결 직전)


3.1. 지선[편집]


8회 지선 평택시 개표 결과
경기도지사 선거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격차투표율
후보김동연김은혜(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96,908
(47.08%)
104,256
(50.65%)
- 7,348
(▼3.57)
208,218
(43.52%)
구 송탄시
득표율20,202
(45.39%)
23,274
(52.29%)
- 3,072
(▼6.90)
45,087
(38.91%)
중앙동[A]46.91%50.65%▼3.7441.48
서정동[B]44.23%53.36%▼9.1335.64
송탄동[C]49.02%48.62%△0.4039.17
지산동[D]45.44%51.87%▼6.4233.47
송북동[E]44.02%54.25%▼10.2342.65
신장1동[F]40.73%56.93%▼16.2435.64
신장2동[*F ]35.89%61.50%▼25.6136.20
구 평택시
득표율37,738
(48.90%)
37,866
(49.07%)
- 128
(▼0.17)
77,889
(41.89%)
신평동[G]40.77%57.23%▼16.4737.03
원평동[H]43.36%54.45%▼11.0941.45
통복동[I]40.46%57.63%▼17.1745.33
비전1동[J]51.95%46.07%△5.8842.81
비전2동[K]47.70%50.19%▼2.4943.47
세교동[L]48.08%50.19%▼2.1142.78
용이동[M]53.93%43.72%△10.2144.72
동삭동[N]52.27%45.76%△6.5138.51
구 평택군
득표율26,293
(45.32%)
30,422
(52.44%)
- 4,129
(▼7.12)
58,712
(39.13%)
고덕동[O]48.11%49.73%▼1.6335.60
팽성읍[P]37.55%60.17%▼22.6239.12
안중읍51.48%46.23%△5.2539.48
포승읍[Q]47.53%50.12%▼2.5934.49
청북읍50.51%47.57%△2.9437.61
진위면[R]43.27%54.69%▼11.4142.49
서탄면[S]34.00%63.30%▼29.3049.33
고덕면42.79%55.08%▼12.3037.73
오성면36.72%60.72%▼24.0045.45
현덕면38.33%59.14%▼20.8156.00
후보김동연김은혜격차
거소투표43.62%48.70%▼5.08
관외사전투표48.69%48.50%△0.19
국회의원
선거구
김동연김은혜격차투표율
평택시 갑[T][6]47.32%50.54%▼3.2340.36
평택시 을[U][7]46.44%51.35%▼4.9040.07
지역김동연김은혜격차투표율
동 지역[V]47.64%50.22%▼2.5840.47
읍 지역[W]46.97%50.81%▼3.8437.99
면 지역[X]40.16%57.53%▼17.3744.07

평택시장 선거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격차투표율
후보정장선최호(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07,159
(52.08%)
98,566
(47.91%)
+ 8,593
(△4.18)
208,206
(43.52%)
구 송탄시
득표율21,710
(48.78%)
22,793
(51.21%)
- 1,083
(▼2.43)
45,075
(38.90%)
중앙동[*A ]50.81%49.18%△1.6341.47
서정동[*B ]47.81%52.18%▼4.3735.65
송탄동[*C ]53.22%46.77%△6.4539.18
지산동[*D ]46.85%53.14%▼6.2933.47
송북동[*E ]46.20%53.79%▼7.5842.60
신장1동[*F ]44.87%55.12%▼10.2535.62
신장2동[*F ]39.72%60.27%▼20.5436.18
구 평택시
득표율43,025
(55.75%)
34,141
(44.24%)
+ 8,884
(△11.51)
77,869
(41.88%)
신평동[*G ]47.43%52.56%▼5.1237.03
원평동[*H ]50.41%49.58%△0.8441.44
통복동[*I ]48.93%51.06%▼2.1345.33
비전1동[*J ]58.71%41.28%△17.4442.80
비전2동[*K ]55.23%44.76%△10.4743.45
세교동[*L ]54.77%45.22%△9.5442.77
용이동[*M ]60.15%39.84%△20.3044.73
동삭동[*N ]58.50%41.49%△17.0238.51
구 평택군
득표율28,781
(49.66%)
29,172
(50.33%)
- 391
(▼0.67)
58,677
(44.04%)
고덕동[*O ]50.00%50.00%= 동률[8]35.60
팽성읍[*P ]44.10%55.89%▼11.7939.12
안중읍56.56%43.43%△13.1239.45
포승읍[*Q ]51.62%48.37%△3.2634.48
청북읍53.74%46.25%△7.5037.58
진위면[*R ]44.26%55.73%▼11.4642.45
서탄면[*S ]34.90%65.09%▼30.1849.17
고덕면47.60%52.39%▼4.7937.69
오성면43.95%56.04%▼12.0945.42
현덕면43.69%56.30%▼12.6255.98
후보정장선최호격차
거소투표48.00%51.99%▼3.98
관외사전투표52.45%47.54%△4.90


