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데스리가/대한민국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분데스리가


1. 연혁
2. 상세
3. 득점 순위
4. 출전 순위



1. 연혁[편집]


파일:분데스리가 워드마크.svg
순서[1]이름클럽기간[2]등번호출전팀 성적주요 기록
1차범근파일:SV 다름슈타트 98 로고(1971~2005).svg
1978-79[3]1110대한민국 공군으로 징집[4]
파일: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로고(1977~1999).svg
1979-801131129위아시아선수 최초 랑리스테 WK(월드클래스) 선정
아시아선수 최초 키커紙 분데스리가 올해의 팀
1980-812785위
1981-8231118위
1982-83331510위
4시즌합계12246-
파일:바이어 04 레버쿠젠 로고(1988~1996).svg
1983-841134127위
1984-85291013위
1985-8634176위아시아선수 한 시즌 리그 최다 득점
아시아인 리그 한 시즌 최다 골 (17골)
키커紙 분데스리가 올해의 팀 두 번째 선정
1986-873366위
1987-882548위
1988-893038위
6시즌합계18552-
통산 기록합계30898-아시아인 통산 최다 출전 2위[5]
아시아인 통산 최다 골[6]
2박상인파일:MSV 뒤스부르크 로고(2).svg
1981-82?2018위
3김주성파일:VfL 보훔 로고(1987~2000).svg
1992-931613016위
4이동국파일:SV 베르더 브레멘 로고.svg
2000-0121707위
5차두리파일:바이어 04 레버쿠젠 로고.svg
2002-03-0002-03시즌 빌레펠트, 03-04시즌 프랑크푸르트로 임대
2004-05시즌 프랑크푸르트로 완전 이적
파일:DSC 아르미니아 빌레펠트 로고.svg
2002-03722116위
파일: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로고.svg
2003-04931116위
2005-061127314위
2시즌합계584-
파일:1. FSV 마인츠 05 로고.svg
2006-07212016위
파일:SC 프라이부르크 로고.svg
2009-10623114위
파일:포르투나 뒤셀도르프 로고.svg
2012-13221002013년 2월 15일 계약 해지
통산 기록합계1256-
6안정환파일:MSV 뒤스부르크 로고.svg
2005-061912218위
7이영표파일: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로고.svg
2008-0931806위
8손흥민파일:함부르크 SV 로고.svg
2010-11401438위
2011-121527515위
2012-134033127위
3시즌합계7420-
파일:바이어 04 레버쿠젠 로고.svg
2013-14731104위한국인 최초 분데스리가 해트트릭
2014-1530114위
2015-16101R 이후 토트넘 핫스퍼로 완전 이적
3시즌합계6121-
통산 기록합계13541-
9구자철파일:VfL 볼프스부르크 로고.svg
2010-11[7]510015위
2011-12120겨울 이적시장서 FC 아우크스부르크로 임대 이적
2013-1418100겨울 이적시장서 1. FSV 마인츠 05로 완전 이적
3시즌합계220-
파일:FC 아우크스부르크 로고.svg
2011-12[8]1415514위
2012-13721315위
2시즌합계468-
파일:1. FSV 마인츠 05 로고.svg
2013-14[9]131417위
2014-1523511위
2015-16203R 이후 FC 아우크스부르크로 완전 이적
3시즌합계396-
파일:FC 아우크스부르크 로고.svg
2015-161927812위아우크스부르크 소속 선수 분데스리가 첫 해트트릭
2016-1723213위
2017-1828212위
2018-1926215위
4시즌합계10414-
통산 기록합계21128-한국인 두 번째 분데스리가 통산 200경기[10]
10지동원파일:FC 아우크스부르크 로고.svg
2012-13[11]2717515위
2013-14241218위
파일: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로고.svg
2014-152300겨울 이적시장서 FC 아우크스부르크로 완전 이적
파일:FC 아우크스부르크 로고.svg
2014-15221205위
2015-1621012위
2016-1734313위
2017-1830겨울 이적시장서 SV 다름슈타트 98로 임대 이적
2018-1914415위
7시즌합계11313-
파일:1. FSV 마인츠 05 로고.svg
2019-20114013위
2020-2160겨울 이적시장서 브라운슈바이크로 임대 이적
2시즌합계100-
통산 기록합계12313-
11박정빈파일:SpVgg 그로이터 퓌르트 로고.svg
2012-13329018위
12박주호파일:1. FSV 마인츠 05 로고.svg
2013-14242717위
2014-1516011위
2015-16102R 이후 보루시아 도르트문트로 완전 이적
3시즌합계441-
파일: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로고.svg
2015-16350준우승
2016-17203위
2017-18없음00겨울 이적시장서 울산 현대로 완전 이적
3시즌합계70-
통산 기록합계511-
13홍정호파일:FC 아우크스부르크 로고.svg
2013-14201608위
2014-151705위
2015-1623212위
통산 기록합계562-
14류승우파일:바이어 04 레버쿠젠 로고.svg
2014-15[12]24204위
15김진수파일:TSG 1899 호펜하임 로고.svg
2014-15201908위
2015-1615015위
통산 기록합계340-
16정우영파일:FC 바이에른 뮌헨 로고.svg
2018-192010우승한국인 첫 분데스리가 우승
파일:SC 프라이부르크 로고.svg
2019-202900겨울 이적시장서 FC 바이에른 뮌헨 II로 임대 이적
파일:FC 바이에른 뮌헨 로고.svg
300033R에 FC 바이에른 뮌헨 II에서 콜업되어 교체 명단 포함
파일:SC 프라이부르크 로고.svg
2020-212926410위
2021-223256위
2022-232615위
파일:VfB 슈투트가르트 로고.svg
2023-2410--
통산 기록합계8510
17권창훈파일:SC 프라이부르크 로고.svg
2019-20282328위
2020-2112010위
통산 기록합계352-
18황희찬파일:RB 라이프치히 로고.svg
2020-2111180준우승
2021-22202021년 8월 30일 울버햄튼 원더러스 임대 이적
통산 기록합계200-
19이재성파일:1. FSV 마인츠 05 로고.svg
2021-2272748위
2022-233479위
2023-24--
통산 기록합계6111-
20이동준파일:헤르타 BSC 로고.svg
2021-22304016위
2022-2300겨울 이적시장서 전북 현대로 완전 이적
21김민재파일:FC 바이에른 뮌헨 로고.svg
2023-243--


