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버스 304

덤프버전 :

||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량
5. 연계 전철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304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기점대구광역시 북구 산격동(대구종합유통단지회차지)종점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삼산리(세왕교통)
종점행첫차[평일, 토요일] 05:32 / [공휴일] 05:45기점행첫차05:30
막차22:30막차22:30
평일배차15분(일 80회)주말배차19분(일 64회)
운수사명세왕교통인가대수15대[1]
노선대구종합유통단지 - 코스트코 대구점 - 복현오거리 - 대구실내체육관 - 경명여고 - 약령시 - 명덕네거리 - 대백프라자 - 수성구보건소 - 수성못오거리 - 가창면행정복지센터 - 스파밸리 - 가창초교 - 삼산리(세왕교통)

중간 출발 정류소
삼산리 방향반월당역, 경대교, 산격대우아파트평일, 토요일, 코스트코홀세일/복현화성타운공휴일
대구종합유통단지 방향수성구보건소평일, 토요일, 중석타운


2. 개요[편집]


대구광역시 북구 산격2동 대구종합유통단지(3)에서 중구 동성로3가 약령시(0)를 거쳐 달성군 가창면 삼산리 세왕교통(4)까지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44.5km.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2015년 8월 1일 개편으로 신설된 노선이다. 폐선된 303(-1)번의 주력 구간이었던 유통단지회차지~산격종합시장~반월당 구간과 704번의 대구역네거리~대백프라자~가창초교(대일리) 구간을 통합했다. 개통 당시의 배차간격은 12~13분으로 준수한 편이었다.

  • 2016년 2월 개편 때 영진교통 차량 1대가 503번으로 이동했다.

  • 2019년 4월 20일 개편 때 영진교통 차량 1대가 또 503번으로 이동하고 세왕교통에서 405번 차량 1대를 투입했다. 증차분은 405번에 투입되었다.

  • 2020년 10월 17일 개편 때 영진교통 차량 2대가 모두 동구8번으로 이동했고 세왕교통에서 405번 차량 1대를 투입했다. 따라서 413번처럼 세왕교통의 단독배차 노선으로 변경되었고, 인가대수는 16대에서 15대로 1대 감차되었다.

  • 2022년 7월 30일부터 대일리 회차지에서 삼산리 세왕교통 차고지로 연장되었다. 사유는 대일리 회차지의 포화 때문이며, 종점 앞 노상에서 대기하는 차량들이 많아져서 민원이 발생함에 따른 조치다. 이에 따라 구 204번이 다녔던 삼산리(우록리 입구)~대백프라자 구간을 대체한다. 다만 증차 없이 연장되어 배차간격은 평일 14분, 휴일 18분으로 기존 대비 1분씩 늘어났다. 그러다가 동년 10월부터 또 1분씩 늘어났다.


4. 특징[편집]


  • 주로 검단동CNG충전소에서 충전하지만, 종합유통단지에서 10분 단기 회차라서 범물동으로 가서 가스 충전하기도 한다. 이는 413번도 마찬가지다. 그래서 종합유통단지행 버스를 타면 간혹 기사가 목적지를 물어보거나 엑스코에서 타절하고 충전하러 가는 경우가 있다.

  • 2015년 개편으로 동구1(-1)번이 변경되는 바람에, 대구실내체육관에서 시내를 연결하는 유일한 노선이 되었다.[2]

  • 세왕교통 단독 배차 노선인 점, 303(-1)번 구간을 운행하는 점에서 413번과 공통점이 있다. 2022년 7월 29일까지는 기종점이 동일했고 장기정차지도 대일리였다는 공통점이 있었다.

  • 503번의 증차를 위해 인가대수가 야금야금 줄어든 노선이다. 여기서 감차된 영진교통 배차분의 대다수는 503번으로 넘어갔고, 남은 차량들이 모두 신설된 동구8번으로 넘어가면서 영진교통은 304번에서 철수하게 된다.

  • 삼산리(세왕교통) 방면은 경대교에서 도청교로 우회전한 후 U턴하여 경명여고로 가는데, 신호상 좌회전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4.1. 일평균 승차량[편집]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304번
연도일평균 승차량전년대비 변동폭
2016년7,088명-
2017년6,844명▽ 244
2018년7,343명△ 489
2019년6,241명▽ 1,102
2020년해당 연도 DB 미집계
2021년4,594명▽ 1,647
2022년4,575명▽ 19
2023년5,057명△ 482
※ 하차 인원 미포함


5. 연계 전철역[편집]


  • 파일:Daegu1.svg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대구역[3], 중앙로역[4], 반월당역, 명덕역
  • 파일:Daegu2.svg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반월당역
  • 파일:Daegu3.svg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명덕역, 건들바위역, 대봉교역
  •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일반 철도역: 대구역(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6.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3 04:26:26에 나무위키 대구 버스 304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공휴일 12대 운행[2] 836번DGB대구은행파크, 서문시장을 경유하기 때문에 시내를 비껴간다. 101(-1)번은 침산중 및 북구청으로 돌고 나서 대구역, 칠성시장으로 간다.[3] 대구역북편네거리 또는 경상감영공원 정류장[4] 경상감영공원 또는 약령시 정류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