3.2. 대선[편집]



3.2.1. 제13대 대통령 선거[편집]


평택군
평택군 일원
정당
후보노태우김영삼김대중김종필
득표수31,77717,2379,3145,059
득표율49.98%27.11%14.65%7.95%
순위1위2위3위4위
선거인 수73,636
투표 수65,087
무효표 수1,514
투표율88.39%


3.2.2. 제14대 대통령 선거[편집]


평택군
평택군 일원
정당
후보김영삼김대중정주영박찬종
득표수20,56817,54617,0423,799
득표율34.23%29.20%28.36%6.32%
순위1위2위3위4위
선거인 수76,015
투표 수61,219
무효표 수1,134
투표율80.54%


3.2.3. 제15대 대통령 선거[편집]


평택시 을
팽성읍, 고덕면, 오성면, 청북면, 포승면, 현덕면,
안중면, 신평동, 원평동, 비전1동, 비전2동
정당
후보이회창김대중이인제
득표수31,40736,79627,389
득표율31.85%37.31%27.77%
순위2위1위3위
선거인 수125,297
투표 수100,120
무효표 수1,511
투표율79.91%


3.2.4. 제16대 대통령 선거[편집]


평택시
평택시 일원[평택]
정당
후보이회창노무현권영길
득표수74,71680,30713,750
득표율43.97%47.26%8.09%
순위2위1위3위
선거인 수251,267
투표 수171,427
무효표 수1,517
투표율68.23%


3.2.5. 제17대 대통령 선거[편집]


평택시
평택시 일원[평택]
정당
후보정동영이명박권영길문국현이회창
득표수37,12088,31910,31410,95926,749
득표율21.08%50.17%5.85%6.22%15.19%
순위2위1위5위4위3위
선거인 수296,098
투표 수176,789
무효표 수752
투표율59.71%


3.2.6. 제18대 대통령 선거[편집]


경기도 평택시
평택시 일원[평택]
정당
후보박근혜문재인
득표수135,781101,851
득표율56.87%42.66%
순위1위2위
선거인 수343,350
투표 수248,239
무효표 수901
투표율72.30%