2. 상세[편집]


파일:1137773_imgw968.jpg




유럽의 5대 리그 중 한국인이 가장 많이 진출한 리그다.[13]

분데스리가는 특히 1980~90년대 한국에 많이 알려졌는데, 가장 큰 이유는 차범근의 활약이었다. 지금처럼 해외 축구가 많이 알려지지도 않은 상황에서 홀로 건너가 활약을 했으니... 1990년대 말 IMF 외환위기로 한국 경제가 어려웠던 시절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서 활약하던 박찬호와 비슷한 경우.

차범근의 성공과 함께 박종원, 김진국처럼 1980년대에 건너간 선수들도 있었고[14][15], 1990년대 부퍼랄로 이적한 황선홍과 보훔으로 이적한 김주성, 2000년대 브레멘으로 향한 이동국, 빌레필드, 프랑크푸르트, 마인츠, 프라이부르크, 뒤셀도르프에서 뛴 차두리, 뒤스부르크에 안정환, 도르트문트에 이영표도 잠시 몸 담았지만, 큰 활약은 하지 못하고 국내로 돌아왔다. 그러다가 2010-11 시즌 함부르크에서 손흥민이 등장하고, 2011년 구자철이 볼프스부르크로, 2013년 지동원이 아우크스부르크로, 박정빈이 퓌르트로 진출하면서 분데스리가에 한국 선수들의 진출이 늘어나고 있다. 이후 박주호, 홍정호, 류승우, 김진수 역시 분데스리가를 밟았고, 2018년에는 무려 바이에른 뮌헨정우영이 합류하면서 다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이후 2019년 소속팀을 옮긴 지동원(마인츠), 정우영(프라이부르크)에 이어 권창훈이 프랑스 디종에서 프라이부르크로 이적하였고, 천성훈이 아우크스부르크 1군에 포함된데다가[16] 박규현이 울산 현대에서 브레멘 2군으로 임대되었다. 이어 2020년에는 RB 라이프치히황희찬이, 2021년에는 1. FSV 마인츠 05이재성이 합류했다.

