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원역

덤프버전 :

동원역
파일:Busan2.svg

다른 문자 표기
로마자Dongwon
한자東院
간체자东院
가나東院(トンウォン
주소
부산광역시 북구 금곡대로 575 (금곡동)
관리역 및 운영사업소
화명관리역 소속 / 제2운영사업소
운영 기관
2호선파일:부산교통공사 CI.svg
개업일
2호선1999년 6월 30일
역사 구조
지하 1층 승강장[1], 지상 1층 대합실
승강장 구조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1. 개요
2. 역 정보
3. 역 주변 정보
4. 일평균 이용객
5. 승강장
6. 요금
7. 연계 교통
8. 기타
9.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파일:동원역2.jpg
동원역사[2]
파일:동원역 2호선.jpg
대합실
부산 도시철도 2호선 237번. 부산광역시 북구 금곡대로 575 (금곡동) 소재.

역명은 인근에 있었던 자연마을의 이름에서 유래하였다.

원래 예정에 없었던 역이었으나, 이 역 인근 주민들의 요구로 1996년 초에 계획에 추가되어 만들어졌다. 공사 당시 이 역 인근 부지(경부선 철도 인근)를 가지고 있었던 철도청과 협상# 끝에 1997년 2월 24일에 타결되어 착공을 시작하게 되었다.[3] 이로 인해 동원역은 결국 부산 도시철도 2호선 호포역서면역 구간 완공을 1999년으로 미루게 한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4]

2. 역 정보[편집]


서울 2호선 한양대역, 경강선 초월역처럼 지하에서 지상으로 나오는 길목에 역이 설치되어 있다 보니 맞이방이 1층, 승강장이 반지하있는 형태이며 금곡역 방향으로는 천장이 없이 뻥 뚫려있다. 더군다나 부지 확보 문제가 걸려있는 탓인지 승강장이 엄청 좁다.[5][6] 때문에 맞이방과 승강장을 잇는 엘리베이터 또한 세로가 길쭉한 직사각형의 모양으로 설치되었으며 휠체어 한대가 간신히 들어갈 정도의 크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이 좁은 승강장 때문에 부산2호선에서 승하차수가 최하위권임에도 스크린도어는 상당히 이른 시기인 2013년 하반기에 설치되었다.

이 역에서 호포역 구간까지는 자갈도상이다.[7] 때문에 호포/양산행 열차가 이 역 선로에 들어서면 다른 구간에 비해 소음이 적게 들린다.[8]

호포/양산행 열차는 이 역을 출발하자마자 지상으로 나오고, 잠시 터널구간에 들어갔다 고가로 올라간다. 장산행 열차는 이 터널을 나오자마자 또 엄청난 속도를 자랑한다.

아직까지 휴메트로 UI 역명판으로 교체하지 않은 역중 하나다.

3. 역 주변 정보[편집]


출입구는 총 2곳으로, 역사 중앙의 정문 출입구와 육교로 연결된 부출입구가 있는데 주거지역에 가까운 부출입구가 주로 사용된다. 주 이용객은 금곡주공아파트 2단지, 7단지, 8단지, 9단지, 금곡이안, 삼정그린코아 주민들이다. 2014년 하반기 역 건너편에 삼정그린코아 아파트[9] 가 새로 준공되어 이용객이 소폭 증가하였으며, 2017년에는 1번출구에서 300m 정도 떨어진 곳에 부산지식산업센터가 개관하여 신라젠 본사를 포함한 여러 기업체의 사무실이 입주하게 되었다. 그 밖에도 부산지방조달청[10]이 있다. 향후 금곡첨단도시산업센터[11]가 준공을 앞두고 있어 이용객이 큰 폭으로 증가 할 예정이다.

역 바로 앞의 소형 주차장에는 버스 몇 대가 주박해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4. 일평균 이용객[편집]


