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윤미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같은 이름을 가진 다른 사람에 대한 내용은 김윤미(동명이인) 문서
김윤미(동명이인)번 문단을
김윤미(동명이인)#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주니어 세계선수권 여자부 종합우승자
[ 펼치기 · 접기 ]
1994199519961997199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소희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윤미파일:일본 국기.svg 테시가와라 이쿠에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원혜경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안상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주민진
1999200020012002200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주민진파일:캐나다 국기.svg 마리 이브 드롤레파일:캐나다 국기.svg 마리 이브 드롤레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민지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변천사
2004200520062007200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강윤미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선영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정은주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양신영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노아름
2009201020112012201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노아름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지현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천희정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심석희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노도희
2014201520162017201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노도희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공상정파일:중국 국기.svg 취춘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유빈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지유
* 2019년 종합 우승이 폐지되면서 2018년의 우승자가 마지막이 되었다.



김윤미
金潤美 | Kim Yunmi
파일:동계올림픽김윤미1.png
출생1980년 12월 1일 (43세)
서울특별시
국적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신체160cm, 48kg[1]
학력정신여자고등학교
종목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주종목: 1000m, 1500m

1. 소개
2. 선수 경력
3. 은퇴 이후
4. 수상 기록



1. 소개[편집]


대한민국의 前 여자 쇼트트랙 선수다.


2. 선수 경력[편집]


불과 만 13세[2]의 나이로 1994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에 참가하여 계주팀의 일원으로 경기를 뛰었고 금메달을 땄다. 올림픽 최연소 금메달리스트로 기네스북에 기재되었으며, 이후 ISU에서 연령 제한(만 15세)을 설정해 놓아 향후 그녀보다 더 어린 나이에 빙상경기(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피겨 스케이팅)에 출전하는 선수들은 없을 것이다.

그녀는 대한민국 올림픽 도전 역사상 여자 최연소 금메달리스트[3]로 기록되었다. 1995 주니어 세계선수권에서 개인 종합 1위, 1995 세계선수권에서 개인 종합 3위에 올랐다. 1998 나가노 동계올림픽에서도 계주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2001년에 돌연 은퇴한 이후 2002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을 앞두고 다시 국가대표로 발탁되어 동계 올림픽에 출전할 예정이었으나, 대회 직전 부상과 연습 부족으로 출전을 포기했다. 이후 학업에 전념하기 위해 은퇴를 선언했다.


3. 은퇴 이후[편집]


미국 메릴랜드 주 락빌 리딩엣지팀(Leading Edge·회장 최현숙)의 코치로 활동하고 있으며 크리스틴 산토스를 지도했다.


4. 수상 기록[편집]


대회
올림픽200
세계선수권044
세계 팀선수권320
아시안 게임312
주니어 세계선수권400
합계1266

파일:오륜기(여백X).svg 올림픽
금메달1994 릴레함메르3000m 계주
금메달1998 나가노3000m 계주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세계선수권
은메달1995 요빅3000m
은메달1995 요빅3000m 계주
은메달1997 나가노3000m 계주
은메달1998 비엔나3000m 계주
동메달1994 길퍼드3000m 계주
동메달1995 요빅종합
동메달1995 요빅500m
동메달1998 비엔나1000m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세계 팀선수권
금메달1995 조테미어단체전
금메달1996 레이크플래시드단체전
금메달1997 서울단체전
은메달1994 케임브리지단체전
은메달1998 보르미오단체전
파일:아시안 게임 로고.svg 아시안 게임
금메달1996 하얼빈3000m
금메달1999 강원3000m 계주
금메달1999 강원1500m
은메달1996 하얼빈3000m 계주
동메달1996 하얼빈1500m
동메달1999 강원1000m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주니어 세계선수권
금메달1995 캘거리종합
금메달1995 캘거리500m
금메달1995 캘거리1000m
금메달1995 캘거리1500m
2위1995 캘거리1500m S.F.

[1] 현역시절[2] 1994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 당시 중학교 2학년 진급을 앞두고 있었다.[3] 남자 최연소 금메달리스트는 2020 도쿄 올림픽에 출전한 양궁김제덕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6 17:27:03에 나무위키 김윤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