한국에서 빅리그 중 분데스리가 진출이 유독 가장 활발한 이유는 외국인에 제한을 두지 않는 리그 특성 때문일 것이다. 프리미어 리그는 워크 퍼밋 조건 만족이 까다롭고, 세리에 A의 경우는 한국에게 안 좋은 기억이야 그렇다 쳐도 NON-EU 쿼터 제한으로 보유 자체는 문제 없지만 영입 시 최대 2명밖에 데려오질 못해 주로 남미 출신을 데려오게 된다. 그리고 라리가는 세리에와 비슷하게 그보다 아예 비유럽 출신 선수를 3명만 둘 수 있게 제한을 했다.[17] 여기에 차범근, 손흥민, 구자철 등 한국 선수의 활약과 카잔의 기적 등 독일인들의 임팩트를 끌었고, 이는 매 시즌 이적시장 때마다 한국인의 분데스리가 이적설이 계속되는 이유이다.

역대 최고의 아시아 축구 선수로 꼽히는 차범근의 활약상이 펼쳐진 곳. 분데스리가 통산 308경기 98골의 기록이 이를 증명한다. 뒤를 이어 손흥민이 136경기 41골의 뛰어난 활약을 보여주었고, 이후 그가 선호하는 프리미어 리그로 이동해 상당기간 머물렀기에 독일에서 차범근의 기록이 경신될 일은 당분간 없다. 구자철 또한 178경기 26골의 꾸준한 활약을 보여주었다. 한국인 중에서 분데스리가 10골 이상 득점자는 지동원까지 모두 4명이다. 또한 정우영은 2018-19 시즌 한국인 첫 분데스리가 우승을 기록했다.

통산 100경기 이상 출전자는 차범근(308), 차두리(125) 부자와 구자철(211), 손흥민(136), 지동원(123) 등 5명이다.

2021-22 시즌 분데스리가에서 활동하는 한국인 선수는 시즌 시작 시기에는 정우영이재성 2명이었다. 이후 2022년 1월, 이동준이 헤르타 베를린, 이동경[18]이 샬케 04에 각각 입단하며 그 수가 분데스리가 3명(정우영, 이재성, 이동준), 2. 분데스리가 4명(최경록, 박규현, 서종민, 이동경)으로 늘어났다.

2023-24 시즌 그 어느때보다 한국인 선수들의 이동이 잦아지며 분데스리가를 누비는 선수들의 면면 또한 달라졌다. 프라이부르크의 정우영이 슈투트가르트로 이적하며 등번호 10번을 달고 핵심 선수로써 다시 활약하게 되었으며, 나폴리에서 스쿠데토를 들어올린 수비수 김민재가 독일 최강 FC 바이에른 뮌헨에 입단해 홍정호 이후 7년만에 다시 분데스리가에 한국인 센터백이 뛰게 되었다. 헤르타의 이동준이 K리그로 돌아갔고, 마인츠의 이재성은 재계약을 하며 잔류한다.