18대 대선 경기도 평택시 개표 결과
정당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박근혜문재인
득표수
(득표율)
135,781
(56.87%)
101,851
(42.66%)
+33,930
(△14.21)
72.30%
팽성읍64.09%35.52%△28.5765.50
안중읍49.61%49.92%0.3173.78
포승읍55.65%43.91%△11.7465.21
진위면57.53%42.09%△15.4470.62
서탄면67.44%32.08%△35.3674.29
고덕면59.67%39.84%△19.3871.38
오성면67.39%31.85%△35.5472.61
청북면52.70%46.76%△5.9470.80
현덕면69.16%30.28%38.8870.69
중앙동53.29%46.31%△6.9875.15
서정동57.23%42.36%△14.8765.48
송탄동57.43%42.19%△15.2472.16
지산동56.40%43.20%△13.2067.75
송북동57.55%42.20%△15.3572.18
신장1동66.07%33.50%△32.5759.01
신장2동67.66%31.97%△35.6962.85
신평동58.85%40.82%△18.0369.62
원평동56.63%42.94%△13.6970.99
통복동62.54%37.14%△25.4069.30
비전1동57.23%42.36%△14.8774.47
비전2동54.89%44.78%△10.1176.89
세교동55.57%43.96%△11.6176.23
후보박근혜문재인격차
국외부재자투표42.65%56.31%13.66
국내부재자투표54.20%44.63%△9.57

3.2.7. 제19대 대통령 선거[편집]


평택시
평택시 일원[평택]
정당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
득표수104,57462,82764,05719,32120,128
득표율38.37%23.05%23.50%7.08%7.38%
순위1위3위2위5위4위
선거인 수379,547
투표 수273,677
무효표 수1,159
투표율72.11%

19대 대선 경기도 평택시 개표 결과
정당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
득표수
(득표율)
104,574
(38.37%)
62,827
(23.05%)
64,057
(23.50%)
19,321
(7.08%)
20,128
(7.38%)
+40,517
(△14.87)
72.11%
팽성읍31.51%32.69%23.02%6.57%5.51%▼1.1862.17
안중읍42.78%18.81%22.23%6.54%9.11%20.5572.25
포승읍39.12%22.99%23.55%6.61%7.02%△15.5763.69
청북읍42.46%19.34%23.14%7.32%7.30%△19.3271.28
진위면33.51%27.93%24.54%5.98%7.10%△5.5867.60
서탄면27.49%38.09%23.96%5.05%4.64%10.6067.47
고덕면33.85%28.0%24.50%6.41%6.69%△5.8566.57
오성면29.67%32.30%24.95%5.92%6.50%▼2.6369.59
현덕면28.41%36.18%23.04%5.83%5.74%▼7.7767.99
중앙동38.20%22.81%23.81%7.54%7.10%△14.3973.54
서정동36.36%25.56%25.08%6.70%7.35%△10.8063.25
송탄동38.37%22.54%23.85%7.39%7.36%△14.5275.77
지산동38.63%22.57%23.48%6.33%8.41%△15.1566.95
송북동34.73%26.78%24.27%6.46%7.32%△7.9570.33
신장1동31.96%27.14%26.28%7.90%6.20%△4.8259.38
신장2동27.60%34.23%25.90%6.0%5.50%▼6.6358.03
신평동35.02%26.88%23.65%6.84%6.93%△8.1465.40
원평동36.19%26.35%23.77%6.53%6.59%△9.8469.60
통복동34.05%30.45%22.84%6.02%6.21%△3.6072.91
비전1동41.36%19.40%23.72%7.30%7.75%△17.6472.12
비전2동40.86%20.64%23.0%7.78%7.25%△17.8676.25
세교동38.47%22.06%24.31%7.0%7.66%△14.4674.39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격차
거소 및 선상투표32.80%18.08%31.20%11.77%3.70%△1.60[9]
관외사전투표43.90%16.22%22.06%8.38%8.74%△21.84
재외투표61.56%7.24%16.50%3.27%10.51%45.06

3.2.8. 제20대 대통령 선거[편집]


평택시
평택시 일원[평택]
정당
후보이재명윤석열
득표수166,032156,630
득표율49.44%46.64%
순위1위2위
선거인 수472,732
투표 수338,768
무효표 수2,963
투표율71.66%

