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안동 김씨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김선평을 시조로 하는 김씨에 대한 내용은 신 안동 김씨 문서
신 안동 김씨번 문단을
신 안동 김씨#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한국의 성씨
[ 펼치기 · 접기 ]
· · · · · 강전 · · · · · · · · · · · · · · · · · · · · ·
· · · 남궁 · · · · ·
· · · · · · · 독고 · · · 동방 · · · 등정
· · · · · · · ·
· · 망절 · · · · · · · · 무본 · · · ·
· · · · · · · · · · · · · ·
· 사공 · · · · · 서문 · · · 선우 · · · · · 소봉 · · · · · · · · ·
· · · · · · 어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장곡 · · · · · · 제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황목 · 황보 · ·
초록색: 2015년 기준으로 총 인구 100명 미만인 성씨
한자 표기가 다르더라도 한글 표기가 같으면 합산됨

(舊/先) 安東 金氏>
(구/선) 안동 김씨
관향경상북도 안동시
도시조김알지(金閼智)
비조김부(金傅)
시조김숙승(金叔承)
중시조김방경(金方慶)
집성촌서울특별시
대구광역시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원주시, 춘천시
충청남도 아산시, 천안시
경상북도 경주시, 안동시
부산광역시
황해도 해주시, 개풍군
인구519,719명(2015년)
사이트안동김씨대종회
1. 개요
2. 역사
3. 인물
3.1. 정재계 인사
3.2. PD
3.3. 작가
3.4. 체육인
4. 분적(分籍)된 김씨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경순왕(敬順王)의 손자 김숙승(金叔承)[1]을 시조로 하는 안동 김씨. 일반적으로 안동 김씨로 칭하나, 신 안동 김씨(후 안동 김씨)와의 구별을 위해 구 안동 김씨(선 안동 김씨)라고 하기도 한다. 고려 후기 몽골과의 전쟁과 여몽연합군의 일본원정에서 맹활약한 명장이자 수상격인 문하시중·첨의중찬을 지낸 김방경(金方慶)이 중시조이다.[2]


2. 역사[편집]


고려 공민왕신돈을 탄핵하고 고려가 망하자 첩첩산중에 은거한 충신 김사렴의 아우이자 조선 왕조 1등 개국공신 김사형의 이야기가 유명하다. 김사렴으로부터 안렴사공파, 김사형으로부터 익원공파가 분파하였다. 진주 대첩김시민(金時敏) 목사(牧使), 강홍립이 이끌고 출정했던 후금 정벌군의 전선 지휘관으로 훗날 명나라로부터 백작 작위를 받는 김응하 등도 모두 선 안동 김씨다. 김시민, 김응하는 모두 충무공의 시호를 받았다.[3] 현재 우리가 가장 잘 알고 있는 김구는 바로 선 안동김씨 사람이다.

선 안동 김씨는 조선 중기 이후 몰락에 가까운 위기에 처한다, 그 모든 중심에는 김자점(金自點)이 있다. 김자점(金自點)은 1623년 3월(광해군 재위 15년)에 이괄과 함께 인조반정을 일으켜 정 6품직에 오른다.(나중에 다시 승정원동부승지로 특별승진) 후일 병자호란(丙子胡亂)때 도원수가 되어 토산 전투에서 대패하자 삭탈관직 당하고(적절한 대응을 하지 못함) 호란이 끝난 뒤 조야의 처벌 요구로 유배당한다. 그러나 김자점은 1639년(인조 17년) 사면되고 1640년(인조 18년) 복직된다. 하지만 효종 때 산당 세력에게 탄핵당해 1650년 파직되고 강원도 홍천으로 유배당한다. 이에 앙심을 품고 청나라한테 효종이 청나라를 적대시하는 북벌론을 지지하고 명나라의 연호를 사용한다며 밀고하여 나라에 큰 혼란을 불러오게되는데, 다행히도 이경석, 이시백 등의 활약으로 청나라 군대를 돌려보낸다. 이후 김자점은 전라도 광양으로 유배당하지만 그 후에도 손자며느리인 효명옹주 저주사건, 아들과 손자들의 군사반란이 발각되면서 아들, 손자들과 함께 역모로 몰려 사형당하고 가문은 몰락한다(...). 임시 정부 주석을 지낸 김구가 김자점의 방계 후손인데, 백범 일지에서 집안이 상놈의 패를 찼다(...)고 언급하는 사건이 이것이다.

그러나 김자점 이후에도 좌승지 김구만(龜萬)뿐만 아니라, 삼도수군통제사 가 총 9명[4], 도승지, 병조참판을 역임한 김광국(光國) 등이 있는 것을 보면 김자점의 정치적 몰락으로 인해 벼슬길이 막혔다거나 가문이 몰락했다고 보기는 어렵다.[5][6] 다만 판서 이상의 벼슬은 김자점 이후에는 김구의 아들 김신이 현대 대한민국에 와서야 교통부장관이 된 것이 처음이다.[7][8]


3. 인물[편집]



3.1. 정재계 인사[편집]




3.2. PD[편집]




3.3. 작가[편집]





3.4. 체육인[편집]





4. 분적(分籍)된 김씨[편집]




5. 둘러보기[편집]