3. 득점 순위[편집]


  • 2022-23 시즌까지의 기록
파일:분데스리가 워드마크.svg
순위이름활동기간득점
1차범근1978-198998
2손흥민2010-201541
3구자철2010-201928
4지동원2012-202113
5이재성2021-현재11
6정우영2018-현재10
7차두리2002-20136
8안정환20062
8권창훈2019-20212
8홍정호2013-20162
11박주호2013-20181


4. 출전 순위[편집]


  • 2022-23 시즌까지의 기록
파일:분데스리가 워드마크.svg
순위이름활동기간경기
1차범근1978-1989308
2구자철2010-2019211
3손흥민2010-2015135
4차두리2002-2013125
5지동원2012-2021123
6정우영2018-현재85
7이재성2021-현재61
8홍정호2013-201656
9박주호2013-201851
10권창훈2019-202135
11김진수2014-201634
12황희찬2020-202120
13이영표2008-200918
14김주성1992-199313
15안정환200612
16박정빈2012-20139
17이동국20017
18이동준20224
19박상인1981-19822
19류승우2013-20142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6 23:16:02에 나무위키 분데스리가/대한민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적일을 기준으로 한다.[2] 소속팀이 분데스리가 소속일 시기만 기재한다. 유소년 선수일 경우 출전한 시즌만 기재한다.[3] 겨울 이적시장서 합류[4] 비하인드[5] 일본의 하세베 마코토가 2020년 6월 7일에 분데스리가 통산 309경기를 출전하면서 31년만에 기록을 경신했다.[6] 당시 pk에 대한 트라우마가 있어서 차질 않았는데 만약 pk전담 키커였다면... 괜히 분데스리가 엠버서더가 아니다[7] 겨울 이적시장서 합류[8] 겨울 이적시장서 합류[9] 겨울 이적시장서 합류[10] 차범근 이어 한국인 두 번째 기록이다.[11] 겨울 이적시장서 합류[12] 해당 시즌을 제외한 계약 기간 대부분을 임대 이적으로 팀을 떠나있었고, 결국 2017년에 레버쿠젠을 완전히 떠났다.[13] 총 20명의 선수가 분데스리가에서 뛰었다. 그 다음으로 많은 EPL은 14명(박지성, 이영표, 설기현, 이동국, 김두현, 조원희, 이청용, 지동원, 박주영, 기성용, 윤석영, 김보경, 손흥민, 황희찬), 라리가는 7명(이천수, 이호진, 박주영, 김영규, 이강인, 백승호, 기성용), 세리에 A는 3명(안정환, 이승우, 김민재)[14] 이 중 박종원은 1981-1982 시즌 당시 리그 중견강호였던 1. FC 카이저슬라우테른에 입단해 기대를 모았으나 부상에 시달리면서 결국 리그 데뷔도 못해보고 시즌 종료 후 벨기에로 이적했다. 그래서 역대 한국인 선수 명단에 카운트되지 않은 것.[15] 김진국2. 분데스리가에서만 3시즌 활약하고 K리그로 돌아간다.[16] 하지만 천성훈은 2018-2019시즌, 2020-2021시즌에 몇 차례 교체명단에는 이름을 올렸으나, 경기에 투입되지 못 했고 현재는 FC 08 홈부르크로 임대되었다. 그래서 역대 한국인 선수 명단에 카운트되지 않은 것.[17] 김보경블랙번 이적이 무산된 이유도 그 워크 퍼밋 때문이고, 백승호가 지로나 2군에 1년 더 있던 것도 NON-EU 쿼터 제한 때문이다.[18] 이 중 이동경은 2021-22 시즌 FC 샬케 04에 입단해 팀은 2022-23 시즌 1부 리그로 승격하였으나 소집 명단에 들지 못 하면서 분데스리가 경기를 한 경기도 못 뛰고 2. 분데스리가 FC 한자 로스토크로 임대되었다. 그래서 역대 한국인 선수 명단에 카운트되지 않은 것이다. 앞서 박종원, 천성훈, 박규현 같은 경우도 경기를 뛰지 못해 역대 한국인 선수 명단에 포함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