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드 벤슨

덤프버전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 펼치기 · 접기 ]
초대제2대제3대제4대
알렉산더 해밀턴올리버 월콧 Jr.새뮤얼 덱스터앨버트 갤러틴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조지 캠벨알렉산더 댈러스윌리엄 크로포드리차드 러쉬
제9대제10대제11대제12대
새뮤엘 잉엄루이스 맥레인윌리엄 듀언로저 토니
제13대제14대제15대제16대
리바이 우드베리토마스 유잉월터 포워드존 스펜서
제17대제18대제19대제20대
조지 빕로버트 워커윌리엄 메러디스토마스 코윈
제21대제22대제23대제24대
제임스 거스리하웰 콥필립 프랜시스 토마스존 아담스 딕스
제25대제26대제27대제28대
살몬 P. 체이스윌리엄 페선던휴 맥컬로치조지 부트웰
제29대제30대제31대제32대
윌리엄 리차드슨벤자민 브리스토우로트 M. 모릴존 셔먼
제33대제34대제35대제36대
윌리엄 윈덤찰스 J. 폴저월터 Q. 그레셤휴 맥컬로치
제37대제38대제39대제40대
다니엘 매닝찰스 페어차일드윌리엄 윈덤찰스 포스터
제41대제42대제43대제44대
존 카라일라이먼 J. 게이지레슬리 쇼조지 B. 코텔류
제45대제46대제47대제48대
프랭클린 맥비윌리엄 매커두카터 글래스데이비드 휴스턴
제49대제50대제51대제52대
앤드루 멜런오그덴 밀스윌리엄 H. 우딘헨리 모겐소 Jr.
제53대제54대제55대제56대
프레드 M. 빈슨존 웨슬리 스나이더조지 험프리로버트 B. 앤더슨
제57대제58대제59대제60대
C. 더글러스 딜런헨리 파울러조셉 바데이비드 케네디
제61대 제62대제63대제64대
존 코널리조지 P. 슐츠윌리엄 E. 사이먼W. 마이클 블루멘탈
제65대제66대제67대제68대
G. 윌리엄 밀러도널드 리건제임스 베이커니콜라스 F. 브래디
제69대제70대제71대제72대
로이드 벤슨로버트 루빈로렌스 서머스폴 H. 오닐
제73대제74대제75대제76대
존 W. 스노우헨리 폴슨티모시 가이트너제이콥 루
제77대제78대
스티븐 므누신재닛 옐런




로이드 벤슨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미국 대통령 문장.svg 1988년 미국 대통령 선거 주요 후보
[ 펼치기 · 접기 ]
정당대통령 후보순위
부통령 후보비고
파일:공화당(미국) 엠블럼.svg공화당조지 H. W. 부시1위
댄 퀘일당선
파일:민주당(미국) 엠블럼.svg민주당마이클 두카키스2위
로이드 벤슨
[ 역대 선거 | 펼치기 · 접기 ]
1789 · 1792 · 1796 · 1800 · 1804 · 1808
1812 · 1816 · 1820 · 1824 · 1828 · 1832
1836 · 1840 · 1844 · 1848 · 1852 · 1856
1860 · 1864 · 1868 · 1872 · 1876 · 1880
1884 · 1888 · 1892 · 1896 · 1900 · 1904
1908 · 1912 · 1916 · 1920 · 1924 · 1928
1932 · 1936 · 1940 · 1944 · 1948 · 1952
1956 · 1960 · 1964 · 1968 · 1972 · 1976
1980 · 1984 · 1988 · 1992 · 1996 · 2000
2004 · 2008 · 2012 · 2016 · 2020 · 2024




파일:미국 상원 문장.svg 미국 연방 상원의원 (텍사스 주 클래스 1)
제85~91대
랄프 야버러
제92~103대
로이드 벤슨
제103대
밥 크뤼거[1]

[1] 로이드 벤슨 재무장관 취임으로 인해 텍사스 주지사에 의해 대체 상원의원으로 임명

미합중국 제92~103대 연방 상원의원
미합중국 제69대 재무장관
로이드 밀러드 벤슨 주니어
Lloyd Millard Bentsen Jr.
파일:LloydBentsen.jpg
출생1921년 2월 11일
미국 텍사스 미션
사망2006년 5월 23일 (향년 85세)
미국 텍사스 휴스턴
재임기간제69대 재무장관
1993년 1월 20일 ~ 1994년 12월 22일
서명
[ 펼치기 · 접기 ]
부모아버지 로이드 벤슨 시니어
어머니 에드나 벤슨
배우자베릴 앤 벤슨 (1943년 결혼)
자녀슬하 3명
학력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캠퍼스 (법학 / LL.B.)
종교개신교 (장로회)
의원 선수4 (하원)
4 (상원)
의원 대수80, 81, 82, 83 (하원)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1] (상원)
지역구텍사스 제15구 (하원)
텍사스 클래스 1
소속 정당
약력연방 하원의원 (1948~1955 / 텍사스 15구)
연방 상원의원 (1971~1992 / 텍사스 클래스 1)
1976년 미국 대선 민주당 예비선거 후보
1988년 미국 대선 민주당 부통령 후보
제69대 재무장관 (1993~1994)
군사 경력
복무미국 육군[2]
1942년 ~ 1947년
최종 계급대령
주요 참전제2차 세계 대전