20대 대선 평택시 개표 결과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격차투표율
후보이재명윤석열(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66,032
(49.44%)
156,630
(46.64%)
+ 9,402
(△2.80)
338,768
(71.66%)
구 송탄시
득표율36,660
(48.95%)
35,206
(47.01%)
+ 1,454
(△1.94)
75,600
(66.91%)
중앙동[*A ]48.77%47.10%△1.6769.26
서정동[*B ]49.20%46.95%△2.2663.22
송탄동[*C ]52.24%43.88%△8.3670.95
지산동[*D ]50.05%45.88%△4.1762.75
송북동[*E ]47.35%48.69%▼1.3469.01
신장1동[*F ]46.94%48.41%▼1.4763.43
신장2동[*F ]43.45%52.46%▼9.0059.57
구 평택시
득표율64,091
(50.05%)
59,193
(46.23%)
+ 4,898
(△3.83)
128,994
(71.58%)
신평동[*G ]44.11%52.07%▼7.9664.20
원평동[*H ]46.55%49.14%▼2.5971.13
통복동[*I ]45.32%51.00%▼5.6877.18
비전1동[*J ]52.37%43.83%△8.5472.42
비전2동[*K ]48.45%47.86%△0.5972.66
세교동[*L ]49.37%47.05%△2.3370.63
용이동[*M ]54.44%42.05%△12.3974.58
동삭동[*N ]52.79%43.56%△9.2471.59
구 평택군
득표율48,451
(49.52%)
45,563
(46.57%)
+ 2,888
(△2.95)
98,469
(68.70%)
고덕동[*O ]49.37%46.46%△2.9072.00
팽성읍[*P ]43.46%53.21%▼9.7664.98
안중읍54.05%41.69%△12.3669.16
포승읍[*Q ]51.85%44.14%△7.7165.13
청북읍55.95%40.44%△15.5269.47
진위면[*R ]47.13%48.66%▼1.5367.56
서탄면[*S ]39.81%56.15%▼16.3472.89
고덕면45.88%49.99%▼4.1168.37
오성면42.68%53.29%▼10.6072.74
현덕면44.42%52.44%▼8.0278.22
후보이재명윤석열격차
거소·선상투표39.86%51.26%▼11.39
관외사전투표47.88%47.83%△0.06
재외투표61.64%33.23%△28.41
국회의원
선거구
이재명윤석열격차투표율
평택시 갑[*T ][10]49.34%46.72%△2.6269.15
평택시 을[*U ][11]49.84%46.38%△3.4669.69
지역이재명윤석열격차투표율
동 지역[*V ]49.63%46.51%△3.1269.89
읍 지역[*W ]51.41%44.75%△6.6667.33
면 지역[*X ]44.80%51.25%▼6.4570.91

3.3. 총선[편집]