[ 펼치기 · 접기 ]
선도성모문열왕은열왕감문왕문의왕장무왕장렬왕
朴1
시조 혁거세왕
알영
朴2
남해왕
운제청평군박민세조 알지왕사요왕
朴3
유리왕
아효昔4
시조 탈해왕
지소례왕일지왕태조 성한왕사요왕의 딸
朴7
일성왕
朴5
파사왕
석구추김아도허루왕
朴8
아달라왕
朴6
지마왕
昔9
벌휴왕
김수류마제왕
아도왕세신왕이칠왕김욱보
昔11
조분왕
昔12
첨해왕
昔10
내해왕
술례부인구도왕
昔14
유례왕
석걸숙내음왕석우로광명부인金13
미추왕
김말구
昔15
기림왕
昔16
흘해왕
金17
내물왕
김대서지
金19
눌지왕
파호왕김미사흔金18
실성왕
金20
자비왕
습보왕김내숙
金21
소지왕
金22
지증왕
선혜부인김물력
聖23
법흥왕
입종왕김거칠부
聖24
진흥왕
김숙흘종
복승왕동륜왕聖25
진지왕
김만명
마야부인 김행의聖26
진평왕
진정왕진안왕만천왕문흥왕김마차
聖27
선덕왕
김천명비담聖28
진덕왕
김알천眞29
태종 무열왕
현성왕흥무왕
眞30
문무왕
김인문무열왕의 딸신영왕
眞31
신문왕
흥평왕
眞32
효소왕
眞33
성덕왕
명덕왕
개성왕김사소효상태자眞34
효성왕
眞35
경덕왕
김주원眞38
열조 원성왕
眞37
선덕왕
眞36
혜공왕
김헌창혜충왕헌평태자혜강왕
眞39
소성왕
眞41
헌덕왕
眞42
흥덕왕
선강왕익성왕성덕왕
眞40
애장왕
헌덕왕태자?眞44
민애왕
眞43
희강왕
眞45
신무왕
眞47
헌안왕
의공왕眞46
문성왕
궁예(?)
성무왕?眞48
경문왕
혜성왕문성왕태자문성왕의 딸
박정화眞49
헌강왕
眞50
정강왕
眞51
진성왕
흥렴왕선성왕의흥왕
朴53
신덕왕
김의성김계아眞52
효공왕
김억렴신흥왕
朴54
경명왕
朴55
경애왕
眞56
경순왕
박언창박언침마의태자
[범례]
실재 혈통 기준
세로선(│) 부자, 사위관계
가로선(─) 형제, 자매관계


[왕조 보기]
■ [朴] 밀양 박씨 왕조
■ [昔] 경주 석씨 왕조
■ [金] 경주 김씨 마립간조
■ [聖] 경주 김씨 성골왕조
■ [眞] 경주 김씨 진골왕조
■ 추존 국왕 및 왕족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개국공신
[ 펼치기 · 접기 ]
1392년 8월 20일 태조에 의해 책록
좌명개국공신 (1등)
김사형남 은1,2남 재배극렴
오몽을1이 제1, 2이지란이 화
장사길정도전1, 3정 총정 탁
정희계조 박4조인옥조 준
김인찬5이방간6, 7이방원6이방의6
협찬개국공신 (2등)
박 포8유 창윤 호이민도
장 담9정용수10조 기조 반
조영규조 온홍길민조 견11
황희석12
익대개국공신 (3등)
고 여김 균김 로손흥종13
심효생1안경공오사충유원정
이 근1이백유이 부이 서
이 직14장지화1함부림황거정13
민여익11임언충11장사정11, 15조영무11
한상경11한 충11
1 1409년 1차 왕자의 난으로 인한 제명
2 1421년 태종 때 복권
3 1865년 고종 때 복권
4 1409년 친척의 아들을 정종의 아들로 속인 혐의로 인한 제명
5 1392년 9월 16일 태조에 의해 책록
6 1398년 2월 15일 정종에 의해 책록
7 1416년 2차 왕자의 난으로 인한 제명
8 1400년 2차 왕자의 난으로 인한 제명
9 1422년 2차 왕자의 난으로 인한 제명
10 1418년 조사의의 난으로 인한 제명, 1437년 세종 때 복권
11 1392년 9월 27일 태조에 의해 책록
12 1392년 11월 19일 태조에 의해 책록
13 1411년 이숭인, 이종학을 죽인 혐의로 인한 제명
14 1415년 민무회, 민무휼의 옥으로 인한 제명, 1422년 세종 때 복권
15 1417년 회안군의 첩과 간통한 혐의로 인한 제명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안동 김씨 문서의 r42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안동 김씨 문서의 r42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2 14:20:08에 나무위키 구 안동 김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족보 및 씨족원류에 따르면 김숙승은 경순왕과 낙랑공주 왕씨의 넷째 아들인 김은열(金殷說)의 차남이라 한다.[2] 김방경(金方慶)의 동생인 김현경의 손자 김영규(최영규)는 수성 최씨의 시조가 되었다.[3] 유독 한 분이 넘사벽으로 유명하지만 조선의 충무공은 모두 9명이다[4] 김영수, 김응해 등[5] 물론 그동안 떵떵 거리며 살던 사람들 입장에선 몰락이다.[6] 말하자면 선 안동 김씨는 본래는 대명문가였지만 김자점의 역모 이후로는 중소명문가로 지위가 떨어졌다고 보면 된다.[7] 김신이 공군참모총장을 역임할 당시 공참총장은 중장 계급으로 차관급의 의전을 받았다. 사실 공참총장이 대장으로 승격된 현재도 장관급의 의전을 받긴하지만, 실질적으로 차관급이긴 하다.[8] 김구가 현 대한민국 대통령에 상당하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주석을 역임하긴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