* 유럽 전선
[1] 제103대 의회 임기 도중 재무장관 취임을 위해 사임.[2] 미국 공군의 전신인 미국 육군 항공대로 복무하였다.
1. 개요
2. 생애
2.1. 청년기
2.2. 상원의원
2.3. 부통령 후보 출마와 그 이후
3. 선거 이력
4. 여담



1. 개요[편집]


미국의 정치인. 제69대 미합중국 재무장관직, 미국 연방상원의원직을 지냈다.

1988년 미국 대선에서 마이클 두카키스의 러닝메이트로 민주당 부통령 후보로 나섰지만 패배했다.


2. 생애[편집]



2.1. 청년기[편집]


1921년 텍사스 주 미션 출신. 아버지는 덴마크계 미국인으로 원래 다코타 지역에 살았지만 흉작으로 농장을 버렸고 텍사스 주에서 농장을 차려 크게 성공했다. 비록 귤 농장은 얼마 안가 망했지만 돈을 많이 모아놨기에 재기할 수 있었고 벤슨은 어릴 적 가난하게 살았지만 아버지 사업의 성공으로 텍사스의 명문대학인 텍사스대 오스틴 캠퍼스의 법학대학에 진학할 수 있었다.

1942년, 불과 21세에 법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변호사 자격증을 얻었으며, 2차 대전 동안에는 1944년 이탈리아 전선에서 B-24 폭격기를 조종하는 임무를 맡기도 했다.[1] 총 35회동안 성공적인 폭격 임무를 수행해 우수 비행 훈장을 4번이나 수여받았다.

제대 후 고향에서 판사로 일하다가, 1948년 하원의원에 출마해 정계에 입문했다. 총 4번 하원의원으로 당선되었으며, 샘 레이번 하원의장에게 직접 정치를 배운 레이번의 수제자였고 린든 B. 존슨의 영향도 간접적으로 받았다. 1955년 4선 임기 만료 이후에는 다시 법조계로 돌아갔다가, 1970년 상원의원 출마로 정계에 복귀한다.


2.2. 상원의원[편집]


1970년 상원의원 선거에서 주요 상대는 같은 당의 랄프 야버러와, 6년만에 절치부심해 출마한 공화당의 조지 H. W. 부시였다. 랄프 야버러는 현직 상원의원이었는데 텍사스 주 정서에 안맞는 진보 정책을 추진해 인기가 없었고, 예비선거에서 벤슨은 야버러를 "전당대회 폭력의 후보" "버싱 정책[2]의 지지자"로 묘사해 53% 대 47%로 야버러를 경선에서 밀어낸다. 본선에서 야버러의 지지자들 상당수가 벤슨에게 비호감을 가졌지만 54% 대 46%로 부시를 꺾고 당선되었다. 이때도 부시를 북동부[3]에서 남부를 괴롭히기 위해 내려온 북동부 진보파에 카펫베거라고 공격했다.# 이 때문에 민주당 내 진보파와는 사이가 좋지 못했다.

벤슨은 보수주의 민주당원, 남부 민주당원의 가장 영향력 있는 일원이 되었고 1976년 대선에서도 대권 주자로 주목받았다. 벤슨은 진지하게 출마하려고 하지는 않았고, 남부 대의원을 통제해 부통령 후보가 되길 더 원했다. 그러나 지미 카터가 남부 대의원을 휩쓸면서 벤슨의 시도는 물거품이 되었다. 이후에도 욕심은 있었는지 1984년 대선에서도 부통령 러닝메이트로 유력하게 고려되었지만 결국 부통령 후보직은 제럴딘 페라로에게 넘어갔다.


2.3. 부통령 후보 출마와 그 이후[편집]


1988년 대선에서는 마침내 기회를 부여잡았다. 마이클 두카키스가 벤슨을 부통령 러닝메이트로 낙점하며 진보적이고 젊은 북동부 대통령 후보중도적이고 노련한 남부 부통령 후보의 짝이 이루어지게 된 것이다. 공교롭게도, 상대 대선 후보는 18년 전 자신이 낙선시킨 조지 H. W. 부시였다. 로이드 벤슨은 마이클 두카키스에 비해 훨씬 주도면밀한 모습을 보였고, 부통령 후보 토론회에서는 댄 퀘일에게 상원의원님, 당신은 케네디가 아닙니다!라는 돌직구를 날리기도 했다.[4]

하지만 두카키스의 무능한 캠페인 때문에 두카키스-벤슨 조는 부시-퀘일 조에게 53 대 45로 참패한다. 심지어 벤슨의 고향이었던 텍사스에서도 56 대 43으로 두카키스가 밀렸기 때문에 홈스테이트 효과도 거의 얻지 못했다. 다만, 같은 날 치러진 상원의원 선거에서 벤슨 자신은 4선에 성공했다.[5][6]