동원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연도파일:Busan2.svg비고
[ 2002년~2009년 ]
2002년3,163명
2003년3,085명
2004년2,942명
2005년2,834명
2006년2,757명
2007년2,546명
2008년2,540명
2009년2,632명
2010년2,568명
2011년2,612명
2012년2,710명
2013년2,730명
2014년2,827명
2015년3,213명
2016년3,059명
2017년3,076명
2018년3,022명
2019년3,086명
2020년2,429명
2021년2,527명
2022년2,696명
출처
부산교통공사 자료실
[1] 반지하[2] 현재는 폴사인이 철거되었다.[3] 공사기간: 1997년 6월 11일 ~ 1999년 6월 29일. 시공회사: 한라건설. 거의 완공과 동시에 개통하였다.[4] 하지만 이는 개통지연 주 원인이 아니라고 볼 수 있다. 역 추가 당시에 나온 계획은 해당 구간의 토목공사만 1998년 4월에 마무리하고 나서(실제 토목공사는 부산교통공사 정기감사목록에 나오는 본선 및 역사구조물 완공현황을 참고하면 1998년 7월 23일 완공) 그 해 9월에 2호선 1단계 개통은 그대로 하되, 동원역 구간은 정차하지 않고 그대로 통과하는 방식으로 하여 그 다음해인 1999년에 역사를 완공하여 개업하는 방식이었다고 한다. 개통지연의 주 원인은 신호체계개선문제때문인 것으로 보인다.[5] 역사 자체의 폭은 16.34m로 인근 금곡역의 15.7m에 비해 조금이나마 넓은 편이지만 이 역의 승강장 폭은 건설 당시 도시철도건설규칙에 근거한 최소치인 3.7m로 금곡역 승강장의 폭 4.6m(역사 창가 쪽 구조물 포함)에 비해 좁다. 이 역은 금곡역과 다르게 반지하역사고 선로부 중심에 기둥이 있어 역사 전체에서 선로부가 차지하는 비중이 지상역사에 비해 더 커지기 때문에 이렇게 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이유로 역사 내부의 승강장 계단 유효폭도 1.4m에 불과하며 건설 당시 도시철도건설규칙 규정 수치인 3m에 한참 미달하기 때문에 부득이하게 피난계단 폭의 최소치(1.2m)에 여유를 둔 것으로 추정된다.[6] 역사 폭의 자세한 수치는 부산교통공사 자료실의 발주현황중 설비개선공사에 첨부된 도면이 출처이다.[7] 반면 1호선에는 범일~중앙 구간 승강장, 다대포해수욕장-신평역 구간을 제외한 전 구간 자갈도상이 되어 있다.[8] 이 역에 진입 전 바로 20m부근에 자갈도상이 나온다.[9] 2014년 12월 준공.[10] 영화 친구 촬영 장소[11] 2023년 12월 준공 예정. 아미코젠R&D연구소 및 자회사, 바이오 기업 입주 예정.

하루 평균 3천여 명의 수요를 보여 부산 2호선 전체에서 이용객이 두번째로 적은 역이다.[12] 역 앞으로는 삼정그린코아 아파트, 금곡주공 7단지, 리버뷰 요양병원, 금정산 자락이 있으며, 역 뒤쪽에는 바로 경부선, 그리고 낙동강이 있어 역세권의 범위가 매우 한정적이다. 심지어는 비슷한 환경의 금곡역보다도 역세권의 규모가 작다.

5. 승강장[편집]


파일:동원역1.jpg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승강장
파일:동원역안내도.gif
역 안내도

율리
금곡



6. 요금[편집]


1구간 요금으로 갈 수 있는 범위
1없 음
2모 덕동 원양 산
3만 덕덕 천대 저
4없 음


7. 연계 교통[편집]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와 양산시 시내버스 정류장은 버스 도착 안내를 위한 번호는 따로 관리하지만 정차하는 위치는 동일하다.
  • 동원역(정류장 번호: 08-239)
  • 동원역(정류장 번호: 3071)
    • 양산 버스 21[심야] - 북정행
    • 양산 버스 23[심야] - 북정행

  • 동원역(정류장 번호: 08-236)
  • 동원역(정류장 번호: 3079)
    • 양산 버스 21[심야] - 덕천교차로행
    • 양산 버스 23[심야] - 덕천교차로행
원래 부산 차적 노선을 이용할 수 없었지만 2021년 7월 31일 노선 개편으로 59번과 126번이 금곡동까지 연장되어 동원역에서 승하차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2023년 7월 29일부로 1012번이 개통하여 1012번도 같이 정차한다.

8. 기타[편집]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회사인 동원여객이 있지만 이 역과 그 회사는 전혀 관련없다. 동원여객의 본사는 북구와는 아주 멀리 떨어져 있는 연제구에 있고 영업소는 그보다 멀리 떨어져 있는 사하구에 있기 때문. 그리고 모르는 사람이 있을지 모르겠지만 연제구, 사하구에는 2호선이 들어가지 않는다![13] 북구에는 삼진여객태진여객이 있다.

구글 지도에 이 역이 율리역으로 나와 있다. 정확히 말하면 진짜 율리역은 지하철역 아이콘 옆에 "율리"라고 적혀 있고 이 역은 "율리역"이라고 나와 있다.

9.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4 06:01:05에 나무위키 동원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2] 이전에는 호포역이 이용객이 꼴찌였고 2019년~2021년에 잠깐 간발의 차이로 동원역이 꼴등이 되었으나 2022년에 다시 동원역이 역전했다. 그래봤자 도토리 키 재기다[심야] A B C D 심야포함[13] 1호선(교대역, 연산역, 시청역)과 3호선(종합운동장역, 거제역, 연산역, 물만골역, 배산역), 동해선(거제해맞이역, 거제역, 교대역)까지 지나가지만 2호선과 4호선과 부산김해경전철은 연제구를 지나가지 않는다. 사하구는 현재 아예 1호선만 경유한다. 다만 장림 본사시절, 연제공용차고지가 완공되기 전 까지는 부산진구초읍영업소가 존재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