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구 제1선거구(울산)

덤프버전 :

||
파일:남구_제1선거구(울산)8.png
선거인 수58,328명 (2022년)
상위 행정구역울산광역시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남구 일부
신정1동, 신정2동, 신정3동, 신정5동
시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안수일 (재선)

1. 개요
2. 역대 선거 결과[1]



1. 개요[편집]


울산광역시의회의 선거구로 울산광역시 남구의 4동을 제외한 신정동 일대를 관할한다. 울산광역시청울산광역시의회가 위치해 있어 울산의 행정 중심지를 담당하고 있다.

부촌 지역답게 보수 우위의 도시인 울산에서도 동 지역 기준으로 원도심인 중구 중앙동과 더불어 보수세가 원탑인 지역이며 사실상 남구의 보수세가 중구, 울주군을 뛰어넘는 것도 이 곳의 몰표의 영향이 크다. 심지어 전국적으로 자유한국당이 역대 최악의 참패를 당한 7회 지선때도 무소속 후보가 표를 갈라먹었음에도 자유한국당이 수성했으며, 특히 문재인 정부부동산 정책 실패 덕분에 현재는 보수세가 더더욱 강해진 편이다.

2. 역대 선거 결과[2][편집]


대수당선자당적임기비고
남구 제1선거구
제2대이수만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3]
제3대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
제4대윤명희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제5대이희석2010년 7월 1일 ~ 2011년 5월 11일[4][5]
안성일
무소속

2011년 10월 27일 ~ 2014년 2월 27일[6]
제6대변식룡
ta-hash-start=w-4f77188fcaa6619c0979f180614ac486[[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제7대안수일
ta-hash-start=w-0e79548081b4bd0df3c77c5ba2c23289[[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제8대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2022년 7월 1일 ~ 현재

2.1.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남구 제1선거구
신정1동, 신정2동, 신정3동, 신정4동, 신정5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수만(李樹滿)21,070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68.32%당선
2정현명(鄭賢明)4,6983위

ta-hash-start=w-ab42fc5c2a7c8f48b3eb50f15ec049ab[[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15.23%낙선
3최상일(崔相日)5,0712위

ta-hash-start=w-6f971b8a5752c9a4a44306db39282683[[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16.44%낙선
선거인 수62,055투표율
50.99%
투표 수31,642
무효표 수803

2.2.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남구 제1선거구
신정1동, 신정2동, 신정3동, 신정4동, 신정5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이수만(李樹滿)-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무투표 당선
선거인 수-투표율
-
투표 수-
무효표 수-

2.3.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남구 제1선거구
신정1동, 신정2동, 신정3동, 신정4동, 신정5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제용모(諸容模)8,0522위

ta-hash-start=w-e5921a80ed7efb78f3d10d363639f8d4[[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24.34%낙선
2윤명희(尹明姬)25,022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75.65%당선
선거인 수69,674투표율
48.54%
투표 수33,825
무효표 수751

2.4.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남구 제1선거구
신정1동, 신정2동, 신정3동, 신정5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희석(李熙碩)10,340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41.71%당선
2류왕도(柳王道)5,3073위

ta-hash-start=w-9bafa6744f936f58e710c819796c9d4b[[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21.40%낙선
7안성일(安成一)9,1432위

무소속

36.88%낙선
선거인 수49,338투표율
51.22%
투표 수25,272
무효표 수482

2.5. 2011년 하반기 재보궐선거[편집]


남구 제1선거구
신정1동, 신정2동, 신정3동, 신정5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용걸(朴容杰)5,6512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35.16%낙선
5임상우(任常佑)3,2943위

ta-hash-start=w-a12f16f776b4474dc5c342c48b254df2[[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20.49%낙선
8이동해(李東海)7944위

무소속

4.94%낙선
9안성일(安成一)6,3311위
39.39%당선
선거인 수51,102투표율
31.58%
투표 수16,139
무효표 수69

2.6.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남구 제1선거구
신정1동, 신정2동, 신정3동, 신정5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변식룡(卞植龍)18,7761위
62.73%당선
4박형태(朴炯泰)11,1512위
37.26%낙선
선거인 수58,713투표율
53.00%
투표 수31,123
무효표 수1,196

2.7.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남구 제1선거구
{{{#ffffff
신정1동, 신정2동, 신정3동, 신정5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홍수임(洪秀林)15,9512위
42.74%낙선
2안수일(安壽一)16,2001위
43.41%당선
6이종찬(李淙讚)5,1653위
13.84%낙선
선거인 수60,582투표율
63.63%
투표 수38,551
무효표 수1,235

2.8.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남구 제1선거구
신정1동, 신정2동, 신정3동, 신정5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안수일(安壽一)-1위
-무투표 당선
선거인 수-투표율
-
투표 수-
무효표 수-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아주 유리한 구도였던 지난 선거에서도 탈환에 실패하였고, 지난 대선에서도 패배한데다 특히 윤석열 후보가 신정1동에서 남구 최고 득표율을 올리며 당에 대한 반감이 더더욱 큰 것이 확인되어 승리는 커녕 30% 후반대도 올리기 힘들 가능성이 높아졌다. 2명이 당선되는지라 당선 가능성이 있는 동일한 관할 구역의 구의원 선거구에는 2명이나 공천했지만[7] 여긴 소선거구제라 메리트가 없어 후보를 내지 못했다.

국민의힘에서는 안수일 시의원이 단수공천을 받으며 재선에 도전한다.

다른 정당이나 무소속 후보조차 출마하지 않으면서 안수일 후보가 무투표 당선이 확정되었다. 제아무리 이곳이 남구 최대 보수텃밭이라지만 무투표 당선이 발생한 것은 무려 20년 만의 일이다.


[1] 울산광역시가 출범한 것은 1997년 7월 15일로, 1대 시의회의 경우 임기가 1년도 채 남지 않은 관계로 경상남도의원 중 울산 지역구 의원들과 경상남도 울산시의원들이 그대로 계승하여 울산광역시의원을 역임했으므로 기술하지 않음.[2] 울산광역시가 출범한 것은 1997년 7월 15일로, 1대 시의회의 경우 임기가 1년도 채 남지 않은 관계로 경상남도의원 중 울산 지역구 의원들과 경상남도 울산시의원들이 그대로 계승하여 울산광역시의원을 역임했으므로 기술하지 않음.[3] 신정1동, 신정2동, 신정3동, 신정4동, 신정5동[4] 뇌물수수 혐의로 구속된 도중 사직.[5] 신정1동, 신정2동, 신정3동, 신정5동[6] 6회 지선 남구청장 선거 출마를 위해 사직.[7] 높은 지지세를 가졌음에도 국민의힘이 후보를 1명만 내준 덕에 국민의힘 후보가 혼자서 66%를 득표하고 더불어민주당에서는 가번 후보가 2등으로 당선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