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악산역 (r1판)

편집일시 :

관악산(서울대)
파일:SillimLine_icon.svg
시종착
미개통 전철 노선 보기
서부선
(미개통)
시종착

다국어 표기
영어
Gwanaksan (Seoul National Univ.)
한자冠岳山(서울大)
중국어冠岳山(首尔大学)
일본어冠岳山(クァナクサン(ソウル()
주소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 211
운영 기관
신림선파일:로템SRS 로고.png
서부선서부도시철도주식회사(가칭)
개업일
신림선2022년 5월 28일
서부선2028년 예정
역사 구조
지하 2층
승강장 구조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1. 개요
2. 역 정보
3. 역 주변 정보
4. 일평균 이용객
5. 승강장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서울 경전철 신림선 S411번.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 210번지 소재.

2. 역 정보[편집]


파일:170411149186631228837.jpg

2.1. 서울 경전철 신림선[편집]


파일:신림선_관악산역 안내도.jpg
역 안내도

파일:관악산역출구.jpg
1번 출구
파일:관악산대합실.jpg
대합실
이 역은 상대식 승강장 형태로 당초 계획은 섬식 승강장이었다.

관악산공원관리사무소 앞 주차장 아래에 위치한다. 출입구 1개, 엘리베이터 1개[1]가 설치된다.

기존 설계에서는 강남순환로에 막혀 연장 또는 서부선과의 연계가 불가능했다. 서부선 연장안이 나온 뒤 설계 변경을 실시했는데, 신림선 종점부 깊이를 3.3m 더 낮추어 강남순환로 하부 통과로 서부선과 연계가 될 수 있도록 하였다.[2]

이 역에 열차가 들어올때 오리카에시 방식으로 회차한다. 그래서 열차 도착 시마다 매우 혼잡하며, 진행방향의 왼쪽 출입문이 열린다.

2.2. 서울 경전철 서부선[편집]


서부선 관악산역은 신림선 관악산역보다 서울대학교 정문에서 더 가까운 역이 될 전망이다. 현재까지의 사업 계획에 따르면, 서부선 관악산역의 경우 서울대학교 정문 바로 앞에 역이 신설될 예정이며 두 역은 환승통로로 이어질 예정이다.


2.3. 역명 관련[편집]


관악구에서 구민을 대상으로 실시한 역명 선호도 조사에서 서울대역과 관악산입구역 두가지 후보가 제시되었고,[3] 시 지명위원회의 심의 결과를 거쳐 최종적으로 2021년 2월 7일 역명이 관악산역으로 확정되었다. 주변 지역 주민 의견 수렴 과정에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관악산이 53%, 서울대가 47%의 지지를 얻었다고 한다.[4] 관악구청은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해 '관악산(서울대)역'을 제안했으나, 서울특별시청서울 지하철 2호선 서울대입구역과의 혼동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서울대 명칭의 병기도 허용하지 않기로 결정했었다.[5]

그러나 110역의 역명을 서울대벤처타운역으로 확정하는 과정에서, 110역에 '서울대'를 넣으려면 서울대학교 측의 승인이 있어야 한다는 지명위 의견이 나왔고, 이에 대해 서울대 측은 이 역(111역)에 서울대를 병기하는 조건으로 동의를 했다. 결국 2021년 8월 12일, 역명을 관악산(서울대학교)역으로 변경하는 안건이 지명위에 상정되었고 서울대벤처타운역과 함께 관악산(서울대)역으로 확정되었다. 고시계획 고시공고 (제2021-520호, 9월 16일 시보 60페이지)

3. 역 주변 정보[편집]


1관악산공원, 서울대학교, 관악아트홀·관악중앙도서관, 삼성중학교, 삼성고등학교, 신림중학교, 서울산업정보학교 방면
강남순환로 관악IC가 근처에 있으며, 역 건너편 신림중학교 옆에 신림공영차고지가 건설 중에 있다.

서울대학교 정문에서 350m 정도 떨어진 관악산입구에 위치한다. 서울대입구역은 정문에서 1.8km 떨어져 있어서, 서울대입구역보다 이 역이 서울대에서 더 가깝다. 그렇다고는 해도 서울대학교가 넓다보니 관악산역에서 경영대나 법대.사회대입구까지는 850m 정도, 사범대, 기숙사삼거리는 1.7km 떨어져 있고, 신공학관(윗공대)은 2.5km가 넘어간다. 따라서 관악산역에서 로 갈아타는 것이 일반적일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 역의 접근성도 낮고, 이 역에서의 버스 환승 여건도 나쁘기 때문에 신림선 연선에 거주하는 학생이나, 신림역 서쪽에서 통학하는 학생 외에는 이쪽으로 올 일이 잘 없다.

4. 일평균 이용객[편집]


연도파일:SillimLine_icon.svg비고
2022년6,230명[6]
출처
서울열린데이터광장
[1] 승강장으로 한 번에 이어주는 엘레베이터는 아니지만, 15-20초 후 닫히는 기존 대부분 역들의 엘레베이터들과 달리 닫힘 버튼이 작동하기에 대합실로 내려가 승강장으로 이어주는 다른 엘레베이터로 갈아타면 편리한 이용이 가능하다.[2] 신림선·서부선 잇도록 설계변경, 2016-10-28, HCN[3] [뉴음때] 2022년 개통 신림선 경전철, '역명 제정 중', 2020-10-19, HCN[4] [민원답변]신림선 관악산역 이름을 서울대역으로 바꿔주세요!, 2021-04-30, 서울정보소통광장[5] 신림선 역명 정했다…'서울대역' 대신 '관악산역', 2021-02-07, 한국경제[6] 개통일인 5월 28일부터 12월 31일까지 218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5. 승강장[편집]



5.1. 서울 경전철 신림선[편집]


파일:관악산승강장.jpg
신림선 승강장

서울대벤처타운
시종착

파일:SillimLine_icon.svg 서울 경전철 신림선신림·보라매·대방·샛강 방면, 당역 종착
당역 종착(막차 한정)

열차가 오리카에시 방식으로 진입하여, 샛강 방면 승강장에서 승하차를 모두 취급한다. 역 정차 시간이 짧아 서둘러 하차하고 승차해야 하기 때문이다. 하행 승강장은 막차한정 당역종착 승강장의 용도로 사용되며, 평상시에는 들어갈 수 없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단선 승강장처럼 운영된다.

5.2. 서울 경전철 서부선(예정)[편집]



6. 둘러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