21대 총선 평택시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평택시 갑)
정당더불어민주당미래통합당격차투표율
후보홍기원공재광(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62,564
(50.22%)
59,063
(47.41%)
+ 3,501
(△2.81)
126,228
(59.02%)
[ 펼치기 · 접기 ]
구 송탄시
득표율29,247
(48.85%)
29,214
(48.79%)
+ 33
(△0.06)
60,694
(54.97%)
중앙동[*A ]49.94%47.98%△1.9758.50
서정동[*B ]46.84%50.43%▼3.5951.20
송탄동[*C ]52.88%44.82%△8.0658.44
지산동[*D ]52.01%45.31%△6.6950.99
송북동[*E ]46.63%51.10%▼4.4656.83
신장1동[*F ]45.55%51.44%▼5.8846.12
신장2동[F]40.84%56.95%▼16.1149.32
구 평택시
득표율24,128
(51.80%)
21,487
(46.13%)
+ 2,641
(△5.67)
47,045
(56.95%)
통복동[*I ]41.46%56.80%▼15.3464.57
비전1동[*J ]54.11%43.81%△10.3058.40
세교동[*L ]48.41%49.45%▼1.0461.04
구 평택군
득표율3,053
(42.64%)
3,939
(55.02%)
- 886
(▼12.38)
7,268
(59.45%)
진위면[*R ]44.58%53.06%▼8.4855.09
서탄면[*S ]37.54%60.17%▼22.6362.52
후보홍기원공재광격차투표율
거소·선상투표40.33%53.22%▼12.88
관외사전투표56.23%40.10%△16.13
재외투표71.20%27.20%△44.00
국회의원 선거 (평택시 을)
정당더불어민주당미래통합당격차투표율
후보김현정유의동(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57,540
(46.11%)
59,491
(47.67%)
- 1,951
(▼1.56)
126,373
(58.83%)
[ 펼치기 · 접기 ]
구 평택시
득표율22,779
(45.67%)
23,939
(48.00%)
- 1,160
(▼2.33)
50,380
(58.82%)
신평동[*G ]39.80%53.35%▼13.5453.22
원평동[*H ]40.84%52.03%▼11.2058.08
비전2동[*K ]45.98%47.83%▼1.8560.44
용이동[*M ]52.81%41.44%△11.3661.54
구 평택군
득표율28,402
(45.47%)
30,351
(48.59%)
- 1,949
(▼3.12)
63,216
(54.50%)
팽성읍[*P ]36.27%59.07%▼22.8152.21
안중읍50.39%43.04%△7.3556.06
포승읍[*Q ]48.68%44.77%△3.9150.45
청북읍52.54%41.12%△11.4255.00
고덕면44.11%49.86%▼5.7453.78
오성면34.77%59.30%▼24.5459.46
현덕면35.56%60.34%▼24.7963.80
후보김현정유의동격차투표율
거소·선상투표46.19%36.24%△9.96
관외사전투표51.28%42.35%△8.93
재외투표68.22%25.23%△42.99

비례대표 선거
정당미래한국당더불어시민당정의당국민의당열린민주당격차투표율
득표수
(득표율)
83,667
(34.56%)
79,613
(32.88%)
22,270
(9.19%)
16,247
(6.71%)
12,504
(5.16%)
+ 4,054
(△1.67)
252,609
(58.90%)
[ 펼치기 · 접기 ]
구 송탄시
득표율20,975
(36.12%)
19,116
(32.92%)
5,080
(8.75%)
3,569
(6.14%)
2,781
(4.79%)
+ 1,859
(△3.20)
60,724
(55.00%)
중앙동[*A ]34.22%32.88%9.67%6.71%5.04%△1.3458.55
서정동[*B ]36.90%32.24%7.55%5.22%4.50%△4.6651.26
송탄동[*C ]32.35%35.74%9.90%7.09%5.44%▼3.4058.42
지산동[*D ]34.62%35.18%8.85%5.82%5.00%▼0.5651.00
송북동[*E ]39.64%32.04%8.08%5.65%4.32%△7.6056.84
신장1동[*F ]40.51%28.95%8.33%6.49%4.24%△11.5746.13
신장2동[*F ]45.58%29.42%5.45%4.71%3.73%△16.1749.32
구 평택시
득표율31,178
(33.24%)
31,534
(33.62%)
8,979
(9.57%)
7,137
(7.61%)
4,880
(5.20%)
- 356
(▼0.38)
97,427
(59.12%)
신평동[*G ]40.23%28.65%7.65%6.20%3.85%△11.5953.21
원평동[*H ]38.99%29.01%7.58%6.60%4.25%△9.9758.08
통복동[*I ]42.74%31.12%6.48%5.51%4.04%△11.6264.57
비전1동[*J ]29.46%35.92%10.45%8.39%5.80%▼6.4758.41
비전2동[*K ]34.20%32.73%9.55%7.73%5.25%△1.4760.44
세교동[*L ]34.63%33.14%10.08%7.00%4.24%△1.4861.04
용이동[*M ]28.75%37.01%10.03%8.12%6.46%▼8.2661.53
구 평택군
득표율24,823
(36.77%)
21,178
(31.37%)
6,013
(8.90%)
3,920
(5.80%)
3,331
(4.93%)
+ 3,645
(△5.40)
70,483
(54.74%)
팽성읍[*P ]44.72%27.46%6.32%5.27%4.15%△17.2652.20
안중읍30.53%34.52%10.44%6.13%5.50%▼3.9956.06
포승읍[*Q ]34.51%33.20%9.35%5.71%5.69%△1.3150.45
청북읍29.97%36.35%10.47%6.31%5.08%▼6.3855.00
진위면[*R ]39.90%29.46%8.61%5.42%4.57%△10.4455.11
서탄면[*S ]47.88%24.09%6.74%4.28%4.70%△23.7862.52
고덕면37.48%30.22%8.72%7.30%4.59%△7.2653.76
오성면45.89%24.23%7.41%5.04%4.00%△21.6659.45
현덕면46.87%25.10%7.41%3.75%4.34%△21.7763.80
정당미래한국당더불어시민당정의당국민의당열린민주당격차
거소·선상투표29.25%29.51%7.55%10.85%2.77%▼0.26
관외사전투표29.53%34.44%9.75%6.94%6.78%▼4.91
재외투표19.91%38.52%12.12%5.19%12.98%▼18.61