1992년, 빌 클린턴이 대통령에 당선되자 클린턴은 가장 존경받는 남부 정치가였던 벤슨을 재무장관에 임명했다. 벤슨은 재무장관으로 재임하면서 NAFTA 조약을 체결하는 등의 굵직한 업적을 남겼고, 클린턴의 제3의 길 노선을 충실하게 구현해 1990년대의 경제 호황에 크게 이바지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러나 건강이 좋지 않았기 때문에 오래 재무장관을 할 수는 없었고[7] 2년만인 1994년 재무장관 직에서 물러났다. 클린턴은 아쉬웠는지 벤슨을 국방장관으로도 임명하려 했으나 벤슨이 스스로 이를 고사했다.

이후 벤슨은 고향 텍사스로 돌아가 여생을 보내다가, 2006년 사망했다.


3.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1948미국 연방 하원의원 보궐선거텍사스 15구
2,396 (99.99%)[8]당선 (1위)초선[9]
미국 연방 하원의원 선거27,402 (100.00%)재선[단독]
1950미국 연방 하원의원 선거18,524 (100.00%)3선[단독]
1952미국 연방 하원의원 선거63,767 (100.00%)4선[단독]
1970미국 연방 상원의원 선거텍사스1,194,069 (53.50%)초선
1976미국 연방 상원의원 선거2,199,956 (56.80%)재선
1982미국 연방 상원의원 선거1,818,223 (58.39%)3선
1988미국 부통령 선거미합중국41,809,074 (45.65%, 111명)낙선 (2위)[10]
미국 대통령 선거0 (0.00%, 1명)낙선 (3위)[11][12]
미국 연방 상원의원 선거텍사스3,149,806 (59.20%)당선 (1위)4선[13]

4. 여담[편집]


  • 마거릿 대처는 총리직 은퇴 후 한 토크쇼에서 가장 좋아하는 미국 민주당원에 대한 질문을 받았을때 로이드 벤슨을 가장 좋아한다고 밝혔다. 대처 입장에서는 민주당원이었는데도 신자유주의를 유연하게 받아들여 제3의 길 노선 주창에 앞장선 벤슨에 호감이 간 모양.

  • 그가 하원의원을 지낸 텍사스 15구는 멕시코와 국경을 맞대고 있어 히스패닉 인구가 많기 때문에(전체 인구의 약 82%가 히스패닉) 오랫동안 민주당의 텃밭이었지만[14], 2022년 미국 중간선거에서 역사상 처음으로 공화당 후보가 당선되는 이변이 일어났다. 텍사스 지역 언론도 이를 크게 다루며 히스패닉의 정치적 보수화가 일어난 상징적 결과라고 평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9 21:31:16에 나무위키 로이드 벤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조지 맥거번도 정확히 같은 보직(이탈리아 전선 B-24 폭격기 조종)이었지만 소속 부대가 달랐다. 맥거번은 제445포격단, 벤슨은 제449포격단 소속.[2] 흑백 학군 통합을 위해 흑인 학군의 아이들을 버스에 태워 백인 학군으로 통학시킨 강제적 인종통합 정책을 의미한다. 백인 중산층들에게 무척 인기가 없었던 정책이었다.[3] 조지 부시의 아버지인 프레스콧 부시가 코네티컷을 기반으로 활동했기 때문이다. 조지 H. W. 부시 자신도 코네티컷에서 꽤 오래 살았지만 정유 사업을 하게 되어 텍사스로 이주했다. 여담으로 그 아들 조지 W. 부시도 1978년 하원의원 캠페인 당시 상대 민주당 후보에게 북동부 엘리트라고 공격받았다.[4] 자세한건 댄 퀘일 문서 참조. 댄 퀘일이 자신을 케네디에 빗대면서 나온 말이다.[5] 미국은 부통령과 상원의원으로 동시에 출마하는게 가능하다. 조 리버만, 조 바이든이 대표적 예시이다.[6] 참고로, 이 선거는 현재까지 민주당이 텍사스 상원의원 선거에서 승리한 마지막 선거이다. 벤슨의 사임으로 실시된 보궐선거에서 공화당 케이 베일리 허친슨(Kay Bailey Hutchison)이 압승했다.[7] 벤슨 자신도 클린턴의 재무장관직 제의를 받아들이면서 4년 임기를 채울 수 없을 것 같다고 미리 말해두었다.[8] 반대표가 1표 나왔다.[9] 전임자 밀턴 H. 웨스트 사망[단독] A B C 단독 입후보[10] 대통령 후보는 마이클 두카키스[11] 부통령 후보는 마이클 두카키스[12] 두카키스를 부통령으로, 벤슨을 대통령으로 만들고 싶었던 웨스트버지니아불충실한 선거인단 마거릿 리치(Margarette Leach)가 벤슨에 투표했다.[13] 1993 1.20 사임(재무장관 취임)[14] 존 낸스 가너의 지역구이기도 했다.