[A] 법정동 서정동(남부) · 이중동 · 장당동[B] 법정동 서정동(북부)[C] 법정동 가재동 · 장안동 · 도일동 · 칠원동 · 칠괴동 · 모곡동. 쌍용자동차 본사가 있는 동네[D] 법정동 지산동(서부) · 신장동(경부선 동쪽)[E] 법정동 지산동(동부) · 신장동(경부선 동쪽) · 독곡동[F] 오산 공군기지가 있는 동네[G] 법정동 평택동(경부선 동쪽) · 합정동 · 유천동[H] 법정동 평택동(경부선 서쪽) · 통복동(경부선 서쪽) · 군문동 · 신대동[I] 법정동 통복동(경부선 동쪽)[J] 법정동 비전동(북부) · 죽백동 · 청룡동 · 월곡동. 소사벌지구가 있는 동네[K] 법정동 비전동(남부) · 용이동(서부) · 소사동[L] 법정동 세교동 · 지제동. 지제·세교지구가 있는 동네[M] 법정동 용이동(동부). 평택대학교가 있는 동네[N] 지제·세교지구가 있는 동네[O] 고덕국제신도시로 이루어진 동네[P] 평택 미군기지가 있는 동네[Q] 평택항만 및 해군기지가 있는 동네[R] LG전자 사업장이 있는 동네[S] 오산 공군기지, 공군작전사령부가 있는 동네[T] 중앙동, 서정동, 송탄동, 지산동, 송북동, 신장1동, 신장2동, 통복동, 비전1동, 세교동, 동삭동, 진위면, 서탄면[6] 지역구 국회의원: 홍기원 (더불어민주당, 초선)[U] 신평동, 원평동, 비전2동, 용이동, 고덕동, 팽성읍, 안중읍, 포승읍, 청북읍, 고덕면, 오성면, 현덕면[7] 지역구 국회의원: 유의동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3선)[V] 구 평택시 + 송탄시 + 고덕동[W] 팽성읍, 안중읍, 포승읍, 청북읍[X] 진위면, 서탄면, 고덕면, 오성면, 현덕면[8] 두 후보 모두 2,981표로 같은 수의 표를 얻었다.[평택] A B C D E 팽성읍, 안중읍, 포승읍, 청북읍, 진위면, 서탄면, 고덕면, 오성면, 현덕면, 중앙동, 서정동, 송탄동, 지산동, 송북동, 신장1동, 신장2동, 신평동, 원평동, 통복동, 비전1동, 비전2동, 세교동[9] 불과 19표 차이였다.[10] 지역구 국회의원: 홍기원 (더불어민주당, 초선)[11] 지역구 국회의원: 유의동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3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